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절변수는 다른 두 변수와의 관계를 조절하거나 영향을 미쳐,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를 나타나게 하는 변수를 말한다. 조절변수는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킨다. 즉, 독립변수와 종 속변수간의 관계가 제3의 변수가 취하는 값에 따라 달라질 때 제3의 변수 를 조절변수라고 한다

34) 김병섭, (2008),「편견과 오류줄이기」, 법문사, pp.138-146, 인용

[그림 3. 변수 간 관계]

예를 들면, 비만치료센터에서 2가지 다이어트요법 A, B와 한 가지 운동 프로그램으로 치료를 하려고 한다. 고객이 다이어트만 했을 경우 A와 B의 체중감소효과는 거의 같았다. 그런데 운동프로그램과 결합했을 경우 다이 어트 A보다 다이어트 B가 체중감소효과가 훨씬 크다고 하자. 이 경우 운 동프로그램은 다이어트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고객의 연령 또는 성별에 따라 다이어트 요법의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날 경우 연령 또는 속성이 조절변수가 된다.

통계분석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라고 부르 는데, 독립변수의 영향을 의미하는 주효과 (Main Effect)와 구분하여 독립 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라고 부르며, 이를 조 건적 효과(Conditioning Effect), 부수적 효과 (Contingency Effect), 또는

결합효과 (Joint Effect)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므로 조절변수와 매개변 수는 모두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개입한다는 점에서는 유 사하지만 그 경로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사전조사인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 언론보도에 따른 NABO 인 터뷰” 결과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으로 사업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거나 불만족스러운 답변을 한 수혜자들은 농업을 전업으로 하며 농경지 이용방 식이 벼농사 위주여서 집행 과정에서 발생한 자갈 및 토질의 악화는 기존 벼 수확량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소득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의 수혜자인 100명의 소득 수준의 차이에 따 라 (上· 中 ·下)로 분류하여 조절변수로 설정해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효과를 측정하여 유의미한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한 다.

구분 변수 측정지표/ 설문문항 변수명

독립변수

사업의 효과

농경지의 가치 상승(B1) 농지용도의 다양화(B2) 농지용도의 방식 변화 여부(B3)

침수피해가 예방된 효과(B4)

X1

주민참여

주민들의 의견 반영 정도(D1) 해당지역의 특성 반영 여부(D2)

초기 계획대로의 일관된 집행(D3)

하자보수에 대한 만족 여부(D4)

X2

종속변수 사업에 대한

만족도 해당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Y

통제변수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지구(dummy)

▾나이▾성별

▾총 가구원 수▾직업

▾마을 거주기간

▾해당 농경지 소유 방식

▾농경지 이용방식

▾해당 농경지 규모

C

조절변수 소득의 차이

(上· 中 ·下) ▾응답자 월 평균 소득 Z

<표 6. 변수 명 정리>

제 3 절 설문조사의 방법 및 설문지의 구성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