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전시공간 분석 및 활용방안

가. 주제전시공간과의 연계성

□ 개념적 연계성

○ 주제 구현의 핵심시설인 주제관에서 주제의 개념적 표현(Concept)과 그 구 체적인 실현 중 최우수 사례(Fact)를 전시함으로써 개념의 실현 가능성과 노 력들을 보여줌

□ 공간적 연계성

○ 1층 주제 전시공간, 2층 OCBPA공간으로 각각 분리하며, 주제관 진입 시 선 택 동선으로 관람을 유도함으로써 동선의 효율성과 OCBPA의 관람 요구자 들에게 가장 효율적인 관람동선을 제공함

나. 전시공간 구성

□ 전시 기본방향

○ 1층 전시와 2층의 전시공간이 서로 어우러질 수 있도록 연출적 방법에 있어 두 공간을 동시에 고려하여 구성

○ 주제를 표출하는 주제관이라는 공간 안에 담겨있는 전시인 만큼 주제관과의 연계를 고려한 컨텐츠 구성

○ 주 타겟층인 준 전문가의 수준에 맞는 전시 연출과 내용적 구성 필요

○ 일반 관람객 또한 이해 가능하도록 배려한 쉽게 이해 가능한 전시요소 고려

○ 분야별로 선정된 과학 및 기술, 산업 및 비즈니스, 정책 등을 전시하는 기획 초청전시와 바다와 관련된 창조적 제안이나 획기적인 아이디어 등을 공모하 는 자유전시를 공간상 구분 없이 전시주제 및 연출방식의 연계성에 따라 체 계적으로 전시

○ 참여하는 기관, 단체의 전시 설치에 관한 요구사항 및 규모가 상이할 것이 므로 전체 공간을 하나의 스토리텔링에 따라 사전 치밀한 기술협의가 필요 하며, 이에 따라 균형잡힌 조화로운 공간구성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OCBPA 공간 내부의 전시물 구성 계획 시 현 건축공간의 높이와 타 전시물

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높이의 상한을 정함

○ 기획초청 전시연출

- OCBPA의 목적과 기본 개념을 고려한 전체 컨셉을 설정

- 각 카테고리별 컨텐츠의 성격에 맞는 핵심 전시물을 계획하고, 전체 통일성 을 유지하며, 전시물과 컨텐츠 및 매체는 참가자가 자율적으로 주어진 공간

25

□ 전시공간 분석

구분 연출내용 천정높이

구역 310.41㎡ 5,500~7,600mm

구역 1,075.14㎡ 4,300~6,000mm

구역 235.37㎡ 4,300~5,400mm

구역 234.38㎡ 4,500~7,300mm

1,855.30㎡ -

건축 실시설계 납품도면 기준

○ 평면구성

- 2층 홀 역할을 하는 전시공간과 각각의 독립된 실로 구성된 세 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

- 1, 2층 사이의 VOID공간이 있어 시각적으로 연계된 연출이 가능

- 비정형적이며 유기적 형태의 평면으로 공간의 모듈화를 고려 시 기존의 사 각형 시스템 부스의 적용은 어려움

Ⅱ구역

1,075.14㎡

Ⅳ구역

234.38㎡

Ⅲ구역

235.37㎡

Ⅰ구역

310.41㎡

○ 단면구성

3전시실 4전시실

2전시실

- 공간의 천정 높이가 최고 7,600mm, 최저 4,300mm으로 일정하지 않아, 전 시 컨텐츠별 전시물의 특성에 맞는 높이 기준의 설정 필요

- Ⅱ구역 전시공간은 2층 홀의 역할과 함께 좁고 긴 특성을 가지므로, 관람객 이 각각의 해양과학 및 기술, 해양산업 및 비즈니스, 해양정책 전시공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각 공간으로의 동선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

- 개별 둥근형태의 3개 전시실(Ⅰ구역, Ⅲ구역, Ⅳ구역)은 각각의 실로 구성되 어 테마화 된 전시공간 구성이 가능

Ⅱ구역

27

□ 전시연출(안)

○ 컨 셉

바다와 소통할 수 있는 길(路)의 확장

바다를 알고, 이용하고, 보존하는 인류의 활동을 확장시키는 실제적인 사례를 통해 바다와 인류가 상생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그려봄

- 해양과학 및 기술

Ÿ 시시각각 변화하는 해양 데이터와 수많은 정보를 대중적 친숙한 소재로 접근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

Ÿ SOS System과 같이 바다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핵심 연출을 중

심으로 미디어테이블과 미디어 폴을 구성하여 해양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검색

Ÿ 참가자별 컨텐츠를 전시할 수 있는 부스설치

Ÿ 해양 정보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와 함께 각각의 기관 및 기구가 가진 특성을 전시

- 해양산업 및 비즈니스

Ÿ 좁고 비정형적인 공간 조건을 고려하여 행잉형 부스를 설치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확보

해양정책

해양과학 기술 해양산업 및 비즈니스

해양산업 비즈니스

Ÿ 중앙에 연․근해에서 이루어지는 산업과 경제활동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형 디오라마를 중심으로 한 공간 구성으로 과학적 원리와 개념을 쌍방 향 체험적 방식으로 전달하여 관람객의 전시 이해를 높이도록 구성

- 해양정책

Ÿ 해양 정책에 의해 잘 관리되고 있는 해양환경의 모습을 감상한 후, 주제 전달로 전시를 마무리하도록 구성

Ÿ 관련 이벤트 및 캠페인을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참여형 공간구성

※ 각 분야별, 사례별 전시물에 따라 공간연출은 변경될 수 있음

○ 연출구성

구분 연출내용 연출매체 위치 및 면적

해양 과학

기술

전지구 관측 시뮬레이션 핵심전시물을 설치하고, 해양관측이 전지구 환경과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 세부 활용사례를 참가자별 부스를 제작하여 전시토록 구성

- SOS SYSTEM - 미디어 테이블 - 검색 시스템

- 부스제작, 그래픽 패널, 관련 모형전시, 그래픽 패널

구역 310.41㎡

해양 산업

비즈 니스

바다를 이용한 에너지, 식량, 광물자원의 이용 모습을 대형 디오라마로 재현하고, 참여 기업별 부스를 제작하여 전시하도록 구성

- 대형 디오라마 모형 (연안~심해까지의 바다 모습 / 컨텐츠별 실물 및 모형

- 부스제작, 그래픽 패널, 검색 시스템

구역 1,075.14㎡

구역 235.37㎡

해양 정책

해양 관련된 정책과 제도에 대한 소개영상, 이를 통해 잘 보존된 해양 환경에 대한 영상 상영

- 프로젝터, 스크린, (3D입체영상 상영가능 시스템), 관람석 - 그래픽 패널

구역 234.38㎡

도입소개 OCBPA개념과 철학 등

전시내용에 대한 Preview

행잉 그래픽 판넬 및 키네틱아트를 활용한 영상물 등

2층 입구구역

1,855㎡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Ⅲ. . .

Ⅲ.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참가 및 선정절차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OCBPA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참가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및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선정절차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