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초 통계량을 산출하였다.
넷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학교사고에 대한 경험과 반응 및 영향 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학교사고와 특수교사의 교육활동 및 교직심리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 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육활동 및 교직심리에 영향을 미치 는 학교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할 때 독립변수끼리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면, 다중공선성이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중회귀분석을 할 때는 반드시 다중공선성을 확인해야 한다. 첫째,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독립변수들 간의 상 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독립변수들 간의 높은 상관관계(일반적으로 .90 이상) 는 다중공선성을 판단하는 지표이다(이학식, 임지훈, 2005). 상관계수가 0.8미만일 때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다고 해석한다. 둘째, 다중공선성을 점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는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팽창지수(VIF)이다(성태제, 2018).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음을 판단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준은 공차한계 값 은 .10 이하, 분산팽창지수 값은 10 이상이다(성태제, 2018; 송지준, 2015; 유성 모, 2016). 공차한계는 한 독립변수가 다른 독립변수들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부분 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차한계 값이 작을수록 그 독립변수가 다른 독립변수들에 의 해 설명되는 정도가 크다는 의미하고, 다중공선성이 높게 된다. 공차한계 값이 0.1 이하일 때는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다고 해석한다. 분산팽창지수는 공차한계의 역 수이며, 그 값이 클수록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분 산팽창지수 값이 10미만일 때,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다고 해석한다.
Durbin-Watson은 잔차의 독립성, 즉 잔차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 시한다. Durbin-Watson의 기준 값은 2가 되며, 이때의 의미는 잔차에 대한 상관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Durbin-Watson의 수치가 2에 가깝고 0 또는 4와 가깝지 않으면 잔차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어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석한다(송지준, 2015). 또한 그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4에 가까울수록 음
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성태제, 2018). 논문에서 원하는 회귀분석 결과는 t값과 유의확률이고, t값이 ±1.96의 절댓값보다 크고, 유의확률(p)이 0.05보다 작 으면 영가설을 기각되고, 연구가설은 채택된다(송지준, 2015).
여섯째, 학교사고가 교육활동 및 교직심리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변수인 관리자와 학부모의 반응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할 때는 모형의 적합도를 반드시 확인 해야 한다. 이때 카이 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유의확률이 .5 보다 커야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채택된다. 그러나 카이 제곱 검정의 단점 은 표본의 크기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른 적합도 지수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대표적인 적합도 지 수로는 RMSEA, RMR, GFI, NFI, CFI 등이 있다. RMSEA 값과 RMR 값은 .05 이 하, GFI 값과 NFI 값, CFI 값은 모두 .90 이상이면 모형은 적합하다고 판단한다 (성태제, 2018).
문항 내용
자주 있다
% (빈도)
가끔 있다
% (빈도)
거의 없다
% (빈도)
전혀 없다
% (빈도)
평균 표준 편차
학생에 의한 교사의 학교사고
경험
학생에게 신체적 도움을 주는 과정에 서 학생의 의도성이 없는 행동으로 인한 신체적 상해
2.73 (3)
68.18 (75)
19.09 (21)
10.00
(11) 2.64 .70 학생의 문제행동을 제지하는 중에 입
는 신체적 상해
7.27 (8)
72.73 (80)
15.45 (17)
4.55
(5) 2.83 .62 학생의 문제행동 중 폭력적이고 공격
적인 행동에 의해 입는 신체적 상해
6.36 (7)
75.45 (83)
12.73 (14)
5.45
(6) 2.83 .62 학생의 불손하거나 반항적인 언행에
의한 정신적 고통
8.18 (9)
57.27 (63)
26.36 (29)
8.18
(9) 2.65 .75 학생에게 성추행과 같은 신체적 접촉 3.64
(4)
34.55 (38)
39.09 (43)
22.73
(25) 2.19 .83 학생이 선생님 앞에서의 성적인 언어
사용
0.91 (1)
24.55 (27)
53.64 (59)
20.91
(23) 2.05 .70 학생이 선생님 앞에서의 성적인 행동 13.64
(15)
66.36 (73)
15.45 (17)
4.55
(5) 2.89 .68
전체 2.58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