II. 이론적 배경 6
2. FIE-B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52
FIE-B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 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의 변화량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 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1에 제시하였다.
표 11.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점수의 변화량 비교
통제
(n=18) 1.61(1.15) 1.00(1.03) -.61(1.09)
중재요청 전략
실험
(n=17) .71(.69) .78(.81) -.06(.24)
-.02 통제
(n=18) .65(.61) .72(.83) -.06(.64)
*p<.05, **p<.01
표 11에서 볼 수 있듯이,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 친사회적 전 략 점수(M=3.18, SD=.88)가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2.28, SD=1.84)보다 크게 나타 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친사회적 전략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 변화량(M=1.41, SD=.94)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M=.33, SD=.77)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3.73, p<.01).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의 적대적 전략 점수(M=.12, SD=1.50) 는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72, SD=1.23)보다 더 작게 나타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적대적 전략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 의 점수 변화량(M=-.88, SD=1.32)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M=-.17, SD=.51) 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2.14, p<.05).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의 자기주장적 전략 점수(M=3.76, SD=.90)는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3.28, SD=1.23)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FIE-B 프 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자기주장적 전략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 험집단 유아들의 점수 변화량(M=.94, SD=1.25)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 (M=.50, SD=1.34)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의 수동적 전략 점수(M=.29, SD=.47)는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1.00, SD=1.03)보다 더 작게 나타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수동적 전략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 의 점수 변화량(M=-1.41, SD=.87)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M=-.61, SD=1.09) 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2.39, p<.05).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의 중재요청 전략 점수(M=.78, SD=.81) 는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72, SD=.83)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중재요청 전략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 들의 점수 변화량(M=-.06, SD=.24)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M=-.06, SD=.64) 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범주별로 그림 3, 그림 4, 그림 5, 그림 6, 그림 7에 제시하였다.
그림 3. 친사회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4. 적대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5. 자기주장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6. 수동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7. 중재요청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집단 사전 사후 변화량
M(SD) M(SD) M(SD) t
문제해결
실험
(n=17) 3.41(.32) 3.75(.29) .34(.22)
3.77**
통제
(n=18) 3.33(.35) 3.41(.36) .08(.19)
정서표현
실험
(n=17) 3.58(.34) 3.85(.24) .26(.28)
4.09***
통제
(n=18) 3.50(.41) 3.47(.41) -.02(.10)
질서의식
실험
(n=17) 3.49(.42) 3.90(.30) .40(.30)
4.77***
통제
(n=18) 3.57(.51) 3.62(.50) .05(.10)
자신감
실험
(n=17) 3.03(.48) 3.74(.35) .71(.57)
4.28***
통제
(n=18) 3.27(.62) 3.36(.58) .09(.21)
사회적 기술 총점
실험
(n=17) 3.43(.27) 3.81(.19) .38(.25)
5.47***
통제
(n=18) 3.42(.32) 3.46(.32) .04(.06)
**p<.01, ***p<.001
3. FIE-B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FIE-B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의 변화량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제시하였다.
표 12.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점수의 변화량 비교
표 12에 제시된 것과 같이, 문제해결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의 점수(M=3.75, SD=.29)가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3.41, SD=.36)보다 더 크 게 나타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문제해결에 대한 변화량 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 변화량(M=.34, SD=.22)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 수 변화량(M=.08, SD=.19)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3.77, p<.01).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의 정서표현 점수(M=3.85, SD=.24)가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3.47, SD=.41)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 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 수 변화량(M=.26, SD=.28)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M=-.02, SD=.10)은 유의 한 차이를 나타냈다(t=4.09, p<.001).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 질서의식의 점수(M=3.90, SD=.30)가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3.62, SD=.50)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 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질서의식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 수 변화량(M=.40, SD=.30)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M=.05, SD=.10)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4.77, p<.001).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의 자신감 점수(M=3.74, SD=.35)는 통 제집단 유아의 점수(M=3.36, SD=.58)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FIE-B 프로그램을 실시 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자신감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 변화량(M=.71, SD=.57)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M=.09, SD=.21)은 유의한 차 이를 나타냈다(t=4.28, p<.001).
사회적 기술에 대한 실험집단 유아의 FIE-B 프로그램 실시 이후의 점수(M=3.81, SD=.19)가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M=3.46, SD=.32)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FIE-B 프 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총점에 대한 변화량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 변화량(M=.38, SD=.25)과 통제집단 유아의 점수 변화량 (M=.04, SD=.06)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5.47, p<.001). 이를 사회적 기술의 하위 요인별로 그림 8, 그림 9, 그림 10, 그림 11, 그림 12에 제시하였다.
그림 8 . 문제해결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9. 정서표현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11. 자신감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10. 질서의식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그림 12. 사회적 기술 총점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유아에게 FIE-B 프로그램의 정서인식(Identifying Emotions)도구와 공격성 예방을 위한 사고학습(Think and Learn to Prevent Violence) 도구를 적용하여 또래갈등 해결전략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갈등 해결전략 검사의 사전 점수를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전략은 자기주장적 전략, 친사회적 전략, 수동적 전략, 적 대적 전략, 중재요청 전략 순이며, 같은 검사 도구를 사용한 한송이(2015)와 현우자 (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하고 싶어한다는 것(한송이, 2015)과 유아기의 자율성 발달을 확인할 수 있다(Crockenberg
& Litman, 1990). 중재요청 전략은 유아들이 가장 적게 사용한 전략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아들은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을 보 인다(한송이, 2015; Shantz & Hobart, 1989).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의 집단 간 차이가 없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 변화량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 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또래갈등 해결전략 중 친사회적 전략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 고, 적대적 전략과 수동적 전략은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주 장적 전략과 중재요청 전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FIE-B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검사를 사용한 선 행논문이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동일한 검사를 사용한 공미자, 변길희, 심 성경(2008)의 유아 창작 음악극, 박성빈(2014)의 협동적 신체활동, 박유미(2008)의 친 사회적 동화를 통한 문학 활동, 윤동주(2012)의 친사회적 동화를 통한 동극활동에 대 한 연구 결과와 유사한데, 교육을 통해 유아가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면 갈등 을 적절히 다룰 수 있다(Crosser, 1992)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맥락을 띈 다. 그러므로 FIE-B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긍정적인 효 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범주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먼저 실험집단 유아들의 친사회적 전략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냈는데, 이는 공미 자, 변길희, 심성경(2008), 박성빈(2014), 박유미(2008), 윤동주(2012)의 연구결과와 일 치한다. FIE-B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는 타인과 상호작용 하며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갈등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 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입장을 고려한 해결책을 사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친사회
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유아일수록 공격적인 면과 주의산만 정도가 낮아, 또래 수 용도가 높다고 하였다(송미선, 2001; 현우자, 2009; Chung & Asher, 1996). 또래유능 성과 또래수용도는 높은 상관이 있어, 또래수용도가 높은 유아일수록 또래 유능성도 높다는 연구결과(박주희, 이은해, 2001)에 비추어봤을 때, 본 연구의 친사회적 전략의 유의미한 증가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실험집단 유아들의 적대적 전략은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고, 이는 공미자, 변길희, 심성경(2008), 박성빈(2014), 박유미(2008), 윤동주(20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러 한 결과는 유아가 FIE-B 프로그램의 공격적 예방을 위한 사고학습(TLPV) 도구를 통 해 갈등상황에서 폭력과 공격적인 전략을 사용하면 자신과 타인에게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이해하고, 폭력은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해주지 못한다는 것을 내 면화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적대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과활동성과 주 의산만 정도가 높아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해, 또래수용도가 낮은데(송미선, 2001; 정은실, 2012; Rubin, 1980), 본 연구에서 적대적 전략의 유의미한 감소는 유아 들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실험집단 유아들의 수동적 전략은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공미자, 변 길희, 심성경(2008)과 윤동주(20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수동적 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박성빈(2014)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박성빈(2014)의 연구는 협동적 신체 활동을 통해 유아가 양보와 배려를 경험한 것이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공격적 예방을 위한 사고학습(TLPV) 도구는 갈등상황에서 유아가 갈등 상황 자체를 회피하거나 일방적인 양보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비공격적인 방법으로 자신 의 의견을 이야기하는 것을 통해 주도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교육 내용의 차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실험집단 유아들의 자기주장적 전략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자기 주장적 전략의 증가를 나타낸 공미자, 변길희, 심성경(2008)과 윤동주(2012), 박유미 (2008)의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지만, 실험집단 유아의 자기주장적 전략의 증가량이 유의하지는 않지만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해 크게 나타나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향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송미선(2001)의 자기주장적 전략은 비공격적이고 언어적인 방 법으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것을 뜻하는데, 자기주장적 전략의 증가를 나타낸 선 행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것 에서 차이가 있으며 유아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언어적 협상과 이유를 설명하는 전략 을 많이 사용한다는(박향아, 2012; 유희정, 2004)는 것처럼 발달상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
실험집단 유아들의 중재요청 전략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공미 자, 변길희, 심성경(2008)과 박성빈(2014)의 연구와 일치하며, 중재요청 전략의 유의미 한 증가를 나타낸 박유미(2008)와 윤동주(2012)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