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제도개선
3.3. 장비공동활용
3.3.1. 장비공동활용 개선안
○ 원내의 각 부서별로 해양관측장비 및 실험실 분석장비의 공동활용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1개의 부서(센터) 중 총 9개 부서가 수요조사에 응답함
○ 이 수요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원내 장비공동활용 개선안을 작성함
○ 장비공동활용 수요(표 13)
* 총 9개 부서 모두 대여하고 싶은 장비가 있으며 장비종류에 대해 복수응답 함
▪ 해양관측장비의 경우 해수특성 및 해류특성 관측장비의 공동활용 수요도가 높음 ▪ 실험실 분석장비의 경우 해양관측장비와 달리 특정장비의 수요도가 높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장비에 대한 공동활용 수요도를 나타냄
○ 공동활용 허용 장비(표 14)
* 총 9개부서 중 2개 부서를 제외한 7개 부서가 허용할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며 장
비종류에 대해 복수응답 함
* 해양관측장비의 경우 해수특성 및 조위파고 관측장비의 공동활용 허여도가 높음
* 실험실 분석장비의 경우 해양관측장비와 달리 특정장비의 허여도가 높지 않은
반면 다양한 종류의 장비에 대한 공동활용 허여도를 나타냄 (1) 공동활용 대상장비 선정
○ 장비공동활용 수요와 허용 가능 장비를 파악해본 결과 현장관측장비의 경우 CTD가 장비공동활용 수요(4개부서)와 허용가능 부서(3개부서)의 수가 거의 일 치해 원내 공동활용 대상장비로써 가장 적합함. 실험실분석장비의 경우는 그 수 요와 허용가능 장비가 다양해 공통점을 찾기가 어려워 특정장비를 공동활용 대 상장비를 선정하기가 어려움
○ 매년 초 장비책임자 및 관리자를 통한 장비공동활용 수요조사 실시
▪ 장비 사용책임자가 매년 연구원 전산시스템에서 부서내 보유하고 있는 장비 중 공동활용이 가능한 장비여부와 타부서 장비 사용 계획을 시스템 상에서 매년 입력 ▪ 각 부서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장비공동활용 여부 판단 및 승인조치 ▪ 매년초 공동활용 계획을 미리 수립하여 동일한 장비 중복구매 방지 및 장비 활용도 극대화 ▪ 매년 축적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저활용․유휴 장비를 기기․검교정센터로 이
관하여 공동운영 추진
▪ 장비이력카드의 장비사용실적에 따라 유휴 및 저활용장비로 판정된 장비는 자 동으로 연구원 차원의 공동활용 대상장비로 선정되도록 제도 마련
○ 장비공동활용 수요조사를 통해 각 개별 연구자 및 소그룹간의 공동활용이 가능 한 장비와 연구원 차원의 중앙통제 공동활용장비로 분리됨
구 분 특성별 분류 장비명 부서(개)
해양관측장비
CTD 4
해수특성 YSI 1
Fluorometer 2
해류특성 ADCP 4
지형지층 Multibeam Echo Sounder 1
샘플채집장비 Grab 1
기타 기본관측장비 1
구 분 특성별분류 장비명 부서(개)
실험실 분석장비
현미경 전자현미경 1
주사현미경 1
질량분석장비 질량분석기 1
분리분석장비
액체크로마토그래피 2
영양염자동분석기 1
원소분석기 1
입도분석기 1
분광분석장비 분광광도계 1
배양장비 Incubator 1
바이오분석장비 Laser Flow Cytometer(FACS) 2
Real Time PCR 1
기타 화합물 분석장비 Master Sizer 1
Particle Analyzer 1
광파발생 및 측정장비 Spectral Optical Instrument 1
<표 13> 원내 장비공동활용 수요
구 분 특성별 분류 장비명 부서(개)
해양관측장비
해수특성 CTD 3
조위․파고 수압식 파고조위계 1
Wave Rider Buoy 1
지자기․중력 Magnetometer 1
통신장비 AR Command Unit 1
구 분 특성별분류 장비명 부서(개)
실험실 분석장비
현미경 광학현미경 1
질량분석장비 질량분석기 2
분리정제장비 Centrifuge 1
원심분리기 1
분리분석장비 LC/MS 1
분광분석장비 분광광도계 1
배양장비 Incubator 1
바이오분석장비 Real Time PCR 1
Sequencer 1
기타화합물 분석장비 Particle Analyzer(Sedigraph) 1
<표 14> 원내 공동활용 허용가능 장비
(2) 장비공동활용 방법
○ 각 개별자 및 소그룹간의 장비 공동활용 실시
▪ 연구분야의 특수성, 분석실험 자료의 연속성 및 신뢰성 유지․향상을 위해 중 앙통제로의 장비공동활용이 불가능한 경우 공동활용이 필요한 연구자들끼리 장 비 공동구입 및 공동관리 실시
○ 연구원 차원의 장비 공동활용 실시 및 지원
▪ 공동활용 수요가 많은 장비 또는 고가 장비의 경우, 연구원에서 중앙통제 공동활 용장비를 선정 및 신규 구입하여 연구원 차원에서의 공동관리 수행(장비관리 인 원, 스페이스, 비용 등 지원)
▪ 고가장비의 경우 전문 기술지원 담당자를 두어, 장비공동활용자가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잘 숙지할 수 있도록 SOP를 활용한 사전 교육이 필요
▪ 수요가 높은 장비에 대해서는 추가로 연구원에서 노후장비구입비로 공동활용 장비를 구입하여 수요흐름에 맞추어 로테이션이 가능하도록 투입
▪ 연초에 공동활용장비신청을 받아 장비소유자와 공동활용자간의 중재
(3) 장비공동활용 (신청)절차
○ 사용책임자는 공동장비 활용 내역을 별도로 자재업무담당부서에 신고
▪ 현황
- 전산시스템에서 ‘연구기장비 공동활용’으로 공동장비 활용 시 신고할 수 있게
되어있으나 그 실적이 미비함
* 공동장비 활용 시 전자시스템에서 신고
* 이력카드 시스템에 자동 기록되어 활용실적 지표로 활용
▪ 개선
- “기술장비공동활용관리지침” 공동장비 활용기간 동안 원외로 나가는 경우 물
품반출요령에 따라 물품반출입서를 제출 조항 추가
(4) 장비공동활용 사용료 처리
○ 1안
▪ 임대부서에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제 도입
- 연구원 사정상 내부사용자가 공동장비 활용 시 장비사용료 징수에 따른 문제
점 발생
- 연구원 내부 공동장비활용 시 장비 소유자에는 포인트 적립, 공동활용자에는
포인트 차감을 적용
- 차후 높은 포인트를 가진 부서는 공동장비활용 시 우선권 부여
○ 2안
▪ 연구원 내․외부활용의 경우 사용책임자는 공동장비 활용신청서와 “공동장비 사용료 청구서(명세서)”를 작성하여 그 사본을 첨부, 회계담당부서 기자재 공 동활용 수수료 수입계정으로 계정대체 의뢰
▪ 자산관리담당부서장은 부서 간 기자재 공동활용에 따른 수수료 수입을 위하여 공동수입계정을 운영(계정책임자)
▪ 사용책임자는 계정대체 금액 범위 내에서 계정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당해 기 자재 운영을 위한 재료비, 수선비, 제경비 및 기타 경비로 집행
▪ 회계담당부서장은 회계연도 말 동 계정에서 집행 잔액이 발생할 경우 이를 연 구원 잡수입으로 처리
(5) 책임 및 의무사항
○ 사용책임자의 의무
▪ 공동장비(원내, 원외) 사용일지 작성, 보관
- 이에 따라 각 연구부서에서 공동장비 활용 실적을 유지하지 않고 있는 실정임.
- 공동장비(원내, 원외) 사용일지를 작성, 보관함으로서 장비공동이용 실적을 유
지하게 함
- “기술장비공동활용관리지침” 제7조(사용책임자) 조항 추가
○ 활용자의 의무
▪ 현황
- 기술장비공동활용관리지침 활용자의 의무
- 장비의 기본 사용방법에 대한 기술 교육이 없음
▪ 공동장비 활용을 위한 장비 보험비 및 기타 제반비용 부담조항 없음
▪ 개선
- 기술장비공동활용관리지침상 제11조 활용자의 의무 “공동장비의 활용을 위한
장비보험비 및 기타 제반비용을 부담한다”는 조항 추가
- 장비의 기본 사용방법에 대한 SOP 교육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