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1) 긍정적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임종간호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죽 음(준비)교육프로그램이나 임종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교육과정은 임종간호 경험이 풍부한 간호사를 활용한 실습교육을 포 함하도록 하고, 교육 시간은 태도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정도이 어야 한다.
2) 본 연구는 전국 시설 중 노인 입소 정원이 100인 이상인 곳을 대상으로 만 연구하였으므로 10인 미만, 10인 이상~30인 미만 30인 이상~100 인 미만인 곳의 간호사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입소규모에 따른 시설 분포 비율을 고려하여 각 입 소규모의 비율에 따라 입소정원 별 시설을 포함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 다.
3) 임종 노인과 그 가족에게 양질의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시설 이 임종간호 교육을 이수한 간호사를 일정비율 확보하도록 하고, 임종 간호에 대한 신규 또는 계속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4) 시설간호사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죽음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는 차 이가 있었다. 노인요양시설에는 간호사 이외에도 간호조무사, 요양보 호사가 함께 일하고 있으며 이들도 임종간호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시설 내 타 직종을 모두 포함하여 직종간 비교 연구도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은실, 송희안과 서영애 (1998). 병원 직원들의 임종 및 호스피스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7
(1), 60-80.강정화 (2011).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 삼육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2
011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서울: 저자.김대행 (2008). 언어교육과 문화인식.
한국언어문화학, 5
(1), 1-62.김명숙 (2010).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철학적 고찰
. 유 교연구
, 22, 73-108.김미원, 박정모와 한애경 (2011). 4년제 간호학과 교과과정 분석.
한국간호 교육학회지, 17
(3), 416-425.김분한, 전미영과 강화정 (1997).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의식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9
(3), 453-461.김선화 (2008).
죽음에 대한 현대인들의 태도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인천.김성은 (2011).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김순희와 김동희 (2011).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관련 교육경 험과 교육 요구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
(3), 407-415.김용표 (2004). 불교에서 본 죽음과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19
, 57- 79.김은희와 이은주 (2009).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9
(1), 1-9.김지현 (2008).
죽음에 대한 공포와 수용 및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 는 변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김현숙, 유수정, 박순현, 최성은과 김상희 공역 (2012).
호스피스완화간호
교육과정: ELNEC 인터내셔널
. 서울: 서원미디어.김희경 (2002).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동국대학교 불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노선숙 (2010).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및 임 종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서울.노유자, 한성숙, 안성회와 김춘길 (1995).
호스피스와 죽음
. 서울: 현문사.노인복지법 (2012).
제4장 제34조 1회
. Retrieved May 3, 2012,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p=&query=%EB%85%B8%EC%9D%B8%EB%B3%B5%EC%A7%80%
EB%B2%95#liBgcolor1.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2012).
별표 4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시설기준 및 직원 배치기준(제22조제1항 관련)
. Retrieved December 20, 2012,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p=&q uer y= % E B% 8 5 %B8 % E C%9 D% B8 % E B% B3 % B5% E C%A 7%80%EB%B2%95%20#AJAX.
노인요양시설 사망노인(2007). 네이트 지식. Retrieved 5 May, 2012, from http://ask.nate.com/knote/view.html?num=373665&d=0&l=
&ps=kl&pq=.
노준희, 엄지연, 양경순과 박효선 (2009). 신규간호사의 임종경험.
질적연 구, 10
(1), 51-62.대한간호정책연구소 (2006).
분야별 활동간호사 및 유휴간호사 현황 분석 연구
. 서울: 저자.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2000).
한국인의 죽음관
. 석당논집, 서울:저자.
문창진 (2011).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 좌표와 지향점. In
노인장기요 양보험 시행 3주년 기념식 및 국제심포지엄: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지 속가능한 발전방안
(p 67). 서울: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박가실 (2007).
노인 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 간호 교육이수 및 수행 현황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석춘 (1991).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박양은 (2011).
호스피스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박은숙, 박영주와 임지영 (2004). 사회복지시설 근무 간호사의 실태조사 및 역할 활성화 방안.
대한간호, 43
(1), 62-82.배은숙 (2002).
불교 호스피스 실태와 활성과 방안에 대한 연구: 정토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보건복지부 (2007)
보건복지통계연보 2007
. 서울: 저자.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정책 보고서 2012-04). 서울: 저자.안순남 (2004).
말기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고통 경험 정도, 죽음에 대 한 성향 및 임종 간호 수행 정도와의 관련성
.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경상북도.어단연 (2010).
간호사의 죽음 불안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
. 부산가톨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위키백과. Retrieved May 6, 2012, from
http://ko.wikipedia.org/wiki/% ED%83%9C%EB%8F%84.
유래경 (2004).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임종간호 수행
.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춘천.유혜숙 (2008).
노인요양복지시설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윤영주 (2009).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소진과의 관계
. 한양 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윤현국, 윤영호, 오상우, 고희정과 허봉렬 (2010). 한국인의 사망 장소와 관 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22
(7), 1077-1085.이명자 (2009).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실태와 개선방안
.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울산.
이운영 (2008).
Wong의 죽음태도 척도의 타당화
.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대전.이윤경 (2010). 노인특성의 변화 및 정책 제언(1994~2008년).
보건․복지 Issue & Focus, 55,
1-8.이은옥, 임난영과 박현애 (1998).
간호․의료연구와 통계분석
. 서울: 수문사.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인숙, 김종임과 배종이 등 (2009).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 서울: 수문사.이태화 (2011). 제도 시행 3년의 임상적 성과. In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3 주년 기념식 및 국제심포지엄: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p 9). 서울: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이학식과 임지훈 (2013).
SPSS 20.0 매뉴얼
. 서울: 집현재.이향련, 이연옥, 최은영과 박영미 (2007).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 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 연구.
종양간호학 회지, 7
(1), 26-35.임대순 (2004).
간호사의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 아주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장연집 (2005). 죽음에 대한 실존적 불안과 고통 완화를 위한 통합적인 심 리적 접근 가능성.
심리치료, 5
(1), 23-41.장휘숙과 최영임 (2008). 죽음공포와 죽음수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2
(2). 59-76.전미희 (2008).
응급실 &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에 대 한 인식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조계화, 이현지와 이윤주 (2005). 휴먼서비스 전공분야 대학생의 죽음태도 유형.
대한간호학회지, 35
(5), 829-841.조영자 (2011).
응급실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아주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조유향 (2003).
호스피스
. 서울: 현문사.조혜진 (2004).
죽음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미 치는 영향
.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주.지경애 (2004).
간호사의 영적건강, 정신건강, 죽음의식이 호스피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 전.지경애와 김은주 (2005). 간호사의 호스피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4
(3), 285-291.진중권 (2005).
춤추는 죽음
. 서울: 세종서적.최기복 (2006). 제2절 죽음의 동양철학적 이해(유교, 불교, 도가의 사생관) In 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호스피스 완화간호
(p 23).서울: 군자출판사.
최선민 (1999).
한국 전통 상례의식과 개신교 상례의식의 비교연구
. 호남신 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최순희, 이은주와 박민정 (2002). 일 간호대학생들의 전공학습 전과 후 죽 음에 대한 성향비교.
기본간호학회지, 9
(3), 424-433.최인덕과 이은미 (2010).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 율적 연계방안.
한국노년학, 30
(3), 855-869.최우영 (2009). 신의 의지와 인간의 기억-유교와 기독교의 ‘죽음론’ 소고.
동양사회사상, 20
, 101-128.통계청 (2009). 생명표. Retrieved May 7, 2012,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 Main.jsp?idx_cd=2758.
통계청 (2010a). 2010 사망원인통계자료(마이크로데이터). Retrieved April 13, 2012, from
http://mdss.kostat.go.kr/mdssext/DataProcessing/extraction/Ex tract.jsp.
통계청 (2010b). 2010 장래인구추계. Retrieved May 6, 2012,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
=read&aSeq=252623.
표은영 (2008).
간호사의 노인간호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서울.한상숙과 이상철 (2012).
SPSS/Amos를 활용한 간호․보건 통계분석
. 서울:한나래.
한정란 (2003).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23
(4), 181-194.Ali, W. G .M., & Ayou, N. S. (2010). Nurses’attitudes toward caring for dying patient in Mansoura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Medicine and Biomedical Sciences
,1
(1), 16-23.Ardelt, M., & Koenig, C. S. (2006). The role of religion for hospice patients and relatively healthy older adults.
Research on Aging, 28
(2), 184-215.Barrere, C. C., Durkin, A., & LaCoursiere, S. (2008). The influence of end-of-life education on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
(1), 1-18.Billings, J. A. (1998). What is palliative care?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
(1), 73-81.Black, K. (2007). Health care professionals' death attitudes, experiences, and advance directive communication behavior.
Death Studies, 31
(6), 563-572.Braun, M., Gordon, D., & Uziely, B. (2010). Associations 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ogy Nursing Forum, 37
(1), E43-49.Cohen, A., Pierce, J., Chambers, J., Meade, R., Gorvine, B., & Koenig, H. (2005).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sity, belief in the afterlife, death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in young Cathol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