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중국-미얀마 국경협력의 배경과 현황
21세기 들어 중국이 동남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이전부터 이미 중국과 미얀마는 역사 및 지리적 근접성, 국경 지역에서의 소수민족 분쟁, 양국 공산당 정권 간의 관계 속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1949 년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이후, 중국은 공산주의권 외부에 있는 국가들로 부터 자국 정치의 정당성과 국제적 지위에 대한 지지를 절실히 필요로 했다.186) 중립주의로서 비동맹 외교정책을 추구하는 미얀마는 1950년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은 첫 번째 비공산주의 국가였으며, 양국은 ‘평화 공존 5원칙’(Five Principles of Peaceful Co-existence)에 합의했 다. 양국은 미얀마어로 사촌 형제를 뜻하는 ‘빠욱포’(Pauk-Phaw)로 흔 히 일컬을 정도로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던 가운데 1990 년, 미얀마가 민주주의 탄압187)으로 국제사회로부터 경제제재를 받아
186) 배정호 외, 『중국의 대내외 관계와 한국의 전략적 교훈』, (서울: 통일연구원, 2013), pp. 237~238.
187) 군사정부는 1988년 민주화운동을 탄압, 쿠데타로 정권연장하고 의회를 해산시켰다.
고립되자 미얀마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급속하게 성장했다. 마침 같은 시기 중국은 1989년 민주화 운동에 대한 탄압으로 인해 서방 국가들과 마찰을 겪고 있었으며, 러시아는 개혁개방 정책으로 고전하고 있었기 때 문에 이웃국가인 중국과 미얀마는 서로 유사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양자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188) 서방의 제재를 받던 미얀마에게 중 국은 무역과 자본 유입의 중심지였고, 제3세계로 눈을 돌린 중국에게 미 얀마는 방글라데시와 인도를 거쳐 유럽으로 진출할 수 있는 중요한 교두 보이자 인도양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중국과 미얀마는 2,180㎞에 이르는 긴 국경을 공유하고 있으며 그 중 에서 중국 윈난(雲南)성과 접하는 구간은 1,977㎞에 달한다.189) 중국은 미얀마와의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수력발전, 자원개발 등을 위해 미얀마 에 진출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중국이 동부 연해지역 중심의 경제발 전으로 뒤쳐진 서부 내륙지역의 경제개발을 목적으로 한 ‘서부대개발’
(西部大開發) 계획을 발표하면서 협력이 본격화되었다. 서부대개발 계획 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서부지역의 ‘개발’에서 점차 대외로의 ‘개방’으 로 전략을 확대했는데, 이 시점에서 윈난성이 인도양으로 향하는 전략적 교두보로 선정되었다.190) 윈난성은 서쪽으로 미얀마, 남쪽으로 라오스, 베트남과 총 길이 4,060㎞(중국 육상 경계선의 1/5)의 국경을 공유하고 있는 중국 서남부 지역에 위치한 성이다(그림 Ⅲ-17 참고). 중국의 31개 성 가운데 1인당 소득 기준으로 30위에 머물러 있으며 산업기반이 취약
윤병섭, “미얀마의 정치체제와 경제의 상응,” 『아시아연구』, 제17권 2호 (2014), p. 69.
188) 배정호 외, 『중국의 대내외 관계와 한국의 전략적 교훈』, p. 243.
189) “Five Cross Border Tourism Routes Added to Sino-Myanmar Border,” [中緬邊 境新增5條跨境游線路], Xinhua News, December 11, 2012., 재인용: 위의 책, p. 248.
190) 담우, “중국 윈난성 국경무역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p. 40~
41; 장준영, “미얀마-중국 관계의 변화: 헤징과 균형,” 『동남아시아연구』, 제24권 3호 (2014), p. 102.
해 1차 산업과 관광업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는 가난한 성이지만,191) 육상을 통해 인도양과 남태평양으로 진출할 수 있는 유리한 지리적 조건 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은 윈난성에 수출중심의 산업기반 을 형성하여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로 뻗어나가는 국제경제무역센터로 서의 입지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92)
그림 Ⅲ-17 중국 윈난성의 지리적 위치
출처: Asia Briefing (2013.02.27.).
191) 오윤아 외, “아세안-중국 경제관계의 심화와 전망,”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7-02 (2017), p. 10.
192) Billy Wong, “Belt and Road: Trade and Border Cooperation between Yunnan and Myanmar,” HKTDC (May 10, 2016).
(1) 국경무역
양국 간 국경무역이 공식화된 것은 1950년 외교관계 수립 후 1953년 에 이르러서이다. 1979년에 중국이 개혁개방을 실시하면서 양국은 국 경무역을 비롯한 경제관계를 발전시켰고 1990년대 들어 미얀마의 국제 적 고립과 중국의 해외진출 전략이 만나면서 협력이 확대되었다. 특히 2000년대 들어 중국이 서부대개발 계획을 본격화하고 미얀마 정부와 국 경무역을 강화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하면서 국경무역이 한층 강 화되었다.193)
윈난성과 미얀마 간 국경무역은 쿤밍(昆明, Kunming) 세관을 통해 추정할 수 있는데,194) 통계에 따르면 미얀마가 윈난성 수출입 모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15년 윈난성의 미얀마와의 교역규모는 58 억 5,500만 달러로 이는 윈난성 총 교역액의 23.9%에 달하며, 이 가운데 수출이 약 25억 달러, 수입이 33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표 Ⅲ-12>
참고). 특히 수입에 있어서 미얀마가 차지하는 비중은 42.4%로 압도적 으로 높다. 한편 미얀마의 국경무역은 중국, 태국, 인도, 방글라데시 등 4개국과 15개의 국경무역지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회계연 도 기준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그 규모와 전체 대외교역에서 차지하는 비 중이 증가하고 있다(2011/12년 18.5% → 2016/17년 26.5%). 그 중에 서도 중국과의 국경무역은 2016/17년도 회계연도 기준 62억 4,800만 달러로 대 중국 무역액의 58.1%를 차지했으며 동시에 4개국과의 국경무 역액의 81.0%를 차지했다(<표 Ⅲ-13> 참고). 양국 간 국경무역은 전반 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그림 Ⅲ-18> 참고), 이는 2013년 10 월을 기점으로 미얀마-윈난성 가스관을 통해 미얀마의 천연가스 수출이
193) 최필수 외, 『중국의 신흥시장 진출과 한국의 대응방안: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를 중 심으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 97~98.
194) 오윤아·정재완·박나리, 『신정부 출범 이후 미얀마 개혁·개방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과 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p. 65.
확대된 것과 더불어 2007년 6월 발효된 중-아세안 FTA의 효과가 복합 적으로 작용한 데 기인한다.
표 Ⅲ-12 윈난성의 對동남아 국경무역현황(2015년)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교 역 수 출 수 입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1 미얀마 5,855,180 23.9 2,508,300 15.1 3,346,880 42.4 2 베트남 2,331,950 9.5 1,560,360 9.4 771,590 9.8 3 태국 1,687,900 6.9 1,498,890 9.0 189,010 2.4 4 라오스 879,550 3.6 317,800 1.9 561,750 7.1 5 말레이시아 835,430 3.4 813,600 4.9 21,830 0.3 - ASEAN 13,180,380 53.8 8,246,210 49.6 4,934,170 62.5 - 전 체 24,517,200 100.0 16,616,890 100.0 7,900,310 100.0 주: ASEAN은 미얀마, 베트남, 태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캄보디아, 브루나이 등 총 동남아시아 10개국 지칭
출처: “中华人民共和国昆明海关” 바탕으로 저자작성 (검색일: 2017.07.07.).
표 Ⅲ-13 미얀마 국경무역현황(2016/17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17
수출 수입 교역 비중 전체교역* 전체대비비중
1 중국 4,472 1,776 6,248 81.0% 10756.1 58.1%
2 태국 315 1,054 1,369 17.7% 4277.75 32.0%
3 인도 63 24 88 1.1% 1942.85 4.5%
4 방글라데시 10 0 11 0.1% 43.959 24.1%
- 전 체 4,860 2,855 7,716 100.0% 17020.7 45.3%
주: 회계연도 기준, *국경무역을 포함한 국가 간 총 교역
출처: Ministry of Commerce,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바탕으로 저자작성, <http://www.commerce.gov.mm/> (검색일: 2017.07.10.).
그림 Ⅲ-18 미얀마의 對중국 국경무역 추이(2011/12~2016/17년)
(단위: 백만 달러)
출처: Ministry of Commerce,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검색일:
2017.07.10.).
미얀마에는 현재 15개 국경무역지대 가운데 5개가 중국과의 국경무 역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는데, 양국 간 국경무역은 주로 무세(Muse)에 집중되어있다.195) 이에 따라 미얀마 정부는 해당 국경무역지대에 소규 모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특별경제구역을 건설하는 등, 국경무역지대 활 성화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196) 이에 더하여 최근 미얀마 내부적 으로 국경무역의 중요성이 주목을 받으면서 자동화물통관시스템 (MACCS: Myanmar Automated Cargo Clearance System)의 도입 을 통해 물류통관의 효율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는 국경무역량이 집중
195) 중국을 대상으로 하는 미얀마의 국경무역지대는 무세(Muse), 르웨제(Lweje), 친쉐호 (Chinshwehaw), 칸비케테(Kanbiketee), 짱통(Kyaing Tong) 등 5개이다. 그 외 태 국 6개, 인도 2개, 방글라데시에 대해 2개의 국경무역지대를 운영하고 있다.
196) KOTRA 보도자료, “미얀마 국경무역 장려, 자동화물통관리시스템 적용 계획,” 2017.
06.12.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5/globalBbsData View.do?setIdx=244&dataIdx=159213> (검색일: 2017.07.11).
된 국경무역지대를 중심으로 2018년부터 확대될 예정이어서 향후 국경 무역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197)
(2) 국경 지역 에너지 협력
중국은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수요에 대비하고 에너지안보의 취약 점198)을 개선하기 위해 주변국들에 다각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자원 중 에서도 원유와 천연가스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인도네 시아와 미얀마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다.199) 특히 미얀마의 경우 경제제 재 기간 동안 중국의 석유・가스 분야 기업들이 거의 독점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중국은 미얀마를 주요 에너지 공급루트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 기존에 계획한 4대 에너지 수송라인(인도양~미얀마~윈난성, 중앙 아시아~신강, 러시아~헤이룽장, 전통 해상운송라인)에도 포함되어 있 다. 서남라인(인도양~미얀마~윈난성)은 벵골 만(Bay of Bengal)의 슈 웨(Shew) 가스전에서 차우퓨(Kyaukphyu) 항구를 거쳐 윈난성 쿤밍시 까지 잇는 가스관과 송유관을 일컫는다(<그림 Ⅲ-19> 참고). 천연가스 수송관은 2013년 6월 완공되어 같은 해 10월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총 연장은 약 1,330㎞, 수송능력은 피크 시 500MMcfd이다.200) 송유관은 2014년 8월 완공되어 2017년 4월 현재 공식 가동에 합의한 상황으로, 총 연장 약 1,200㎞로 연간 1,200만 톤을 수송할 수 있다.
197) 위의 글.
198) 중국으로 수송되는 에너지의 80% 이상이 미국의 영향력이 강한 말라카 해협을 거치는 데, 중-미 관계 악화 시 운송경로가 차단될 가능성이 높다. 배정호 외, 『중국의 대내외 관계와 한국의 전략적 교훈』, p. 257.
199) 최필수 외, 『중국의 신흥시장 진출과 한국의 대응방안: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를 중 심으로』, p. 193.
200) 오윤아·정재완·박나리, 『신정부 출범 이후 미얀마 개혁·개방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과 시사점』, p.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