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측정 및 분석결과

Dalam dokumen 해상 파랑 관측 조사 사업 보고서 (Halaman 137-142)

그림 4.3 만리포 해변의 수심 프로파일 및 표 4.1에서 제시된 파랑측정 장비들의 설치 위치

그림 4.4 실험기간중 만리포 외측해역에서 관측된 조석 및 입사파의 분석자료

ii). 만리포 해변의 지형자료

만리포 해변에서 지상 라이다를 사용한 3차원 지형측정은 사리 저조시점에 맞추어 가능 한 넓은 조간대 영역을 측량하도록 하였다. 광파기를 사용한 해변 경사 프로파일의 측량 은 2 ~ 3일 간격으로 날씨가 맑은 날마다 저조시점에 실시하였다. 그림 4.5는 지상 라 이다로 측량된 만리포 해변의 3차원 지형자료를 보여주고 있고, 그림 4.6은 광파기를 통 하여 측정된 해변 경사의 프로파일이다.

그림 4.5의 측정결과에서 보면 조간대의 폭이 거의 일정하게 북단에서 남단까지 형성되 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가지 특이한 점은 해변 남단에서 조간대 상단부의 경 사가 해변 북단에서 보다는 더 완만하게 발달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림 4.6에서 제시된 해변의 경사 프로파일 측량결과는 상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큰 변화가 없는 완경사로 경사도가 약 0.02 임을 보여준다. 그림 4.6에서 또한 실험기간 중 40일간 측 정한 해변의 경사 프로파일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림 4.6의 비교결과는 하단부에서는 퇴 적이 진행되고 상단부에서는 침식이 진행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최상부의 퇴적량 증가는 바다쪽에서 강하게 불어오는 북서풍의 영향으로 해변의 모래가 쓸려가 퇴적되고 있는 것 으로 판단된다.

그림 4.5 지상 라이다(LiDAR)를 사용하여 측량한 만리포 조간대의 3차원 지형자료

그림 4.6 광파기(Total Station)을 통하여 측정한 만리포 해변 경사 프로파일(Profile) 및 실험기간중 40일간 변화량

iii). 원격촬영 해안영상을 활용한 조간대 관측

만리포 조간대에서 파랑변형 및 쇄파현상을 관측하기 위하여 CCTV 비디오 카메라를 사 용하여 파랑 측정 장비들이 설치된 중앙선을 따라 조간대 지역을 촬영후 기록하도록 설 치하였다. 조간대의 폭이 최대 약 300 m에 이르는 관계로 3대의 카메라를 연이어서 설

치하여 대부분의 조간대를 녹화하도록 하였다. 자료 녹화를 위한 샘플링은 1 Hz로 하였 으며,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간에만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림 4.7은 CCTV 비디 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만리포 조간대 및 쇄파대의 변화양상을 보여준다. 그림 4.7(a) 는 실험기간 중 하루동안 관측된 조간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고, 그림 4.7(b)는 그림 4.7(a)중 시작부분에서 관측된 swash zone에서의 장주기파 현상을 확대해서 보여준다.

(a) CCTV를 이용하여 관측한 조간대 및 쇄파대의 변화

(b) CCTV에 의하여 관측된 swash zone에서의 장주기파 현상 그림 4.7 CCTV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관측한 조간대 및 쇄파대의 변화

영상처리의 선인식 기법을 사용하여 해안선의 수평적 이동 변화선을 추출해 낼 수 있고, 측량된 해변경사 프로파일 자료로부터 해안선의 수평적 이동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 및 하강을 역추산할 수 있다. 이로부터 조석의 영향을 제거한 후에 계산된 해수면의 장주기 운동이 그림 4.7(b)에 또한 제시되어 있다.

현재까지 현장에서 방파제에서 발생하는 월파현상을 직접 측정하는 경우는 찾아 보기가 매우 어렵다. 본 실험에서는 만리포 방파제에서 촬영한 CCTV의 영상을 사용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방파제 월파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림 4.8은 만리포 해안 남단의 방파제에

(a) 방파제 지상기준점의 측정 (b)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CCTV 영상의 기하보정

(c) 처올림 측정을 위한 단면 설정 (d) 단면에 대하여 수집한 CCTV 시간영상

(e) 방파제 사면경사로부터 처올림 높이 환산 (f) CCTV 영상으로부터 측정된 도파고

그림 4.8 만리포 남단 방파제에 촬영한 CCTV 영상으로부터 방파제 도파 및 월파

높이를 구하는 과정 설명

설치한 CCTV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방파제 사면을 따라 입사파의 도파 및 월파의 높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 5 장 파랑 산출 시스템 개선및 적용

제 1 절 파랑 장기 산출 및 설계파 산출

Dalam dokumen 해상 파랑 관측 조사 사업 보고서 (Halaman 137-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