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NOWPAP(A. Tkalin) 가) NOWPAP 배경

Dalam dokumen 2010. 11 (Halaman 159-163)

WESTPAC(WENXI ZHU)

5) NOWPAP(A. Tkalin) 가) NOWPAP 배경

나) NOWPAP 목적 및 메카니즘(CEARAC, DINRAC, MERRAC, POMRAC) 다) NOWPAP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환경 이슈

라) 주제별 평가

(1) 유해적조에 대한 통합보고서(2005)

(2) 해양/연안환경에서 강 오염물질 및 직접오염물 투입에 대한 지역적 개 관(2006)

(3) 해양연안환경 보존 및 관리의 법적 측면에 대한 지역적 개관(2007)

-142-

(4) 해양/연안 지역 자연보호구역에 대한 지역적 개관 및 국가 보고(2007) (5) 해양/연안환경에서 대기오염물질 퇴적에 대한 지역적 개관(2007)

(6) 해양쓰레기(2008)

(7) 해양/연안 생물다양성 데이터 및 정보에 대한 지역 및 국가보고(2010) 마) 추후 활동계획

(1) Regular Process 참여

(2) TWAP(Transboundary Waters Assessment Program, 여러 국가 접경 수역 평가 프로그램) 방법 사용

(3) 좀더 사회경제적 이슈에 초점

(4) 2011년 이후 ‘제 2의 해양환경현황’ 보고서 준비

6) COBSEA(Elik Adler)

가) COBSEA 배경 및 추진현황

나) 해양 환경 상태 보고서(State of the Marine environment report) 과정 및 결과

(1) 보고서 작성 원칙

(가) 해양 및 해양환경에 대한 현재 상태 및 추세 제시 (나) 국가 및 지역차원에서 진행중인 관리 방안 분석 (다) 해양 및 해양환경 문제 식별

(라) 현재 및 미래에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기 위한 사례 연구, 모범사례 및 유효한 관리 수단 분석

(마) 1981년부터 2006년까지 26년 동안의 정보에 근거한 추세와 2009년까

지의 새로운 정보를 최대한 포함 (2) 주요 내용

(가) 서론

(나) 사회경제적 개발

(다) 연안 해양환경 상태 및 추세 (라) 연안 해양환경의 경제적 가치 (마) 전망

(바) 활동 옵션

(3) 평가 결과

(가) 동아시아 지역 특성

- 동아시아해 지역의 해양 및 해양생태계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풍부하 고 가장 생산적인 위치에 있음

- 전세계 해양공간의 30%를 차지

- 연안지역(100km)에 살고 있는 2백만명 인구의 75%가 심한 압력을 받 고 있음

- 생태계는 사회․경제적인 중요성 때문에 지역경제 및 거주자에게 있 어 중요한 터전임

(나) 동아시아지역의 중요성 - 전지구 산호초종의 80% 차지 - 맹그로브종의 63% 차지 - 해초종의 57% 차지

- 전지구 어업생산의 50%에 해당 - 전지구 양식업 생산의 80%에 해당 (다) 동아시아지역의 취약점

- 기후 관련 재해는 상당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부여함. 열대지방 태풍으 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와 홍수 관련 비용이 최근 10년 사이에 증가함 - 하수도, 가정쓰레기, 산업폐수, 도심 및 농업 유거수, 오일 유출 및 선

적, 해양쓰레기 등으로 인한 지역 연안 및 해수의 질적 저하

- 육지 기원원으로 인한 상당한 양분이 유해적조류 증식 위험을 증가시 키고 있음

- 1970년대 말 이후부터 강의 부유물질이 4배 증가; 전세계 해양으로의

전체 침전물 유입량의 2/3가 동남아시아에서 발생 (라) 상태 및 추세

- 지속가능하지 않은 자원 개발과 환경파괴에 대한 노출이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로부터의 위협으로 인해 심각해짐

- 이에 따라 환경/자원을 관리하고 여러 전략을 채택하기 위한 인식 증 가

- 현재 문제를 다루고 미래 문제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정치적인 의지가 증가하고 있음

-144- (마) 전망

- 다양한 사회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문제를 다루는 역량이 지역마다 다름 - 많은 문제에 직면한 국가들을 위한 역량 구축이 시급함

- 다양한 압력과 역량으로 인해 국가 간 해양환경상태가 다름

- 지속가능한 연안 및 해양환경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통 적인 목표를 다루기 위한 지역적 역량을 강화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능력배양 및 기술이전이 필요함

(4) 결론 및 행동 우선순위

(가) 경제 및 환경문제를 통합하기 위한 개선된 관리 전략의 개발 및 실행 (나) 어업산업의 개선된 관리 및 규제

(다) 자연재해,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된 것들을 방지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 강구

(라) 해양쓰레기 및 외래침입종과 같은 현안 문제 다룸

7) UNEP/GRID(Elaine Baker)

가) GRID 목적 및 역할 (1) UNEP 협력센터

(2) 노르웨이 외교통상부의 보조기금으로 운영

(3) 환경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정보 및 역량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 나) 역량 배양

(1) 생태계 관리 (2) 무생물자원

(3) UNEP shelf program

(가) 데이터

(나) 도구들

(다) 훈련 다) 논스톱자료실

(1)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자료 수집

(2) 공공영역과의 파트너십 구성(IFEMER, IPGS, BGR, BSH, JAMSTEC<

WHOI, IODP,...)

(3) 측심학, 지진학, 천공, 중력, 자기장 등 자료 포함 (4) 온라인 자료 인벤터리

라) 검토과정을 문서화하기 위한 발행물 발간

마) Oceanids- 공공해양자료: 역사적인 자료에 접근 가능, GIS 제공, 데이터 세트의 기본적인 비교 분석 가시화, 조사 및 수행

바) Regular Process로의 참여

(1) OCBSEA와의 협력: 회원국의 Regular Process의 참여를 지원하는데 초 점을 둔 제안서 작성

(2) 역량 구축

(가) 사용 가능한 자료 출처 파악

(나) 기존 자료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기 위한 자료 플랫폼 및 도구 파악 (다) 문제를 식별하고 생태계 기반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평가를 만들기 위한 데이터를 통합하는 방법 조사 (라) 평가 향상(자료수집, 표준, 참조점, 네트워크) 전략 검토 (3) 회원국 지원 및 파트너십

(가) 역량구축 우선순위의 지역별 프로그램의 개발․검토, 국가차원에서 다음단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한 제안서 준비 지원 (나) 문제를 다루고 정책옵션을 포함한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 차

원에서 의미 있는 산출물 생산

다. 동아시아지역 전문가들의 발표

1) 태국(Bussarawit Nipavan)

Dalam dokumen 2010. 11 (Halaman 159-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