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절 회귀분석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의 영향요인에 관한 추정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정치적 요인의 단체장의 진보성향의 계수는 양(+)으로 추정되어 단 체장이 진보성향인 지방정부일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수준 10%에서 유의미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단체장 득표율과 진보성향 지방의원의 비율이 높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 도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특히 진보성향 지방의원의 비 율은 유의수준 1%에서 유의미하고 이는 진보성향 지방의원이 많을수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협의회, 연구회 등 다양한 기구의 위원으로 참여하 여 반복적인 쌍방향 의사소통을 주도하고 결과적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 가 역동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단체장의 출신배경이 공무원인 경우 비록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이나 계수가 음(-)으로 추정되어 단체장이 공무원 출신인 경우 새로운 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보수적인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반대로 단체장이 기업인 출신일 경우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며 제도화 수준이 높은 조례안을 시행하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 요인의 하위요인으로는 주민투표율이 유의수준 5%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계수가 예상과 달리 음(-)으로 추정되어 주민투표 율이 낮을수록 주민참여예산의 제도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중앙정부 하의 예산제도의 불신과 반발에 서 나온 것으로 생각한다면, 주민투표가 높을수록 행정부 예산시스템을 신뢰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주민참여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확률적으 로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비영리단체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계수가 음(-)으로 추정되어 비영리단체 수가 많을수록 주민참여예 산제도화 수준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비영리단체가 지방정부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에서도 보조금 형식의 재원을 지원받고 있기 때문에 독립적이며 주체적인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여진다.
재정적 요인에서의 1인당 지방세액은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수가 음(-)으로 추정되어 1 인당 지방세액이 낮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자립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계수가 양(+)으로 추정되어 재정자립도가 높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정부의 재정자율성이 높을수록 중앙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예산을 비교적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b/se b/se b/se b/se 단체장 진보성향 0.091
(0.288) 0.006 (0.270) 단체장 득표율 0.024
(0.013) 0.028
(0.013)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 0.027
(0.006) 0.031
(0.006) 단체장의 출신배경_
공무원출신 -0.030
(0.451) 0.580 (0.419) 단체장의 출신배경_
시민사회단체출신 -1.176
(1.942) 0.828 (1.718) 단체장의 출신배경_
정치인출신 0.285
(0.433) 0.825
(0.407) 단체장의 출신배경_
기업인출신 1.873
(0.768) 1.081 (0.720) 주민투표율 -0.054
(0.026) -0.046
(0.022) In(비영리단체수) -0.123
(0.213) -0.081 (0.203) In(인구수) 0.395
(0.260) 0.563
(0.238) In(1인당 지방세액) -0.528
(0.299) -0.942
(0.261) In(1인당 세출예산액) -0.010
(0.147) -0.141 (0.136) 재정자립도 0.022
(0.016) 0.057
(0.012) cut 1 0.466
(3.947) 2.852
(0.811) 3.159
(3.249) -5.218
(1.355) cut 2 3.138
(3.957) 5.223
(0.859) 5.533
(3.274) -2.888
(1.318) [표 4-7] ordered logit 분석결과 2
*p<.10, **p<.05, ***p<.01
[표 4-6]은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의 영향요인에 관한 추 정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각각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지방정 부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의 영향요인에 대한 추정결과를 알기 위해 [표 4-7]에서는 종속변수인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과 독립변수인 정치 적 요인, 사회적 요인, 재정적 요인을 각각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모형 1은 [표 4-6]을 간략하게 추정계수와 표준오차로 정리한 것이다.
모형 2는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의 영향요인으로 정치적 요인만을 분
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모형 2에 따르면 모형 1과 비슷하게 단체장 득표율과 진보성향 지방 의원 비율이 높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특히 모형 1의 경우 단체장 득표율은 유의수준 10%에서 유의미한 결과 값을 보였으나 모형 2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
모형 1에서는 단체장의 출신이 기업인일 경우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
이 높다는 분석이 가능했으나 모형 2는 나아가 단체장이 정치인 출신인 경우 높은 수준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시행하려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모형 3은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의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요인만을
분석한 결과이다. 모형 3에서의 특이사항은 모형 1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난 인구수가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지방정부에 등록된 인구가 많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수준이 높아진 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형 4는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의 영향요인으로 재정적 요인을 분 석한 것이다. 모형 1에서와 달리,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가 높 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이 높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2. 설명변수 변화가 주민참여예산제도화 수준에 미치는 한계효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 수인 정치적 요인에서는 단체장 득표율,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 그리고 단체장이 기업가 출신인 경우 제도화 수준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주민투표율이 재정적 요인에서는 1인당 지방세액이 제도화 수준과 유의미하다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요인들을 대상으로 변수 값의 변화가 미치는 한계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단체장 득표율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영 향을 미치는 한계효과는 [그림4-1],[그림4-2],[그림4-3]과 같다. [그림4-1]은 제도화 수준이 1이고 [그림4-3]으로 갈수록 제도화 수준이 높아진다.
다른 변수가 평균에 있을 때 단체장 득표율이 높아질수록 주민참여예 산제도 제도화 수준이 1인 경우는 선택확률이 낮아지고, 제도화 수준이
2와 3인 경우는 높아진다. 단체장 득표율이 1% 증가하면 수준1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03% 감소하며 수준 2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02%, 수 준 3 또한 0.04% 증가한다.
[그림 4-1] 단체장 득표율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1’에 미치는 한계효과
.2
.3.4.5.6.7Pr(==1)제도화수준
20 30 40 50 60 70 80
(%) 단체장득표율
[그림 4-2] 단체장 득표율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2’에 미치는 한계효과
.4.5.6.7Pr(==2)제도화수준
[그림 4-3] 단체장 득표율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3’에 미치는 한계효과
0.1.2.3Pr(==3)제도화수준
20 30 40 50 60 70 80
(%) 단체장득표율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 준에 영향을 미치는 한계효과는 [그림4-4],[그림4-5],[그림4-6]과 같다. [그 림4-4]은 제도화 수준이 1이고 [그림4-6]으로 갈수록 제도화 수준이 높아 진다.
다른 변수가 평균에 있을 때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이 높아질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 제도화 수준이 1인 경우는 선택확률이 낮아지고, 제도 화 수준이 2이면 높아졌다가 낮아진다. 제도화 수준이 3인 때에는 높아 진다.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이 1% 증가하면 수준1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04% 감소하며 수준 2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02%, 수준 3 또한
0.03% 증가한다.
[그림 4-4]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1’에 미치는 한계효과
0.2.4.6.8Pr(==1)제도화수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 진보성향지방의원비율
[그림 4-5]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2’에 미치는 한계효과
.3.4.5.6.7Pr(==2)제도화수준
[그림 4-6]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3’에 미치는 한계효과
0.2.4.6Pr(==3)제도화수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 진보성향지방의원비율
지자체장이 사업가 출신인 경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한계효과는 [그림4-7],[그림4-8],[그림4-9]와 같다. [그림4-7]
은 제도화 수준이 1이고 [그림4-9]으로 갈수록 제도화 수준이 높아진다.
다른 변수가 평균에 있을 때 지자체장이 사업가 출신일 때 주민참여 예산제도 제도화 수준이 1인 경우는 선택확률이 낮아지고, 제도화 수준 이 2이면 선택 확률적으로 효과가 없다. 제도화 수준이 3인 때에는 선택 확률이 높아진다. 진보성향 지방의원 비율이 1% 증가하면 수준1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15% 감소하며 반대로 수준 3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15% 증가한다.
[그림 4-7] 기업인 출신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1’에 미치는 한계효과
0.1.2.3.4.5Pr(==1)제도화수준
0 1
기업인출신
[그림 4-8] 기업인 출신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2’에 미치는 한계효과
.4.5.6.7Pr(==2)제도화수준
[그림 4-9] 기업인 출신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 3’에 미치는 한계효과
0.2.4.6.8Pr(==3)제도화수준
0 1
기업인출신
주민투표율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한계효과는 [그림4-10],[그림4-11],[그림4-12]와 같다. [그림4-10]은 제도화 수준이 1이고 [그림4-12]로 갈수록 제도화 수준이 높아진다.
다른 변수가 평균에 있을 때 주민투표율이 높아질수록 주민참여예산 제도 제도화 수준이 1인 경우는 선택확률이 높아지고, 제도화 수준이 2 이면 서서히 낮아진다. 제도화 수준이 3인 때에는 급격하게 낮아진다. 주 민투표율이 1% 증가하면 수준1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08% 증가하며 수준 2에 대한 선택확률은 약 0.05%, 수준 3 또한 0.04%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