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학교사고가 교육활동 및 교직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1) 교사의 학교사고 경험이 교육활동 및 교직심리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경로 분석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그림 Ⅳ-1]과 같은 모형을 설정하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값을 추정하였다. 연구자 가 설정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카이제곱 값은 3.58, p = .059로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수용되었다. 한편, 모형 적합도의 기준이 되는 RMSEA는 .15로 다소 높게 나와 적합도 기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RMR은 .03, GFI는 .99, NFI는 .98, CFI는 .99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림 Ⅳ-1]은 분석결과에 따른 경로모형이다.

[그림 Ⅳ-1] 교사의 학교사고 경험에 대한 반응의 효과 경로분석

연구모형에서 추정된 경로계수의 값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중심으로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학교사고 경험은 교육활동(.31, p < .01), 교직심리 (.22, p < .001),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33, p < .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은 교육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29, p < .01). 교직 심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0, p < .01). 또한 교사의 학교사고에 대한 경험은 교육활동(.10, p < .01), 교직심리(.10, p < .01)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구분 교사의 학교사고 경험

관리자의 부정적인 반응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 관리자의

부정적인 반응

직접 효과 - - -

간접 효과 - - -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

직접 효과 .33 - -

간접 효과 - - -

교육활동 직접 효과 .31 .25 .29

간접 효과 .10 - -

교직심리 직접 효과 .22 .27 .30

간접 효과 .10 - -

다. 연구모형의 효과계수를 정리하면 <표 Ⅳ-15>와 같다.

<표 Ⅳ-15> 교사의 학교사고 경험 후 관리자와 학부모의 반응에 대한 효과계수

2) 학생의 학교사고 경험이 교육활동 및 교직심리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경로분석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그림 Ⅳ-2]와 같은 모형을 설정하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값을 추정하였다. 연구자 가 설정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카이제곱 값은 4.33, p = .038로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기각되었지만, 카이제곱 값의 단점은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많이 받기에 다른 적합도 지수도 고려하여 적합도를 판단해야 한다. 모형 적합도의 기준이 되는 RMSEA는 .18로 다소 높게 나와 적합도 기준에는 못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RMR은 .01, GFI는 .99, NFI는 .99, CFI는 .99으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림 Ⅳ-2]는 분석결과에 따른 경로모형이다.

구분 학생의 학교사고에 대한 교사의 경험

관리자의 부정적인 반응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 관리자의

부정적인 반응

직접 효과 .48 - -

간접 효과 - - -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

직접 효과 .49 - -

간접 효과 - - -

[그림 Ⅳ-2] 학생의 학교사고 경험에 대한 반응의 효과 경로분석

연구모형에서 추정된 경로계수의 값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중심으로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생의 학교사고에 대한 교사의 경험은 교육활동(.17, p <

.01),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49, p < .001), 관리자의 부정적인 반응(.48, p <

.001)에 정직인 영향을 미쳤다. 관리자의 부정적인 반응은 교육활동(.26, p < .01), 교직심리(.44, p < .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은 교육 활동(.41, p < .001), 교직심리(.26, p < .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생 의 학교사고에 대한 교사의 경험은 교육활동(.33, p < .05), 교직심리(.34, p <

.05)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효과계수를 정리하면 <표 Ⅳ -16>과 같다.

<표 Ⅳ-16> 학생의 학교사고 경험 후 관리자와 학부모의 반응에 대한 효과계수

교육활동 직접 효과 .17 .26 .41

간접 효과 .33 - -

교직심리 직접 효과 - .44 .26

간접 효과 .3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