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역협력방안

Dalam dokumen 2010. 11 (Halaman 196-200)

WESTPAC(WENXI ZHU)

5. 지역협력방안

5-1 북서태평양지역의 해양환경

5-2 지역협력 추진방안

5-2-1 세부실천방안 5-2-2 협력사업 추진 일정

구분 조사항목 조사시기 조사 정점

항 만 환 경 측 정 망

해수

일반항목(15)

수온, 염분, pH, DO, COD, TN, DIN (NO2-N, NH4-N, NO3-N), TP, DIP (PO4-P), SiO2-Si, 유분, SS, 투명도

2, 8 40

유해물질(19)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CN 2 8 PCBs, 다이아지논, 파라티온, 말라티 온, 1,1,1-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E),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디 클로로메탄, 벤젠, 페놀, 음이온계면활성 제(ABS)

2 8

해양 생물

일반항목(1) 클로로필-a 2, 8 40

유해물질(11)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2, 5 2

PCBs, TBT, 유기염소계농약, PAHs 2, 5 2

해저 퇴적물

일반항목(4) 입도, 강열감량, 황화물, COD 2 8 유해물질

(11)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2 8

PCBs, TBT, 유기염소계농약, PAHs 2 8

표 15 국가해양환경측정망의 측정망별 조사항목

나. 연안․해양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노력

1) 1996년 해양수산부 창설 이후부터는 다양한 연안․해양 정책 수요가 발생

2) ‘연안실태조사’, ‘연안공간조사’, ‘해양생태계조사’ 등 연안․해양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전국적인 단위의 조사사업이 실시되고 있음

가) 자료수집 및 통합

(1) 국가해양환경관측망13)

(가) 2009년 현재 항만 환경측정망, 연․근해 환경측정망, 환경관리해역

환경측정망, 하구역 환경측정망 등 4개의 측정망, 총 109개 해역의 363개 측정점으로 구성14)

(나) 해수, 해양생물, 해저퇴적물로 구분하여 각 분류별로 일반항목과 유 해물질에 해당하는 항목 측정

13)「해양환경관리법」(구 「해양오염방지법」 제 9조 (해양환경측정망): 해양수산부장관은 연근해의 해양환경상 황 및 오염원의 조사 등을 위하여 해양환경측정망을 구성하고 해양환경을 정기적으로 측정한다). 1997년에 는 280개 정점에서 시작하였으며, 1999년 1차 개정 시 296개 정점으로 확대되었고, 2004년 2차 개정 시 국가해양환경측정망을 해역별 특성 및 이용목적을 고려하여 항만 환경측정망, 연․근해 환경측정망 및 환경 관리해역 환경측정망 등 3개의 측정망으로 세분화하였음

14) 해양수산부 (2006a).

-180-

구분 조사항목 조사시기 조사

정점

해수 일반항목 (15)

수온, 염분, pH, DO, COD, TN, DIN (NO2-N, NH4-N, NO3-N), TP, DIP (PO4-P), SiO2-Si, 유분, SS, 투명도

2, 5, 8,

11 241

환 경 관 리 해 역 환 경 측 정 망

해수

일반항목 (15)

수온, 염분, pH, DO, COD, TN, DIN (NO2-N, NH4-N, NO3-N), TP, DIP (PO4-P), SiO2-Si, 유분, SS, 투명도

2, 5, 8,

11 72

유해물질 (19)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CN 2, 8 16

PCBs, 다이아지논, 파라티온, 말라티온,

1,1,1-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틸

렌(PCE),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디클로 로메탄, 벤젠, 페놀, 음이온계면활성제 (ABS)

2 7

해양 생물

일반항목(4) 클로로필-a, 총대장균군, 식물플랑 크톤, 동물플랑크톤

2, 5, 8,

11 72

유해물질 (11)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2, 5 7

PCBs, TBT, 유기염소계농약, PAHs 2, 5 7

해저 퇴적물

일반항목(4) 입도, 강열감량, 황화물, COD 2 16 유해물질

(11)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2 16

PCBs, TBT, 유기염소계농약, PAHs 2 7

하 구 역 환 경 측 정 망

해수

일반항목 (15)

수온, 염분, pH, DO, COD, TN, DIN (NO2-N,NH4-N, NO3-N), TP, DIP (PO4-P), SiO2-Si, 유분, SS, 투명도

3, 7 10

유해물질(8)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CN 3 2 해양

생물 일반항목(4) 클로로필-a, 총대장균군, 식물플랑 크톤,

동물플랑크톤 3 2

해저 퇴적물

일반항목(4) 입도, 강열감량, 황화물, COD 3 2 유해물질(8)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CN 3 2

(다) 표면해조류 등 해수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해양관측망

- 해양기상예보와 관련하여 기압과 표면수온, 해상풍과 유의파고를 실시 간으로 예보하는 체계를 갖추기 위함임

- 한국해양연구원과 기상연구소가 해역을 분담하여 동해와 드레이크 해 협을 중심으로 Argo 부표를 띄워 2000년 이후 현재까지 매년 30기 내외를 투하하고 있으며, 실시간/지연 모드로 자료 제공

- 전체 연안을 따라 관측되는 해상파랑관측자료와 파랑모델을 통한 실 시간 예보가 인터넷으로 제공되고 있음

(라) 부이관측 시스템

- 전지구해양관측시스템(GOOS)의 동북아시아지역 GOOS (NEAR-GOOS) 의 일환으로 YOOS(Yellow Sea Ocean Observing System) 사업 - 황해중부해역에 영구적인 해양기상 데이터부이를 설치하여 중국 국가

해양국(SOA)과 공동으로 자료를 제공

- 서울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대학교, 군산대학교 등 대학교 관련 학과 에서도 특정한 해역에서 고주파레이더(HF Radar)와 연안해양기상 데 이터부이를 운영하며, 표면해조류 자료를 제공하고 있음

(라) 조위관측소

- 해안을 따라 조위관측소(35개소)를 운영(국립해양조사원), 해수면 정보 제공

- 검조소를 중심으로 표층수온을 관측하여 자료 제공

- 일부 연안역에 고주파 레이더를 설치하거나, 조류 모델을 이용하여 표 면 조류 관측/예보치 제공

-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해양정보서비스는 조석 35개소, 조류 150점, 실시간 해류도를 3종으로 확대하였음

(마) 문제점

- 측정망별 조사항목 및 조사시기가 다소 상이하고 항목이 제한되어 있 으며, 자료의 신뢰성과 관리에 관한 근거가 명시되어 있지 않아 활용 에 어려움이 있음15)

- 생태적 연결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부서별 기능이나 연구사업의 개별 목적에 따라 분산적이고 단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서로 다른 분석방법과 변수들을 사용하는 관계로 자료의 통일성과 호환성 이 낮음

- 기존의 연구결과를 취합하여 DB를 구축하고 비교하여 장기적인 생태 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자료의 생산이 쉽지 않음

(2)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가) 목적

- 표준화된 분석방법을 사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신뢰성 확보와 관리에 기초한 자료 수집 및 관리체계를 구축 (나) 특징

- 그동안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않았던 부유환경상태, 저서환경생태, 유

15) 국토해양부 (2008), pp 7-61; 한국해양연구원(2009), pp 19

Dalam dokumen 2010. 11 (Halaman 19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