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차기정부 해양과기원 10대 과제

Dalam dokumen 해양과학기술_전략개발_연구.pdf (Halaman 57-70)

Part I. 신규 대형과제 발굴

4. 차기정부 해양과기원 10대 과제

정부의‘2020 해양과학기술’4대 목표와 연계된 국민행복시대를 위한 해양과기원

10대 과제를 도출

① 해양영토 확보 및 관리

사업목적

○ 한반도 주변수역 해양갈등 요인 도출 및 해양갈등현안 상시 대응체계 구축

○ 해양과학통합정보 및 환경평가에 근거한 해양공간관리 체제 구축

사업내용

○ 독도, 동해지명, 이어도 문제, 한일 대륙붕공동개발구역의 활용 방안 등 해양현안 문제에 대응할 중장기적 매뉴얼 작성

○ 해양영토의 확보 및 관리를 위한 국가전략을 조속히 수립하고 동 계획에 입각하여 체계적인 정책집행 수행

○ 과학기반 해양공간이용 갈등 조정을 위한 관할해역의 해양공간 계획 수립

기대효과

○ 한중일 3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대륙붕 경계획정에 대비한 과학적 자료 확보 및 실무적/국가적 차원의 대응

○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 연간 2,790억원, 총 5년간 1조 3,950억원 기대

[ 한․중․일 해양과학조사 측선 비교 ]

② 통합해양관측시스템 구축

사업목적

○ 해저관측망, 종합해양과학기지, 해양위성 등 3차원 입체적, 실시간 감시․관측시스템과 해양예보시스템으로 생산된 해양정보를 분석․제공하는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내용

○ 3차원 입체적 실시간 감시․관측시스템 구축

: 울릉도∼독도, 마라도~이어도, 추자도~제주도 등 해저관측망 케이블 설치․운용 및 Glider 관측 운영

: 해저지진, 쓰나미 등 해양재해 요인 모니터링

○ 해양예보 지원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해양예보시스템 운영 및 개선

○ 실시간 해양관측 및 해양예보 정보를 분석․제공하는 해양정보 통합시스템 구축

기대효과

○ 중국어선 감시 등 체계적 해양영토 관리 및 해양 재해․재난시 신속대응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 생산유발효과 : 연간 3,550억원, 총 5년간 1조 7,750억원

○ 부가가치유발효과 : 연간 940억원, 총 5년간 4,700억원

○ 취업유발효과 : 연간 1,530명, 총 5년간 7,630명

[ 통합해양관측시스템 구축 개념도 ] [ 해양정보 통합시스템 구성도 ]

③ 연안재해 대응시스템 구축

사업목적 ○ 태풍, 쓰나미, 이상파랑, 연안침식 등으로 인한 연안 재해․재난 에 대응할 수 있는 관측․예보 융합시스템 구축

사업내용

○ 실시간 부이, HF-Radar, 종합해양과학기지, 인공위성 등을 연동한 실시간 연안재해 대응 관측시스템 구축

○ 실시간 관측시스템과 자료동화기술 기반 연안재해 대응 예보 시스템 구축

○ 폭풍 및 지진해일에 의한 해일고․침수범람 예측시스템 및 방재 시설 개발

○ 연안재해 유발 고파랑 특성 분석․예측기술 개발

○ 연안침식 저감기술 및 연안지형변동 예측시스템 개발

○ 수색구조 지원시스템 및 유류유출 예측시스템 개발

기대효과

○ 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로 인해 점차 피해규모가 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연안재해․재난의 피해 저감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연간 3,500억원, 총 5년간 1조 7,500억 원 기대

[연안재해 대응 관측․예보 융합시스템]

④ 지구변화 예측시스템 구축

사업목적 ○ 기후변화 및 장주기 기후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대한민국 고유 의 미래지구변화 예측시스템 구축

사업내용

○ 해양 열염분순환의 변동과 대양간 상호작용 연구

○ 해양 탄소순환계 특성 및 변화 규명

○ 열대 해양순환이 동아시아 해양기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태풍기인 대륙븡 및 심해 혼합특성 연구

○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지형 환경 변동성 연구

○ 해양위성을 활용한 해양환경 변동 연구

기대효과

○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되는 기상재해에 대한 맞춤형 예측정보를 이용하여 국가/산업경제, 국민생활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

○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 연간 2,375억원, 총 5년간 1조 1,875억원 기대

[ 한국형 지구변화 예측시스템 ]

⑤ 해양생태계 구조 진단·관리 및 기능복원

사업목적 ○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건강한 해양생태계 보존

○ 자연과 조화로운 고기능의 생물 서식처 복원

사업내용

○ 해양생태계 진단·복원을 위한 구조 및 기능 연구

○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평가기반 관리기술 개발

○ 생물자원 및 서식지 보존․복원으로 유용 해양생물자원 개발 및 친생태공간 조성

○ 다목적/다규모 실험생태계 (KIOST Sphere) 구축 및 운용

기대효과

○ 건강하고 다양한 고기능의 해양생태계 지속성 확보로 국가 자원의 최첨단 관리 및 이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 연안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선도적 기술 확보, 나아가 생태계 관리 및 생태복원 기술로의 연계 발전 활용

○ 다양한 생물군 특성과 서식환경을 고려한 실험생태계 모의기반 해양생태계 종합적 해석

○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연간 3,365억원, 총 5년간 1조6,825억원 기대

⑥ 해양생물․유전자원 활용기술 개발

사업목적 ○ 해양생명공학산업을 21세기 미래주도 고부가가치 성장동력산업 으로 육성

사업내용 ○ 국내외의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신약, 바이오에너지, 신소재 등 첨단 해양바이오기술 개발

기대효과

○ 국내외 해양생명자원의 확보․관리․보존 및 이를 기초로 하는 해양생명공학산업 육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

○ 생산유발효과 : 연간 3,060억원, 총 5년간 1조 5,290억원

○ 부가가치유발효과 : 연간 850억원, 총 5년간 4,240억원

○ 취업유발효과 : 연간 1,130명, 총 5년간 5,630명

[ 초고온성 고세균 이용 바이오수소 생산 ] [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 ]

[ 열대해역에서 흑진주 대량배양 ] [ 해양 스피룰리나 대량 배양 ]

⑦ 해양광물자원 개발

사업목적 ○ 해외경제영토 및 전략금속자원 확보를 위해 태평양 심해저망간 단괴, 해저열수광상 등 광구 및 개발권 확보

사업내용

○ 공해(동․남서태평양, 인도양) 및 도서국 EEZ 해역(피지, 쿡 아일랜드 등)을 대상으로 해양광물자원개발을 위한 실해역 탐사 수행

○ 독자적 탐사기술 개발로 해양광물자원의 정밀자원량 평가 : 광구 선정 및 상업개발을 위한 최적 개발시스템 구축

○ 환경친화적 자원개발을 위한 환경연구 수행

○ 국제공동연구 및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심해탐사장비/기술 개발

기대효과

○ 우리나라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주요 금속광물자원 및 희유금속자원의 장기․안정적 공급원 확보

○ 생산유발효과 : 연간 3,000억원, 총 5년간 1조 5,000억원

○ 부가가치유발효과 : 연간 800억원, 총 5년간 4,000억원

○ 취업유발효과 : 연간 1,500명, 총 5년간 7,500명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광구 분포도] [개발 중인 망간단괴 집광기]

⑧ 심해연구 및 첨단 장비․시설 구축

사업목적 ○ 심해 해양탐사 기반기술 확보 및 해양개발 사업의 활성화

사업내용

○ 6천미터급 심해 유인잠수정 개발

○ 심해공학시험수조 건설로 해양구조물․플랜트산업 세계기술시장 선도

기대효과

○ 심해 극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한 조선, 항공, 우주, 국방 등 타 분야로의 기술 파급효과

○ 생산유발효과 : 연간 2,000억원, 총 5년간 1조원

○ 부가가치유발효과 : 연간 400억원, 총 5년간 2,000억원

○ 취업유발효과 : 연간 700명, 총 5년간 3,500명

[ 세계 심해 유인잠수정 ]

[ MARIN(네덜란드) 심해공학수조 ]

⑨ 해양에너지 및 해양플랜트 개발

사업목적 ○ 해양에너지 복합발전단지조성 및 국가 에너지자원의 개발-이송- 저장-공급을 위한 해양플랜트 등 기술개발

사업내용 ○ 해상풍력, 조류, 조력, 파력, 해수온도차 발전 에너지 생산기술 개발

○ 해양플랜트, 제2의 조선산업으로 육성

기대효과

○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중 해양에너지 비중 10% 달성

○ 해양플랜트, 제2의 조선산업으로 육성

○ 생산유발효과 : 연간 7,370억원, 총 5년간 3조 6,850억원

○ 부가가치유발효과 : 연간 2,150억원, 총 5년간 1조 750억원

○ 취업유발효과 : 연간 3,390명, 총 5년간 16,950명

[ 해상풍력-파력스마트 복합발전 ] [ 다목적 해상풍력발전 활용 ]

[ 반잠수식 시추설비/Semi Rig ] [ 부유식 해상 LNG터미널/FSRU ]

⑩ 해양공간 활용기술 개발

사업목적 ○ 친환경 해상도시/공간디자인 기반기술 개발 및 다목적 해저과학 기지건설 기술 개발

사업내용

○ 해양에너지개발 기능과 자원재활용 기능이 접목된 친환경 해상 도시 건설기술 개발(친환경 비매립식)

○ 수심 50m에 50인 이상 작업/연구인력이 상주 가능한 해저과학 기지 건설

기대효과

○ 육상과 해상을 연결하는 인류활동의 입체적 공간조성과 편의제공

○ 생산유발효과 : 연간 3,001억원, 총 5년간 1조 5,005억원

○ 부가가치유발효과 : 연간 705억원, 총 5년간 3,525억원

○ 취업유발효과 : 연간 1,142명, 총 5년간 5,710명

[ 친환경 해상도시 개발 방향 ] [ 다목적 해저과학기지 개념도 ]

국제심포지움 주요 토론 및 시사점

1

1

Dalam dokumen 해양과학기술_전략개발_연구.pdf (Halaman 5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