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최종 설계원리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13-122)

III. 연구방법

5. 최종 설계원리

본 연구에서는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지원 설계원리 및 세 부전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탐색과 경험적 탐색을 거쳐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으며, 설계원리의 내적 타당화를 위해 두 차례의 전 문가 타당화를 거쳐 초기 설계원리를 수정하였다. 이후 외적 타당화를 위해 설계원리를 적용한 수업을 설계 및 실행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반응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지원 설계원리를 최종적으로 수정하 기 위해 참고한 학습자 및 교수자의 반응과 그에 따른 수정 및 보완사항 은 다음의 <표 Ⅳ-20>과 같다.

구분 학습자 및 교수자 반응 수정 및 보완 사항

수업 전반

짧은 수업 적용 기간 § 수업을 최소 한 학기 단위의 프 로젝트 형태로 진행

블로그 활동의 목적에 대한 사전 안

§ 세부전략 추가

온·오프라인 환경의 특징 적절히 활 용

§ 설계원리 적용 시 온·오프라인 환 경의 특징을 반영한 활동 설계 수업 전-중-후에 따라 강조되어야

할 원리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 수업 전-중-후에 따른 설계원리 의 적용 양상 추가

수업 참고자료의 종류 다양화 § 세부전략 수정 및 예시 추가

<표 Ⅳ-20> 학습자 및 교수자의 반응에 따른 수정 및 보완 사항

위와 같은 수정 및 보완사항을 반영하여 개발된 최종 설계원리는 다음 의 <표 Ⅳ-21>과 같다.

전 자원을 주제에 따라 유형화하여 제

§ 기존의 세부전략 수정

수업 중

수업 주제(스마트 교육)에 대한 사전

강의 실시 § 세부전략 추가

친숙하지 않은 테크놀로지 § 테크놀로지에 친숙해질 수 있도 록 수업 중 충분한 시간 제공 강좌 공통 태그 활용 § 세부전략의 예시에 추가

수업 후

뉴스레터의 목적에 대한 사전 안내

제공 § 뉴스레터 배포 시 안내

뉴스레터를 통해 다음 차시 활동을 위해 생각해볼 만한 질문 및 프롬프 트 제시

§ 세부전략의 예시에 추가

설계원리 및 세부전략 1. 적극적 개방의 원리

: 학습자의 개인학습환경 활동에 동료 학습자 및 강좌 밖 전문가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 도록 지원한다.

1.1. 동료 학습자의 개인학습환경에 탑재된 창작물에 피드백을 주게 하라.

예시 Ÿ 동료 학습자의 블로그 글에 적어도 두 개의 댓글을 달도록 안내

1.2. 수업 주제와 관련된 전문가를 섭외하고 학습자의 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라.

예시 Ÿ 전문가에게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의 URL 주소를 안내하고 학습자의 글에 대해 피드백을 줄 수 있도 록 요청

2. 창작물 공유 촉진의 원리

: 학습자가 학습을 통해 산출된 창작물을 개인학습환경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2.1. 학습을 통해 산출된 창작물을 개인학습환경에 공유하게 하라.

예시 Ÿ 과제로 제시된 활동의 결과물을 블로그 또는 SNS를 통해 공유하도록 안내 2.2. 태그(tag)를 활용하여 개인학습환경에 창작물을 공유하게 하라.

예시 Ÿ 강좌 대표 태그(예: #edutech17, #교육공학17) 또는 수업 주제 관련 태그(예: #스마트교육)의 예시 제공

3. 자율성의 원리

: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표 Ⅳ-21> 최종 설계원리 및 세부전략

학습자-학습자 연결

학습자-전문가 연결

학습자-자원 연결

학습자-도구 연결

메타인지 조절

제공한다.

3.1. 학습자 스스로 학습 주제를 선정하게 하라.

예시 Ÿ 학습자에게 ‘자유 주제 탐구’ 과제 제시

3.2. 학습자 스스로 개인학습환경 구축을 위한 도구를 선택하게 하라.

예시

* 개인학습환경 구축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 예시 제공 (예: 블로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소셜 북마킹 도구 등)

* 개인학습환경 구축을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예시 제공 (예: 블로그 서비스-네이버, 이글루스, 티스토리 등) 3.3. 자신의 학습 과정에 대해 성찰하게 하라.

예시 각 활동을 마친 후, 개인학습환경 또는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에 활동에 대한 성찰 글 작성 과제 제시

4. 정보 리터러시 개발의 원리

: 학습자가 온라인상에서 유효한 정보를 찾고, 조직화하고, 비판하고, 재구조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4.1. 온라인상의 다양한 자원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게 하라.

예시 Ÿ 온라인상의 다양한 자원을 참고하여 수업의 주제에 대해 개념지도를 작성해보는 과제 제시 4.2. 온라인상의 자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하라.

예시 Ÿ 수업 주제와 관련된 온라인상의 자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판적 성찰 글을 작성해보는 과제 제시 4.3. 온라인상의 다양한 자원을 리믹싱(remixing) 및 리퍼포징(repurposing)하여 학습 창작물 을 만들게 하라.

예시 Ÿ 수업주제와 관련된 온라인상의 다양한 자원을 2가지 이상 종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 또는 관점을 제시 하는 주제 탐구 과제 제시

학습자-학습자 연결

학습자-전문가 연결

학습자-자원 연결

학습자-도구 연결

메타인지 조절

5. 풍부한 자원 제공의 원리

: 수업에서 참고할 만한 다양한 자원을 탐색하고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5.1. 수업 주제와 관련된 전문가의 개인학습환경 목록을 제공하라.

예시 Ÿ 온라인상에서 수업 주제와 관련된 전문가 3명 이상의 개인학습환경을 탐색하고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 경에 링크 공유

5.2. 수업 주제와 관련된 자원을 포함하여 온라인상의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라.

예시 Ÿ 온라인상에서 수업 주제와 관련하여 미시적·거시적 주제의 다양한 자원을 탐색하고, 수업주제와 직접적 관련이 없더라도 도움이 될 만한 자원을 탐색하여 제공

5.3. 온라인상의 자원을 주제에 따라 유형화하여 제시하라.

예시 Ÿ 전문가의 개인학습환경 및 온라인상의 자원을 소주제에 따라서 유형화하여 제시 5.4. 학습을 통해 산출된 창작물의 예시를 제공하라.

예시

Ÿ 비판적 성찰글의 예시를 제작하거나 기존의 자원을 찾아 촉진자의 블로그에 공유하고 개인학습환경 공 유 환경에 링크 공유

Ÿ 리믹싱 및 리퍼포징을 통한 창작물의 예시를 제작하거나 기존의 자원을 찾아 촉진자의 블로그에 공유 하고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에 링크 공유

6. 교수 실재감의 원리

: 학습자가 교수자로부터 적절한 안내 및 도움을 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한다.

6.1. 연결주의의 의미 및 개인학습환경 활동의 목적에 대해 안내하라.

예시 Ÿ 연결주의의 의미와 개인학습환경 활동의 목적에 대해 안내하는 자료를 만들고,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 학습자-학습자

연결

학습자-전문가 연결

학습자-자원 연결

학습자-도구 연결

메타인지 조절

을 통해 게시

6.2. 수업 주제에 대한 기초적인 강의를 제공하라.

예시 Ÿ 수업 주제와 관련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의 강의 제공 6.3. 학습자의 개인학습환경에 탑재된 창작물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라.

예시 Ÿ 뉴스레터를 통해 학습자의 개인학습환경 활동을 소개하고 간단한 피드백 제공 6.4. 학습자가 주차별로 해야 할 활동을 안내하라.

예시 Ÿ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을 통해 주차별로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활동 및 설명을 표로 만들어 제시 Ÿ 뉴스레터를 통해 다음 시간 활동에 대한 프롬프트 제시

7. 분산된 활동 종합의 원리

: 학습자의 개인학습환경에서 분산적으로 이루어진 활동을 종합해주는 콘텐츠 및 환경을 제 공한다.

7.1. 학습자의 개인학습환경 활동을 종합한 자료를 제작하여 정기적으로 배포하라.

예시 Ÿ 데일리 뉴스레터(Daily Newsletter) 또는 위클리 뉴스레터(Weekly Newsletter)를 제작하여 학습자의 블 로그 활동을 간단히 소개하고 해당 활동으로 연결되는 링크 제공

7.2. 누구나 접근 및 참여할 수 있는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을 구축하라.

예시

Ÿ 공동 문서 작업 도구인 Google Docs를 활용하여 페이지를 구축 Ÿ 소셜 미디어의 그룹 페이지 구축

Ÿ RSS Reader 소프트웨어 구축

7.3.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에 자신의 개인학습환경 활동을 공유하게 하라.

예시

Ÿ Google Docs 페이지에 학습자가 자신의 이름과 함께 활동의 링크를 공유할 수 있게 함 Ÿ 소셜 미디어의 그룹 페이지에 학습자가 자신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게 함

Ÿ 수업 초반에 학습자가 자신의 RSS 피드 주소를 등록하게 함 학습자-학습자

연결

학습자-전문가 연결

학습자-자원 연결

학습자-도구 연결

메타인지 조절

수업 전, 중, 후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원리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 지 살펴보면 다음의 <표 Ⅳ-22>와 같다.

계 범주 지원 내용 도구 설계

원리

수 업 전

개인학습 환경 활 동 공유 환경 구 축

Ÿ 링크를 가진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는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을 구축한다. Google Docs 페이지, SNS 그룹 페이지, RSS Reader

원리 7

Ÿ 개인학습환경 공유 페이지에 주차별로 학습자 가 해야 할 활동과 그 때 활용할 수 있는 자원 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다.

원리 6

전 문 가 및 자원 탐색

Ÿ 수업 주제와 관련된 전문가의 개인학습환경을 탐색하고, 링크를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에 공유한다.

검 색 엔 진 ( G o o g l e , Naver 등), 학술자료 검 색엔진(RISS, G o o g l e Scholar 등)

원리 5

Ÿ 온라인상에서 수업 주제와 관련된 미시적·거시 적 주제의 다양한 자원을 탐색하고, 수업주제 와 직접적 관련이 없더라도 도움이 될 만한 자 원을 탐색한 뒤 주제에 따라 유형화하여 개인 학습환경 공유 환경에 공유한다.

원리 5

예시 자 원 탐색 및 제작

Ÿ 학습자에게 제시될 활동의 창작물 예시를 제작 하거나 기존 자원을 찾아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에 공유한다.

촉진자 개인

학습환경 원리 5 강좌 개

요 소개

Ÿ 연결주의의 의미와 개인학습환경 활동의 목적 에 대해 안내하는 자료를 만들고 개인학습환경 공유 환경을 통해 게시한다.

파워포인트 원리 6

수 업 중

사전 강 의

Ÿ 수업 주제와 관련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의 강의를 제공한다. 원리 6 학 습 자

개인학습 환경 구 축

Ÿ 학습자에게 개인학습환경 생성시 활용할 수 있 는 도구 및 서비스의 예시를 제공한다.

블로 그(네 이 버, 이글루스, 티 스 토 리 등), SNS(페 이스북, 트위 터 등)

원리 5

Ÿ 학습자 스스로 원하는 도구 및 서비스를 선택

하여 개인학습환경을 생성하게 한다. 원리 3

온라인상 의 자원 간 구조

Ÿ 온라인상의 다양한 자원을 탐색하면서 수업 주 제에 대한 개념지도(concept map) 작성해보게 한다.

개념지도 작 성 온라인 도

원리 4

<표 Ⅳ-22> 설계원리가 적용된 단계별(수업 전-중-후) 지원 내용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13-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