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는 이용가치가 높은 소중한 자원으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유 일하게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수질이 양호하여 인류 최후의 수자원으로 인정 받고 있다.
그러나 지하수는 한번 오염되면 원상회복에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지 하수의 개발·이용 과정 또는 관정 주변의 사회적·자연적 환경변화에 의하여 발생 가 능한 여러 가지 지하수 장애현상(고갈, 수질오염)으로부터 지하수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여 단기적으로 각 군·구 담당자들의 지하수 업무 전담제 실시, 방치공 일제정비, 지하철역 유출수 조사 등을 시행하고 장기적으로 지하수의 과학적인 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2017년도에「인천광역시 지하수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환경 부에 승인 요청하였다.
가. 지하수 기초조사
지하수의 보전·관리를 위하여 2016년부터 지하수조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인천광 역시 전역의 지하수의 개발가능량 및 부존특성, 이용실태 등에 대한 기초조사를 완 료하고 본 조사 자료를 토대로 인천광역시 지하수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환경부에 승 인 요청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21세기 물 부족에 대비한 안정적인 수자원확보, 효율 적인 지하수 개발이용 및 보전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양질의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 는 지하수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나. 지하수의 조사 및 개발 · 이용
지하수 관리는 크게 지하수 조사, 지하수 개발·이용의 허가·신고, 지하수 이용실태 조사, 지하수 수질검사, 지하수법 위반자에 대한 처벌 및 지하수 오염방지명령 등이 있다. 지하수의 조사, 개발·이용 및 보전·관리에 관하여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르고 있으나 이행보증금 예치, 원상복구 및 지하수오염방지명령 등은 지하수법이 적용된다.
1) 지하수 개발 · 이용의 허가 및 신고
「지하수법」 제7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하수 개발·이용의 허가는 개발지하수의 보전·관리를 위하여 1일 양수능력 100㎥초과(농·어업용 150㎥ 초과)인 관정의 신규 개발 시에는 지하수전문기관이 조사·작성한 지하수영향조사서를 제출토록 하여 영향 조사서를 검토한 후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있으며, 수원고갈과 수질오염의 우려가 있 을 때에는 지하수개발·이용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다.
「지하수법」제8조 규정에 의하여 지하수 개발·이용의 신고는 지하수를 개발·이용 하고자 하는 자가 관할 군·구에 지하수개발·이용 신고서를 제출하고 지하수 개발·
이용시설의 설치를 위한 공사를 준공한 때에는 관할 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지하수 이용실태 조사
「지하수법」제17조 동법 시행령 제28조 규정에 의한 지하수 보전·관리를 위하여 지하수개발·이용시설의 위치, 이용자, 용도 등 일반현황과 지하수개발·이용시설의 깊 이, 직경, 양수설비 등 재원에 관한 사항 그리고 수질검사 결과 등에 대한 지하수 이용실태를 매년 조사하여 환경부에 보고를 하고 있다.
3) 지하수 오염방지 명령
지하수의 보전·관리를 위하여 지하수를 개발·이용하는 자는 오염방지를 위한 시설 의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하며, 관할 군수·구청장은 지하수오염방지를 위하 여 지하수를 오염시키거나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에 대하여 오염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도록 명할 수 있다.
4) 지하수 수질검사
지하수를 개발・이용하는 자는 정기적으로 보건환경연구원,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 구소 등 지하수검사 전문기관에서 수질검사를 받아야 한다. 용도별 수질검사 주기는 음용수는 2년마다 1회(1일 양수능력 30㎥이하는 3년마다 1회), 생활용수・공업용수 (1일 양수능력 30㎥이상) 및 농・어업용수(1일 양수능력 100㎥이상)는 3년마다 1회 이며, 검사결과 수질기준에 부적합할 경우 지하수 개발·이용시설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표 3-54〉 수 질 검 사 대 상 및 주 기
용 도 검 사 대 상 검사주기 비 고
음 용 수
1일 양수능력이 30㎥초과 2 년 1일 양수능력이 30㎥이하 3 년
생 활 용 수 1일 양수능력이 30㎥이상 3 년 청소․조경․공사․소방용 등 보건위생상 지장이 없는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 제외
공 업 용 수 1일 양수능력이 30㎥이상 3 년 농업․어업용수 1일 양수능력이 100㎥이상 3 년
〈표 3-55〉 지하수의 수질기준 이용목적별
항 목 생활용수 농업․어업
용수 공업용수
일 반 오염물질
(4 )
수소이온농도(pH) 5.8~8.5 6.0~8.5 5.0~9.0
총대장균군 5,000 이하
(군수/100mL) - -
질산성질소 20 이하 20 이하 40 이하
염소이온 250 이하 250 이하 500 이하
특 정 유해물질 (15개)
카드뮴 0.01 이하 0.01 이하 0.02 이하
비소 0.05 이하 0.05 이하 0.1 이하
시안 0.01 이하 0.01 이하 0.2 이하
수은 0.001 이하 0.001 이하 0.001 이하
유기인 0.0005 이하 0.0005 이하 0.0005 이하
페놀 0.005 이하 0.005 이하 0.01 이하
납 0.1 이하 0.1 이하 0.2 이하
6가크롬 0.05 이하 0.05 이하 0.1 이하
트리클로로에틸렌 0.03 이하 0.03 이하 0.06 이하
테트라클로로에틸렌 0.01 이하 0.01 이하 0.02 이하
1.1.1-트리클로로에탄 0.15 이하 0.3 이하 0.5 이하
벤 젠 0.015 이하 - -
톨 루 엔 1 이하 - -
에틸벤젠 0.45 이하 - -
크 실 렌 0.75 이하 - -
(mg/ℓ)
※ 참고
1. 지하수를 생활용수, 농·어업용수, 공업용수로 이용하는 경우 경우를 말한다.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염소이온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어업용수
- 지하수의 이용 목적상 염소이온의 농도가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경우 - 해수침입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염소이온 농도가 증가한 경우
3. 농·어업용수 및 공업용수가 생활용수의 목적으로도 이용되는 경우에는 생활용수를 적용한다.
다. 지하수 수질측정망 구축 · 운영
지하수는 지표수와 달리 토양 오염원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수량 및 수질변화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지하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주요지점에 지하수 자동관측시설을 설치하여 Network을 구성하고 지 하수 수질현황과 수질변화 추세를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지하수 오염예방과 합리적인 개발계획 및 보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료 활용할 계획이다. 각 군·구별로 5 개소(인천시 전체 50개소)의 수질측정지점을 선정하여 년 2회에 걸쳐 지하수수질 기준 설정항목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환경부에 제출하고 지하수의 수질현황과 변화추세를 축척·분석함으로써 향후 지하수 수질보전대책 수 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