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표 4-2] 종속변수 표본의 특성

곽채기(2011)의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 4단계 모델에 따라 정리한 지방정부의 빈도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도화 수준이 가장

높은 ‘주민주도형 참여예산제도 모델’을 만족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되며 대부분의 지 방자치단체는 제도화 수준이 낮은 ‘의견수렴형 참여예산제도’와 ‘주민협 의형 참여예산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3]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요인변수들의 특성

위 표는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을 구성하는 요인변수들에 대해 빈 도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곽채기(2011)에 따르면 주민참여예산 제도화 수

준은 ‘의견수렴형 참여예산제도’, ‘주민협의형 참여예산제도’, ‘민관협치

형 참여예산제도’, ‘주민주도형 참여예산제도’로 분류되며 이는 ‘주민참 여수준’ ‘예산편성권의 공유수준’, ‘주민참여과정의 주도자’, ‘주민참여권 의 제도화’, ‘주민참여조직’과 ‘참여범위’의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주민참여권의 제도화’는 2011년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의무적 으로 시행되면서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시행조례를 공표함에 따라 각 지 방정부의 제도화 여부를 보는 것이 무의미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권의 제도화’라는 기준을 생략하고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예산편성권의 공유수준’과 ‘주민참여과정의 주도자’는 주민참여예산

제도를 시행하는데 있어 지방정부의 현 예산상황을 파악하고 예산을 집 행하는 주체가 관료 또는 시민 중에 누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의 미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두 요인변수의 평균값이 2 미만인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지방정부가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해 표면적으로는 주민 참여적인 의사결정을 장려하지만 실제로는 관료 중심적인 의사결정을 시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참여조직’은 지방정부의 위원회 수와 위원회 소속 위원 수가 많 을수록 해당 자치단체가 주민들에게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참여 역할을 부여 하는 것을 뜻한다. 타 요인변수들과 달리 ‘주민참여조직’에서 제도 화 수준이 가장 높은 ‘주민주도형 참여예산제도’모델에 해당하는 지방정 부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구분 지방정부 제도화 수준 평균

주민참여예산제 유형

지방정부

서울특별시 2.1 주민협의형

부산광역시 2.1 주민협의형

경기도 2 주민협의형

강원도 1.4 의견수렴형

대구광역시 1.6 주민협의형

인천광역시 2.1 주민협의형

광주광역시 2.7 민관협치형

대전광역시 1.2 의견수렴형

세종시 1 의견수렴형

충청북도 1.5 주민협의형

충청남도 2.1 주민협의형

전라북도 1.5 주민협의형

전라남도 1.7 주민협의형

경상북도 1.3 의견수렴형

경상남도 1.2 의견수렴형

제주특별자치도 3 민관협치형

[표 4-4]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

[표 4-4]는 연구범위의 전국 기초 자치단체를 광역자치단체로 묶어 지 방정부의 예산제도화 수준을 정리한 것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서울특별 시에 포함된 기초자치단체의 제도화수준을 합하여 평균을 낸 것으로 이 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다. 따라서 지방정부제도화 수준 평균값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기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곽채기(2011) 제도화 수준에 적용하여 각 지방정부가 어떤 모델에 속하는지 알고자 하 였다. 따라서 앞서 구한 평균값의 소수점 첫째 자리가 5 이상이면 이 또 한 반올림하여 일의 자리 숫자로 값을 단순화하여 제도화 수준을 구분하 였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높은 제도화 수준인 주민주도형 참 여예산제도 모델을 선택하여 시행하는 지방정부가 없으며 대부분이 제도 화 수준이 낮은 의견수렴형 참여예산제도와 주민협의형 참여예산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부터 자율적으로 이 제도를 시행해왔던 광주광역시 북구를 중 심으로 광주광역시 소속 기초자치단체는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의무도입 이전 시점부터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 듯 광주광역시는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주민참여예산제를 실시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06년 7월 1일 제주도가 특별자치도 로 출범하면서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타 지방정부에 비해 산업·지 역개발·문화관광 등에서 보다 자율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외국인을 포 함한 거주인구의 증가로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하여 재화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지역 특성상 비교적 높은 수준의 주민참여예산 제도를 시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절 상관분석

데이터 분석에서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 측정은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표4-4>는 본 연구에서의 독립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상관계수를 통해 나타낸 결과이다.

상관 계수의 절대값이 0.7 이상인 경우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표 4-5>에 따르면 대부분의 상관 계수의 절대값이 0.7 이하이 기 때문에 본 연구의 변수 설정 및 분석에 큰 문제가 존재하지 않을 것 으로 보인다.

진보성향단체장 단체장 득표율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

단체장의 출신배경_

공무원

단체장의 출신배경_

시민사회 단체

단체장의 출신배경_

정치인

단체장의 출신배경_

기업인

투표율주민 In(비영리

단체수) In(인구수)

In(1인당 지방세액)

In(1인당 세출예산액)

재정 자립도

1

-0.0145 1

-0.2593 0.0189 1

-0.0728 0.2152 -0.0772 1

-0.0706 0.0157 0.0353 -0.0513 1

-0.0352 -0.1076 0.0894 -0.6745 -0.0545 1

0.1356 -0.0985 -0.0944 -0.1566 -0.0127 -0.1663 1

0.0772 -0.1036 -0.1684 -0.1495 -0.0211 -0.0951 0.2849 1

-0.1099 0.1537 0.2684 0.0494 0.2012 0.088 -0.1842 -0.6097 1

-0.145 0.1806 0.2638 0.0446 0.2151 0.1248 -0.2226 -0.7176 0.8751 1

0.1279 -0.0902 -0.1244 -0.1788 0.1475 0.0969 -0.0173 -0.0441 0.1081 0.0682 1

0.0184 -0.1023 -0.1775 -0.0572 -0.0227 -0.1132 0.0728 0.3795 -0.3431 -0.3567 0.1609 1 -0.0590 -0.0055

 0.1596 -0.0518 0.2549 0.1182 -0.1692 -0.5695 0.5613 0.6252 0.4799 -0.3205 1

[표 4-5] 본 연구의 독립 변수 간 Pearson 상관계수

N=242

*p<.10, **p<.05, ***p<.01

3 절 회귀분석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