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라는 속담이 있다. 상호관계가 있 어야지만 결과가 발생한다는 의미다. 같은 맥락에서 상호관계를 통해 결말이 도출된다는 것은 결과가 만들어지기 위해선 나의 선
30 북한 핵문제의 전망과 대응책
택에 따른 행동과 상대방의 행동선택이 합쳐져야 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 이해당사자들 간의 상호관계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즉, 이해당사자들이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을 비유하자면 자 신의 편으로 서로 끌어당기는 과정도 있을 것이고 또 밀어내는 과 정도 있을 것이다. 갈등과 타협이 병행하는 역동적이면서 반복되 는 과정일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거치게 되면 이해당사자들 의 초기 입장은 변화의 과정을 겪게 될 것이다. 전망이나 예측은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종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결정모델은 각각의 이해당사자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정치적인 계산을 하고 또 행동을 선택하는지 모 형을 구성하였다. <그림 Ⅲ-1>은 정책결정모델이 이해당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전체적인 단계와 과정을 요약한 것이 다. 왼쪽 맨 위의 그림을 보면 막대그래프로 표현한 각각의 이해당 사자들은 일차원 선상에 표시된 정책적 입장에서 서로 다른 위치 를 점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해당사자들을 서로 다른 위치 에 표시한 것은 그들이 선호하는 정책입장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막대그래프로 표시한 각각의 이해당사자의 크기가 다 른 것은 해당 이슈에서 이해당사자의 영향력이 상이한 것을 나타 낸다. 따라서 왼쪽 맨 위의 막대그래프 그림은 이해당사자들이 선 호하는 입장과 그들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초기의 정치적 지형이 다.
초기의 정치적 지형을 바탕으로 정책결정모델은 다음 절에서 살 펴볼 나름의 규칙과 등식(等式)을 이용하여 이해당사자들의 행동 을 도출하고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이해당사자가 선호하는 입장, 그리고 영향력과 현저성과 같은 데이터는 그들의 행동선택을 분석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정책결정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논리 구조 31 하는 자료로 쓰이게 되며, 등식(等式)은 그들의 행동선택 유형을 도출하는 방법이 된다. 이해당사자들의 예상행동을 도출하는 것은 공간협상(spatial bargaining)에서 중위위치(median position)를 찾 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모델은 우선 정치적 중심위치를 찾아내는 것에서 출발한다. 일반적으로 정치적 중심이라는 것은 정치적인 타협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지점이다.18
그림Ⅲ-1 정책결정모델의 분석단계
출처: SENTIA Group, Inc., SENTURION World Bank Training EASPR, April 2008.
18_공간협상모델에서 정치적 중심은 균형점을 일컫는 것으로 다른 어떤 입장보다 타협이 이루어지기 쉽고 또 다른 대안보다 합의를 이룰 가능성이 높은 지점을 말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논의는 다음을 참조. Melvin J. Hinich and Michael C. Munger, Analytical Politic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pp. 50~72.
32 북한 핵문제의 전망과 대응책
타협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입장, 즉 중위위치는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된 위치인 반면, 중위위치로부터 거리가 멀면 멀수록 그 위치에서 최종타협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분명 자신이 원하 는 결과를 얻기 위해, 아니면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지켜내기 위해 저항하는 이해당사자는 존재하기 마련이다. 만일 위험을 각오한 이해당사자라면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도박에 가깝다고 할지라도 모험적인 행동을 선택할 것이다. 역으로 추론 하면 중위위치에서 거리가 먼 위치를 선호하는 행위자는 위험을 각오하는 행동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에, 위험을 회피하려 는 이해당사자는 보다 유연한 행동을 할 것이다.19 즉, 자신의 선호 도가 중위위치에 가까운 행위자일수록 타협을 이끌어 내기 위해 흥정을 할 가능성이 높다.20 만일 위험감수적인 이해당사자라면 다른 이해당사자가 파악하는 상호작용의 성격을 왜곡해서 받아들 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정책결정모델은 모든 이해당사자들 간
의 쌍(dyad)에서 정치적인 흥정을 통해 누가 자신이 선호하는 정
책입장에 가까운 결과를 만들어 내서 이득을 얻을지 아니면 손해 를 볼 지를 측정한다. 전체 이해당사자 쌍에 대한 분석은 어느 이 해당사자가 본래 자신이 선호하는 정책입장에서 물러나 다른 입장 으로 변화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이해당사자의 정책입
19_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제Ⅲ장 3절의 ‘다. 위험대응도(Risk)’ 부분을 참조.
20_위험감수(risk-taking) 혹은 위험회피(risk-averse)적인 행위자의 행동선택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 Bruce Bueno de Mesquita, Principles of International Politics: People’s Power, Preferences, and Perceptions, pp. 78~81.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정책결정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논리 구조 33 장 변화는 다시 반복해서 분석하는 초기데이터가 된다. <그림 Ⅲ
-1>에서 왼쪽 가운데 막대그래프 그림이 변화된 이해당사자들의
정책입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만일 이해당사자들의 초기 입장이 변했다면 이는 전체적인 중위위치도 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 위위치가 변했다는 것은 다시 이해당사자들의 위험인지, 즉 위험 에 대응하는 성향도 변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까닭에 이해당사자들 간에 발생하는 정치적인 흥정도 변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정책결정모델은 이해당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반복해서 분석한 다. 반복되는 분석은 대다수의 이해당사자들이 정치적 흥정으로 더 이상 이득을 취하지 않게 되는 시점까지 진행된다. <그림 Ⅲ-1>의 왼쪽 맨 아래 막대그래프 그림이 이해당사자들 간에 더 이상의 흥 정이 없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치적 지형이며, 정책결정모델의 전 망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렇게 중위위치가 변하는 각각의 단 계를 정책결정모델에서는 라운드(round)라고 명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