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Ⅱ. 제언
제5장 결론 및 제언
Ⅰ. 결론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의 사전모니터링을 통해 식생상태 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를 대상으로 식물상, 현존식생, 녹지자연도, 식 생군집구조(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유사도지수)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산국립공원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에 분포하는 식물상은 82과 173속 222종 19변 종 2품종 1아종으로 총 24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총 15분류군으로 소리쟁이, 미국 자리공, 흰명아주, 미국가막사리, 원추천인국, 서양민들레, 개망초, 달맞이꽃, 큰김의털, 왕포아 풀 등으로 나타났다. 지리산국립공원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에서 확인된 특정식물은 Ⅴ 등급종으로 가시오갈피와 왕벚나무 2종이, Ⅳ등급종은 고로쇠나무 1종이, Ⅲ등급종은 구상나 무, 노각나무, 단풍나무, 참당귀, 고려엉겅퀴, 광릉용수염, 개고사리, 개회나무 8종이, Ⅱ등급종 은 주목과 회목나무 2종이, Ⅰ등급종은 잣나무, 개비자나무, 물오리나무, 차나무, 까치밥나무, 노랑물봉선, 대팻집나무, 참빗살나무, 까치수염, 물들메나무, 민바랭이새 등 총 2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현존식생은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공사지와 주변일대에서 신갈나무군락이 54.3%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22.3%), 복구공사지(11.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녹지자연도는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와 주변일대에서 8등급지역이 81.4%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복구 공사지인 1등급지역(11.0%), 6등급지역(5.4%)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군집구조는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는 4개의 대조구와 12개의 조사구를 비교한 결 과 조사구의 수고생장은 대조구의 약 3.1%수준이었다. 피복율은 조사구에서 식재모듈의 식재 수종에 의해서 병꽃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관목류가 약 20%로 우점하였으며, 대조구는 교목층 과 아교목층이 30%로 피복율이 높았다. 종다양도지수는 조사구 평균 0.9863, 대조구 평균 2.2898로 조사구가 대조구에 비해 43.07%으로 유사하였다. 대조구간 22.9%의 유사도지수에 반 하여 대조구와 조사구 12개소의 유사도지수 평균값은 0.45%로서 약 1.9%수준으로 종구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목층과 지피층의 식재수종이 추후 관목림과 아교목층으로 수 관층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복원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 훼손지역인 경우 식생회복이 주변 자연림대비 20%수준까지 이 루어지는데 복원공사 완료 후 20여년이 소요된 점을 고려할 때(오구균, 2017) 심원마을의 훼손 지 복구 공사지도 주변 자연림과 같은 상태가 될 때까지는 앞으로 50여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 될 것이라 추정된다.
Ⅱ. 제언
첫째, 지리산국립공원의 심원마을 철거에 따른 훼손지의 식생복원 공사 후 최소한 50여년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식생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 국립공원 아고산대지역 훼손지의 효과적인 식생복원에 대한 식생군집구조를 연구하고 파악하는 등 국립공원 훼손지 복구 공사지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국립공원 내 훼손지에 대한 많은 식생복원공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식생복원공사 후 식생회복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현미(2014) 산림생태계 복원 유형별 모니터링을 통한 복원효과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조 경학과 박사학위논문. 196쪽.
강현미 ․ 오구균 ․ 박석곤(2014) 무등산국립공원의 인공림 복원을 위한 식생구조 특성. 한국 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4(2):79-80.
김혜주 ․ 이옥화(1999) 낙산지역의 식생복원을 위한 자연환경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261-270.
김종원 ․ 이은진(1997) 다항목 매트릭스 식생평가 기법-식생의 자연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그 적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5) 303~313.
김종원 ․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 방법. 월드사이언스. 240쪽.
김철의(2010) 국립공원내 외래종 조림지의 벌채 후 식생회복에 관한 모니터링. 호남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80쪽.
국립공원관리공단(1994) 지리산국립공원 훼손지 복구 환경조사 및 실시설계. 141쪽.
국립공원관리공단(1998) 국립공원30년사(1967-1997).국립공원관리공단. 540쪽.
국립공원관리공단(2006) 지리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540-585.
국립수목원(2013) 식별이 쉬운 나무도감. 지오북. 725쪽.
광주광역시(2010) 무등산공원계획 타당성검토, 자연자원조사 및 보전·관리계획(안). 407쪽.
권재환 ․ 신민경 ․ 이강협 ․ 송호경(2013) 지리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 회지. 27(5): 529-543.
박선홍 (2009) 훼손된 5개 국립공원 고산대의 식생회복과정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168쪽.
신현탁 ․ 오구균 ․ 박석곤 ․ 이명훈 ․ 윤정원 ․ 김기송 ․ 성정원(2013) 지리산국립원 노 고단 야영지 지역의 복원 후 식생변화.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7(2):1-14.
안현철 ․ 안주언 ․ 박삼봉 ․ 조현서 ․ 안종빈(2014) 지리산국립공원 주요계곡부의 관속식 물상. 농업생명과학연구. 48(4): 81-107.
오구균(2017)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일원 식생복원지 회복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1(1):93-103.
오구균 ․ 우보명 ․ 김동완(1997)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황폐나지의 식생복원공법 개발.
환경생태학회지 11(1):37-45.
오구균 ․ 권태호 ․ 이준우 ․ 유기준 ․ 최송현(2005) 숲길 정비 매뉴얼. 수문출판사. 229쪽.
오현경 ․ 박경욱 ․ 변무섭 ․ 강병선 ․ 김은창 ․ 지기선(2013) 지리산국립공원 남부 훼손 지 복구 모니터링-기존 군부대와 야영장 부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23(2):79-80.
이경재 ․ 조우 ․ 조현서(1993) 한라산 아고산지대 식물군집구조 및 식생훼손. 응용생태연구 6(1):44-54.
이유미 ․ 박수현 ․ 정수영 ․ 오승환 ․ 양종철(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
환경생태학회지. 41(1):87-101.
이창복(2005a) 원색대한식물도감 상권. 향문사. 914쪽.
이창복(2005b) 원색대한식물도감 하권. 향문사. 910쪽.
장창기 ․ 김윤영 ․ 지성진 ․ 고은미 ․ 양종철(2007) 지리산국립공원의 식물상 연구. 식물 분류학회지. 37(2):155-197.
정승준(2001) 국립공원 능선부 훼손지 식생복원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 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3쪽.
최대훈(2015)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일원 훼손지 식생복원사업 평가.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0쪽.
한국산지보전협회(2006) 전국 우수 산림생태 복원 사례집. 164쪽.
한국양치식물연구회(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400쪽.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2012)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44-226.
홍행화 ․ 장정원 ․ 선은미 ․ 김별아 ․ 김상준 ․ 서승룡 ․ 임형탁(2013) 무등산 지역식물 상. 한국환경생물학회. 31(2):121-153.
Brown-Blanquet,J(1964) Pflanensoaiologi. Aufl, Springer-Velag, Wein, N.Y. 865pp.
Cox, G.W(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 232pp.
Franklin, J.E., C.S. Bledsoe., J.T. Callahan(1990) Contributions of the Long-Term Ecologocal Program. Bioscience. 40(7):509-523.
큰듬성이삭새 족도리풀
둥굴레 눈빛승마
청가시덩굴 좀깨잎나무
부록 1.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 출현식물
층층이꽃 흰명아주
할미밀망 미국가막사리
계요등 쇠무릎
이고들빼기 배초향
부록 1. 계속
오리방풀 인동덩굴
돌콩 털진득찰
돌나물 복분자딸기
부록 1. 계속
한글명 국명 학명 1차 2차 추가(공
단) 비고
속새과 쇠뜨기 Equisetum arvense ○ ○
고사리과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
넉줄고사리과 넉줄고사리 Davallia mariesii ○
면마과
개고사리 Athyrium niponicum ○ Ⅲ
뱀고사리 Athyrium yokoscense ○
왕고사리 Deparia pterorachis ○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chinensis ○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
개면마 Matteuccia orientalis ○
만주우드풀 Woodsia manchuriensis ○
산우드풀 Woodsia subcordata ○
고란초과 산일엽초 Lepisorus ussuriensis ○
은행나무과 은행나무 Ginkgo biloba ○
소나무과
구상나무 Abies koreana ○ ○ Ⅲ
소나무 Pinus densiflora ○
잣나무 Pinus koraiensis ○ ○ Ⅰ
스트로브잣나무 Pinus strobus ○
개비자나무과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koreana ○ ○ Ⅰ
주목과 주목 Taxus cuspidata ○ ○ Ⅱ
가래나무과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 Ⅰ
버드나무과 떡버들 Salix hallaisanensis ○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 ○
자작나무과
물오리나무 Alnus sibirica ○ ○ Ⅰ
개서어나무 Carpinus tshonoskii ○ ○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 ○ 물개암나무 Corylus sieboldianavar. mandshurica ○
참나무과 밤나무 Castanea crenata ○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 ○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 ○
느릅나무과 팽나무 Celtis sinensis ○ ○
느릅나무 Ulmus davidianavar.japonica ○ ○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 ○
두충과 두충 Eucommia ulmoides ○
뽕나무과 산뽕나무 Morus bombycis ○ ○
삼과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 ○
쐐기풀과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 ○
모시물통이 Pilea mongolica ○ ○
꼬리겨우살이과 겨우살이 Viscum album ○
마디풀과
이삭여뀌 Persicaria filiformis ○ 긴미꾸리낚시 Persicaria hastatosagittata ○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 ○
산여뀌 Persicaria nepalensis ○
장대여뀌 Persicaria posumbu ○
미꾸리낚시 Persicaria sagittata ○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senticosa ○ ○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 ○
소리쟁이 Rumex crispus ○ 귀화
자리공과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 귀화
쇠비름과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
부록 2. 심원마을 훼손지 복구 공사지 식물상
한글명 국명 학명 1차 2차 추가(공
단) 비고
석죽과 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var. hallaisanense ○
개미자리 Sagina japonica ○
석죽과 벼룩나물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
명아주과 흰명아주 Chenopodium album ○ ○ 귀화
비름과 쇠무릎 Achyranthes japonica ○ ○
목련과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
오미자과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
녹나무과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 ○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 ○
미나리아재비과
눈빛승마 Cimicifuga dahurica ○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 ○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 한국고
유
으름덩굴과 으름덩굴 Akebia quinata ○ ○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
다래나무과 쥐다래 Actinidia kolomikta ○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
차나무과 차나무 Camellia sinensis ○ ○ Ⅰ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 ○ Ⅲ
양귀비과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var. asiaticum ○ ○
십자화과 냉이 Capsella bursa-pastoris ○
황새냉이 Cardamine flexuosa ○
돌나물과 돌나물 Sedum sarmentosum ○
범의귀과
노루오줌 Astilbe rubra ○
물참대 Deutzia glabrata ○ ○
매화말발도리 Deutzia uniflora ○ ○
산수국 Hydranga serrata f.acuminata ○ ○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 ○
까치밥나무 Ribes mandshuricum ○ Ⅰ
장미과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
뱀딸기 Duchesnea indica ○ ○
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 Ⅴ
찔레나무 Rosa multiflora ○ ○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 ○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 ○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f.simpliciflora ○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 ○
콩과
새콩 Amphicarpaea bracteata ○
자운영 Astragalus sinicus ○
차풀 Chamaecrista nomame ○
돌콩 Glycine soja ○ ○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
비수리 Lespedeza cuneata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 ○
칡 Pueraria lobata ○ ○
토끼풀 Trifolium repens ○ 귀화
괭이밥과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
부록 2.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