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을 남기며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였다.

어린이 프로그램의 경우 유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기에 총 5개의 프로그램 중 EBS 교육방송이 4개(80%)를 방영해왔다.

퀴즈 형식의 음악 프로그램은 MBC가 유일했다. 문화가 소식 및 예술 가 등 인물을 다룬 프로그램은 매거진 프로그램 또는 문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으며 5년 동안 4개로 나타났다. 현재 방영 중인 프로그램은 KBS의 <네트워크 문화산책>과 EBS <예술교육다큐 – 아 티스트> 두 개가 전부였다.

한때 창작동요제를 통해 동요의 산실이기도 했던 MBC는 최근 5년 동안 동요 프로그램을 다루지 않고 있었지만, <뽀뽀뽀 모두야 놀자>를 통해 어린이 프로그램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노래와 율동 코너가 있 기는 하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기에 음악 프로그램으로 분류할 수는 없었다.

[표 Ⅲ-5] KBS 음악 프로그램의 요일별, 시간대별 분포

요일

9

10 노래가

좋아 11

12 국악

한마당

전국 노래자랑 13 네트워크

문화산책 14

15 종)교향

악단연주

16 누가누가

잘하나

17 뮤직뱅크

18 불후의

명곡

열린 음악회 19

20 종)나는

대한민국

21 종)더유닛

22 가요무대 종)국민 대합창

종)국민 대합창

종)국민 대합창

종)국민 대합창 종)더히트

23 종)건반위

하이에나

종)콘서트 7080

24 유 희 열 의

스케치북

25 KBS 중계석

※ 주시청시간대63)는 음영 처리하였다.

※ 종영한 프로그램은 ‘종)’으로 표시하였다.

63) 방송법 시행령 제50조 3항에 따라, 주시청시간대(prime time)는 평일 오후 7시 부터 밤 11시, 토요일·일요일 및 공휴일은 오후 6시부터 밤 11시를 말한다. ‘황 금시간대’, ‘피크 타임’이라고도 부른다.

3사를 통틀어 주시청시간대에 가장 많은 음악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KBS의 대표 장수 음악 프로그램인 <가요무대>와 <열린음악회>, 그리고 많은 연령층을 아우를 수 있는 <불후의 명곡>이 주시청시간대에 편성되어 있다.

종영하긴 했으나 <나는 대한민국>을 주시청시간대에 배치했던 것은 광복 70주년 기념 특집을 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화·수·목·금요일 밤 10시 55분마 다 5분간 방영되었던 <국민대합창 우리歌> 역시 일일드라마가 끝난 직 후 시간대에 배치되어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기에 적절한 시간이었던 것 으로 보인다.

또한 종영 프로그램인 대국민 참여 오디션 프로그램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 역시 황금시간대에 편성되었던 것을 볼 수 있다. 이 역시 데뷔 멤버를 투표로 가리는 경연 프로그램이었기에 많은 시청자들 의 참여가 필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KBS는 현재 화요일과 수요일에는 음악 프로그램이 전혀 편성되어 있 지 않으며, 예능 형식의 음악 프로그램들 <전국노래자랑>, <노래가 좋 아>, <불후의 명곡> 등이 대부분 주말과 휴일에 방영되고 있다.

문화예술 전 부문에 걸쳐 공연 이야기를 다루는 <KBS 중계석>의 경 우 연출 의도에서 고급 문화의 대중화에 힘쓴다고 밝히고 있으나 시간대 가 대중화와는 거리가 멀게 느껴진다. 새벽 1시가 넘은 시각에 방영되어 클래식 애호가라 할지라도 시청이 쉽지 않은 시간대이다.

다음 [표 Ⅲ-6]은 MBC에서 최근 5년간 방영했거나 현재 방영하고 있 는 음악 프로그램들을 요일별, 시간대별로 분류한 것이다.

[표 Ⅲ-6] MBC 음악 프로그램의 요일별, 시간대별 분포

요일

5 우리가락

우리문화 6

7 8 9 10 11 12 13 14

15 음악중심

16

17 복면가왕

18

놀면 뭐하니 종)언더 나인틴 종) 뜻밖의Q 19

20

종)지금 1위는 종)SONG ONE

21 종)듀엣

가요제

22 종)나는

가수다 23

24 종) 낭만클럽

종) 문화사색

25 종)타깃

빌보드

26 예술무대

※ 주시청시간대는 음영 처리하였다.

※ 종영한 프로그램은 ‘종)’으로 표시하였다.

MBC의 경우 평일인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는 현재 방영되고 있는 음악 프로그램이 전무하다. 모든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주말과 휴일에 편성되어 있으며, 종영한 프로그램 중 <다시 쓰는 차트쇼 지금 1위는?>,

<내 인생의 노래 SONG ONE>, <나는 가수다 3>, <문화사색>,

<Target: Billboard - KILL BILL>가 금요일 오후 시간대에, <낭만클 럽>이 월요일에서 늦은 밤중에 반영되었다.

2019년 11월 현재 주시청시간대에는 <놀면 뭐하니? : 유플래쉬 X 뽕 포유> 한 프로그램만이 편성되어 있으며 주력하고 있는 방송임을 알 수 있다. 본래 MBC 간판 예능 프로그램이었던 <무한도전>의 PD 김태호와 MC 유재석 콤비가 주축이 되어 새로운 예능 방식을 시도하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드럼 연주를 배우는 ‘유플래쉬’를 비롯해 트로트 가 수에 도전하는 ‘뽕포유’가 시청률 8.5%64)를 기록하며 자체 최고 기록을 쓰기도 하였다.

시사교양으로 분류되어 있는 <우리 가락 우리 문화>와 <TV 예술무 대>의 경우에는 주말 편성이긴 하나 토요일 꼭두새벽과 일요일로 넘어 가는 심야 시간대에 편성되어 있다. 이처럼 새벽 시간대에 편성되어 있 는 다른 음악 또는 음악 예능 프로그램은 전혀 없다. 심지어 국악을 다 루는 <우리 가락 우리 문화>의 경우 월 1회 방영이기 때문에 고정 시청 자 확보 또는 시청 습관 형성이 어려운 상황이다. 시간대 편성에서부터 흥미 위주의 음악 프로그램과 고전 음악 프로그램을 구분 짓고 있는 것 을 확연히 볼 수 있어 아쉬운 부분이다.

다음 [표 Ⅲ-7]은 EBS에서 최근 5년간 방영했거나 현재 방영하고 있 는 음악 프로그램들을 요일별, 시간대별로 분류한 것이다.

64) https://www.yna.co.kr/view/AKR20191208011800005?input=1195m

[표 Ⅲ-7] EBS 음악 프로그램의 요일별, 시간대별 분포

요일

6

7 뽀로로와 노래해요

8 종)

싱앤댄스 종) 싱앤댄스 9

10 뮤 직 박 스

(1TV재) 11

12 야옹!클래식

13 14 15

16 예술아

놀자

예술다큐 아티스트

뮤직박스

(2TV재) 종)한국 종)한국 음악기행

음악기행

17 뭐든지 뮤직박스

18 종)

악동클럽 19

20 21

22 종)아티스

트처럼

종)아티스 트처럼

종)아티스 트처럼

23 스페이스

공감

24 문예특집

-공감 플러스 25

※ 주시청시간대는 음영 처리하였다.

※ 종영한 프로그램은 ‘종)’으로 표시하였다.

EBS에서는 현재 월·화·수요일의 경우 음악 프로그램 편성이 텅 비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문예특집으로 편성된 <공감 플러스>를 제외하고 는 모든 음악 프로그램이 목요일과 금요일에 편성되어 있는 상황이다.

<뭐든지 뮤직박스>가 본방송 이외에도 재방송이 두 번이나 편성되어 있 는데 이마저 모두 주말과 휴일에 몰려있다. 목·금요일에 본방 사수를 하 지 못한 어린이들을 위해 주말에 볼 수 있게끔, 혹은 재방송을 통해 복 습을 할 수 있게끔 편성한 것이라 한다면 납득이 가능하다.

하지만 모든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한 주의 후반부에 배치해둔 것은 음악 애호가들 혹은 음악을 방송을 통해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 대한 배 려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현재 목요일에는 4개의 프로그램이, 금요일에는 5개의 프로그램이 편성되어 있으나 주시청시간대에 편성된 음악 프로그램은 단 한 프로그램도 없는 실정이다.

음악교육적으로도 아주 의미가 있다고 평가되는 콘텐츠 <야옹! 클래 식>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지만 목요일과 금요일 12시에 편성되어 학기 중에는 학생들의 시청이 불가능한 시간대에 방영 되고 있다.

다음 [표 Ⅲ-8]은 3사가 현재(2019년 11월) 방영하고 있는 음악 프로 그램을 한데 모아 정리한 것이다.

[표 Ⅲ-8] 현재(2019.11.) 방영 중인 음악 프로그램의 요일별, 시간대별 분포

요일

5 M 우리

가락문화 6

7 E 뽀로로

8 9

10 K 노래가

좋아

E(재) 뮤직박스 11

12 E 야옹클래식 K 국악

한마당

K 전국 노래자랑 13 K

문화산책 14

15 M

음악중심

16

K 누가

잘하나 E 다큐 아티스트

E(재) E 예술아 뮤직박스

놀자 17

K

뮤직뱅크 M

E 뭐든지 뮤직박스 복면가왕

18

K 불후의

명곡 K 열린 M 놀면 음악회

뭐하니 19

20 21 22 K

가요무대

23 E 공감

24 E 공감플러스 K 유스케

25 K KBS 중계석

26 M

예술무대

※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는 음영 처리하였다.(학기 중 기준 적용)

※ 각 방송사 앞머리를 따 KBS는 ‘K’, MBC는 ‘M’, EBS는 ‘E’로 표시하였다.

현재 방영 중인 23개 프로그램 중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에 편성된 프 로그램은 15개로 65%가 배치되어 있으나 실제로 중·고등학교의 수업시 간을 생각한다면 실제로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은 많지가 않다.

게다가 클래식을 다루는 프로그램인 <KBS 중계석>과 MBC <TV 예 술무대>는 각각 새벽 1시 50분과 새벽 2시 10분에, MBC의 유일한 국악 프로그램 <우리 가락 우리 문화> 역시 새벽 5시에 편성되어 있다. 청소 년들이 전통음악이나 클래식 음악을 접하기는커녕 청소년이 시청 가능한 시간대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청소년시청시간대와 상관없이 주시청시간대에 편성된 프로그램은 총 4개로 17.3%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KBS가 <불후의 명곡>, <열린 음악 회>, <가요무대> 세 프로그램으로 가장 많으며 MBC는 음악 예능 프로 그램이자 작곡·작사 및 음반 유통과정을 보여주는 <놀면 뭐하니? : 유플 래쉬 x 뽕포유>가 편성되어 있다. EBS는 주시청시간대에 음악 프로그 램을 편성하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