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절에서는 정책결정모델의 근간이 되는 정보 혹은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짐작하건대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의문 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위의 세 가지 정보를 알고 있다면 굳이 정책 결정모델이라는 분석틀에 집어넣지 않고서도 결과를 예측하는데 충분하지 않을까하는 의문이다. 어쩌면 이해당사자가 둘이나 셋 정도라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이해당사자의 숫자가 적으 면 모델을 빌리지 않아도 쉽게 예측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 정사안이 수면위로 떠오른 다음에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를 예상한 다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지역전문가는 앞에서 언급한 세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정책결정모델(Decision Making Model)의 개요 23 가지의 정보를 안다는 것이지, 이해당사자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 이고, 이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는 아니다. 북한에 일련의 사태가 터졌을 때 전문가 들은 북한이 이러한 행동을 한 배경, 의도,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전망을 내놓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난 후 돌아보게 되면 그들이 내 놓은 전망은 어긋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상은 그들이 북 한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전문가라서가 아니다. 단지 북한이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지를 경험적으로 축적된 사실(史實)에만 의 존하기 때문이다. 이해당사자들 간의 복잡한 상호관계 속에서 그 들의 움직임을 파악하려면 진일보한 분석틀이 필요한 이유다.
특정 행위자에 관한 경험적인 사실(史實)이 그의 선택을 전망하 는데 필요 없는 정보는 아니다. 하지만 다음의 예를 보면 행위자의 선택을 분석하는 분석틀이 왜 긴요한 것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특 정 사안을 둘러싸고 세 명의 이해당사자(「i」, 「j」, 그리고 「k」)가 상 호관계를 맺고 있다고 치자. 이 세 명의 이해당사자들은 각기 행동 선택을 하는데 있어 다른 행위자들 사이의 관계를 추리해야 한다.
「i」는 자신과 「j」 그리고 「k」와의 관계에서 자신이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동시에 「i」는 「j」와 「k」가 자신과의 관계 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도 알아야 한다. 또한 「i」는 「j」와 「k」의 관계에서 「j」와 「k」가 어떻게 자신들의 입장을 서로 평가하고 있 는지도 알고 싶어 한다. 결국 이해당사자가 셋일 경우 각각의 이해 당사자가 판단과 평가를 내려야 하는 관계는 6개이기 때문에 총 18개의 상호관계를 평가해야 한다. 행위자가 늘어나면 평가를 내 려야 하는 관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예를 들어 5명의 행위 자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 모든 경우의 수는 120×5=600개
24 북한 핵문제의 전망과 대응책
가 된다.12
정책결정모델은 앞에서 언급한 수많은 건수의 상호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예측을 하는 분석틀이다. 혹자들은 수많은 상호관계의 건수를 분석하는 정책결정모델의 현실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 다. 즉, 하나의 행위자가 수많은 경우의 수를 염두에 두고 정책을 선택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고 단정할 수 있으며 올바른 지적일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의 세계에서 그러한 행위자는 없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현실의 세계에서 하나의 결말이 만들어지려면 모든 경우의 상호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과 반작용을 거듭 한다는 것이 다. 단지 수많은 상호작용의 관계의 가운데 있는 행위자가 인지하 지 못하는 상호관계가 있을 뿐이다. 정책결정모델이 갖는 장점이 여기에 있다. 인간이 모든 경우의 상호관계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 에 정책결정모델은 인지하지 못한 기회나 대안을 찾아 보여줄 수 있다. 이해당사자가 여럿인 경우 내가 선호하는 대안을 고집한다 고 해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만은 없다. 내가 움직일 수 있는 행 위자를 찾아야 하고 또 그 행위자가 움직일 만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백퍼센트 나의 선호와 맞는 결과가 만들어질 수 없다면 선호 에 가까운 결과를 얻는 것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 정책결정모델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12_행위자가 A, B, C, D, E 다섯 명일 경우 A라는 행위자가 판단해야 하는 상호관계 는 5!=5×4×3×2×1=120이 된다. 이때 각각의 행위자가 판단해야 하는 경우를 합 하면 120×5=600이 된다.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정책결정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논리 구조 25 북한
핵문 제의
전망 과 대응 책: 정책 결정 모델(Decision Making Model)
을 이용 한 전략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