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 통신 설비
▪ 기타 : 내부 단열재 마감
○ 해양관측장비 하드웨어의 수리․보수에 꼭 필요한 밀링, 선반 등은 관리․보관 동의 동일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지만 현재 여건상으로는 불가능함
○ 제1연구동 뒤편의 컨테이너에 있는 공작기계들을 관리․보관동 근처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
해 양 관 측 장 비 관 리 ․ 보 관 동 의 개 략 도
13 m 부출입문 보관용 앵글 주 출 입 문수리․보수용 작업대(1)
실험대 (계측기기 비치)
수리․보수용 작업대(2)모빌랙 (3련6단) 보관용 앵글 보관용 앵글 ※냉난방 설비, 전기(전원, 콘센트, 형광등 등),통신(전화, Lan) 시설 및 내부 단열 등 필요 [그림 17] 해양관측장비 관리․보관동의 개략도
2.1.2. 부산 이전 부지에 해양관측장비 관리․보관동의 신축
○ 부산 이전 부지에 신축 예정인 해양관측장비 관리․보관동의 적정한 시설 규모 는 안산 본원에서 선정한 공간을 운영해 본 후에 결정
○ 부산 이전 부지에서 우리연구원의 일원화된 공용 기반시설의 운용을 위한 최소 공간 및 시설은 다음과 같이 제시함
공간 및 시설 규 격 비 고
관리․보관동의 크기 •최소 2,400 m2 이상
기본 인프라 시설
•냉난방 시설
•전기, 통신(Lan) 시설
•수도(배수) 및 에어라인 설비
관리실 •장비의 반출입
공작기계실
•수직․수평 CNC
•선반, 밀링 및 표면 연마기
•절단기, 용접기 등 장비 세척실 •출장 후 장비 세척
장비 보관실
•장비 보관용 랙 설치
•대형 해양관측장비의 보관 가능
•기본적인 부품 자재 보관
해양관측장비 정비실 •출장 전․후 장비의 보수 점검 해양관측장비의 시험용
수조
•수조 내벽에 흡음재 설치
•10 m x 10 m x 10 m(H)
음향장비 시험용
전동지게차 •대형 전동 지게차 운용
(높이 5 m 이상 승강 운전 가능) 중량물 이동용 호이스트
설치 •10 t (천고 10 m 이상)
대형장비의 적하장 공간 •대형장비 운반차 출입 및 적하 가능
2.2. 해양관측장비 관리․보관동 운영
2.2.1. 해양관측장비 관리․보관동의 운영 방안
○ 부산 이전하기 전까지 해양관측장비 관리․보관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서는 장비 사용자와 담당부서의 능동적인 역할 분담이 필요
○ 현재 운영 부분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반영
업무내용 부 서
•장비의 제반 이력에 대한 기록 작성
(반출입, 사용실적 및 공동활용 등) 장비 관리책임자(사용자)
•해양관측장비의 전주기 관리를 위한 기장비의 도입에서 폐기까지의 이력관리
•장비의 반출입 현황 감시
•이력 관리 데이터에 대한 정보화 제공
자산관리 담당 부서
•장비의 반출입에 대한 실물 대조 확인
•보관동의 안전 및 시건 보안 담당부서
•보관동에 위치한 해양관측장비의 교정 및 검정 서비스 상시 제공
•보관장비에 대한 기술적 총괄 관리
기기검교정․분석센터
2.2.2. 보관 장비의 선정
○ 보관 장비의 선정은 CTD를 중심으로 조위․파고계 등 약 100 여대의 교정대상 장비를 우선적으로 선정해서 관리․보관
○ 각 연구부서로부터 기기검교정․분석센터로 이관한 장비를 대상으로 선정하며 점차 해류계, 수중지형․지층 관측장비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임
2.2.3. 장비의 반출입 감시 및 시건 장치
○ 보관동에 입고된 해양관측장비는 사전에 지정된 랙의 위치에 보관
○ 담당 부서에서는 지정석에 위치한 장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장비의 실 제 반출입 상태를 관리
○ 원내의 주요 장비가 보관되고 있는 만큼 CCTV 및 화재경보기 설치 등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