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러한 목표 설정에 따라 강의 전반부에서는 도덕적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 및 관점들을 설명하고, 후반부에서는 구체적인 도덕적 이슈들에 대해 토론하고 발표하게 될 것이다. 학생들의 성취도는 글쓰기와 발표로 측정된다. 학생들의 조별로 준비한 발표는 강 의자의 사회로 공개적으로 토론되며, 토론된 내용을 반영해서 수정한 입장을 다시 한번 짧게 발표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보다 정합적이고 풍부한 입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 다. 학생들의 크고 작은 글은 수강인원에 따라 개별적으로 혹은 대표논평의 형태로 피드백을 받을 것이며, 기말보고서와 같이 긴 글에 대해서는 피드백을 반영해서 개선한 보고서를 최종 평가에 반영할 것이다.

4-1 도덕은 전체효용의 극대화인가? 사례를 들어 강의 4-2 도덕은 무조건적인 법칙인가? 사례를 들어 강의

5-1 도덕은 무조건적인 법칙인가? 사례를 들어 강의 짧은 글쓰기 과제2

5-2 대표 과제물에 대한 평가 및 토론 제출된 과제물 중 대표적인 것을 코 멘트하여 제시

6-1

도덕 원칙들: -호혜적 합의 준수 -해악금지와 선의 증진

-인격 존중과 자율성 존중

사례를 들어 강의

6-2 도덕적 추론 방법: 하향식, 상향식,

반성적 평형 사례를 들어 강의

7-1 도덕적 추론 분석과 평가: 개념적, 원리적, 사실적, 논리적 차원

교수가 설명 후, 팀(팀당 5인정도)을 나누어 글을 주고 팀원들이 함께 글 을 분석, 평가한 후 곧바로 제출하게 함.

7-2 그 외 요소: 감정의 역할, 맥락 등

지난 시간 제출한 분석, 평가문에 대 한 간단한 코멘트/

7-2주차 강의: 사례를 들어 강의

8-1 도덕적 문제해결 사례를 들어 강의

8-2 도덕적 문제해결

영화 <프라이멀 피어> 마지막 장면을 보여주고 딜레마를 제시, 학생들은 팀 을 나누어 토론(팀 안에서 찬반나눌 필요 없고 개인적 문제해결에 대한 의견 교환)

9-1 이슈1: 기회평등, 복지분배의 문제 교수가 이슈1에 관련된 논쟁 안내

9-2 학생발표1 이슈1에 관한 팀발표와 청중토론

10-1 이슈2: 기업윤리의 문제 -전 시간 토론에 대한 대응과 정리 -교수가 이슈2에 관련된 논쟁 안내

6개의 발표 내용 중 택일하여 논평 문 작성

10-2 학생발표2 이슈2에 관한 팀발표와 청중토론

11-1 이슈3: 외국에의 인도적 무력개입의 문제

-전 시간 토론에 대한 대응과 정리 -교수가 이슈3에 관련된 논쟁 안내

(논평문은 발표 후 일주일 이내 제출)

11-2 학생발표3 이슈3에 관한 팀발표와 청중토론

12-1 이슈4: 시민불복종의 문제 -전 시간 토론에 대한 대응과 정리 -교수가 이슈4에 관련된 논쟁 안내

12-2 학생발표4 이슈4에 관한 팀발표와 청중토론

13-1 이슈5: “더러운 손”의 문제 -전 시간 토론에 대한 대응과 정리

-교수가 이슈5에 관련된 논쟁 안내 기말보고서 제출

13-2 학생발표5 이슈5에 관한 팀발표와 청중토론

14-1 이슈6: 전문직 윤리

(간섭주의 문제, 기능수행 문제)

-전 시간 토론에 대한 대응과 정리 -교수가 이슈6에 관련된 논쟁 안내

14-2 학생발표6 이슈6에 관한 팀발표와 청중토론

15 대표 과제물에 대한 코멘트 -전 시간 토론에 대한 대응과 정리 -기말 페이퍼에 대한 대표 코멘트

평가를 반영한 기 말보고서 수정본 제출

■ 읽기자료

2-1주차 (주관주의, 상대주의):

제임스 레이첼즈, 뺷도덕철학의 기초뺸, 노혜련 외 옮김, 나눔의 집, 59-106쪽.

피터 싱어 편, 뺷메타윤리뺸, 김성한 외, 철학과 현실사, 112-132쪽(「상대주의」).

3-1주차 (윤리적 이기주의와 계약론):

레이첼즈, 뺷도덕철학의 기초뺸, 159-181쪽,

* 이기주의 전략의 무임승차자 문제, 홉스, 뺷리바이어던뺸, 진석용 역, 나남출판사, 198-199쪽.

3-2, 4-1주차 (공리주의):

레이첼즈, 뺷도덕철학의 기초뺸, 199-220쪽.

윌 킴리카, 뺷현대 정치철학의 이해뺸, 13-73쪽.

최훈, 뺷벤담 & 싱어뺸, 김영사.

4-2, 5-1주차 (칸트주의):

레이첼즈, 뺷도덕철학의 기초뺸, 221-244쪽.

* 거짓말 금지 의무 vs. 자비심에 관한 문제, Kant, “On a Supposed Right to Tell Lies from Benevolent Motives” (1797) (번역 필요)

7-1주차 (도덕적 추론 분석과 평가):

박노자, 「진정한 폭력자는 누구인가?」, 한겨레신문 칼럼, 2006년 11월29일자. -개념적 차원의 분석과 평가가 필요한 논증의 예.

4대강 사업의 환경파괴 영향력에 관한 논의(미정), -사실적 차원의 분석과 평가가 필요한 논 증의 예.

사형제도의 찬반 논의(미정), -도덕 원리적 차원의 분석과 평가가 필요한 논증 예.

9주차 (이슈1: 기회평등, 복지분배의 문제):

존 롤즈, 뺷정의론뺸 2판, 황경식 역, 이학사, 111-133쪽, 409-416쪽(48절).

로버트 노직, 뺷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뺸, 남경희 역, 문학과지성사, 9장-10장.

마이클 샌델, 뺷정의란 무엇인가뺸, 이창신 역, 김영사, 214-255쪽.

10주차 (이슈2: 기업윤리의 문제):

마누엘 G. 벨라스케즈, 뺷기업윤리뺸, 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원 역, 매일경제신문사, 60-75쪽.

T. 도날드슨, 뺷기업윤리뺸, 류장선 역, 서강대학교 출판부, 56-158쪽, 9장.

이종영, 뺷기업윤리: 윤리경영의 이론과 실제뺸 2007년판, 삼영사, 143-164쪽.(프리드만의 논문 요약)

로버트 C. 솔로몬, 「기업윤리」, 뺷응용윤리뺸, 피터싱어 편, 김성한 외 옮김, 철학과 현실사.

11주차 (이슈3: 외국에의 인도적 개입의 문제):

마이클 왈저, 「인도적 개입에 대한 논쟁」, 뺷정치철학 에세이뺸, 최흥주 역, 모티브북.

12주차 (이슈4: 시민불복종의 문제):

존 롤즈,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뺷사회윤리의 제문제뺸, 제임스 레이첼즈, 서광사.

피터 싱어, 「롤즈의 시민불복종론」, 뺷사회윤리의 제문제뺸, 제임스 레이첼즈, 서광사.

로널드 드워킨, 「법과 시민불복종」, 뺷사회윤리의 제문제뺸, 제임스 레이첼즈, 서광사.

13주차 (이슈5: “더러운 손의 문제):

C.A.J. 코디, 「정치와 더러운 손의 문제」, 뺷응용윤리뺸, 피터싱어 편, 김성한 외 옮김, 철학과

현실사.

마이클 왈저, 「정치 행위: 더러운 손의 문제」, 뺷정치철학 에세이뺸, 최흥주 역, 모티브북.

데니스 F. 톰슨, 뺷공직의 윤리뺸, 황경식, 정원규 역, 철학과 현실사, 1장. 민주주의와 더러운 손.

14주차 (이슈: 전문직 윤리):

데니스 F. 톰슨, 뺷공직의 윤리뺸, 황경식, 정원규 역, 철학과 현실사, 간섭주의적 힘.

김상득, 뺷생명의료윤리뺸, 철학과 현실사, 264-282쪽.

피터 싱어, 헬가 커스 편, 뺷생명윤리학Ⅱ뺸, 411-485쪽.

김진 외, 뺷공학윤리: 기술공학시대의 윤리적 문제들뺸, 철학과 현실사, 144-162, 174-185, 221-229쪽.

Charles E. Harris 외, 뺷공학윤리뺸, 김유신 외 옮김, 27-62쪽.

김연숙, 「직업 및 엔지니어 윤리」, 뺷공학윤리뺸, 권혁길 외, 인간사랑, 295-321쪽.

■ 강의방식

사례를 들어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면서 학습될 개념이나 입장, 관점 등을 이끌어낸다. 교 수가 최종적으로 주요 개념과 관점 등을 정리한다.

예) 2-1주차, 도덕에 대한 도전들: 주관주의와 문화 상대주의

교수는 학생들에게 다음의 경우에 관한 의견을 묻는다.

상황1) 같이 식사를 하는 미국인이 코를 푸는 것을 우리나라 사람이 보고 불쾌해 했다. 하 지만 같이 식사하던 또 다른 미국인은 불쾌해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 은?

상황2) 한국의 개고기 식용 문화에 대해 프랑스 한 여배우가 비난했다. 이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상황3) 아내가 있는 철수는 사업차 어떤 에스키모 부족을 만나 그곳에 머물러야 했다. 그 부족은 손님에게 자신의 아내를 동침하도록 내어주는 접대문화를 가지고 있다. 철수 는 어떻게 해야 할까?

상황4) 어떤 극단적인 이슬람 국가에서는 여자아이의 음핵을 제거하는 할례를 시행하고 있 다. 이 문화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상황5) 어떤 문화에서는 어린 아이를 신의 제물로 바치는 인신제사 전통이 유지되고 있다고 한다면, 이 문화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상황1에서 상황5까지는 상대주의적으로 생각해도 될 문제로부터 상대주의적으로 생각하기 어려운 문제로 점차 나아가는 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학생들은 단순한 에티켓이나 취향은 상 대주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어도, 도덕의 문제까지 끝까지 상대주의적으로 생각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이렇게 교수는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와 도덕을 구분하도록 유도한다. 하지만, 상 황5에 이를 때까지 끝까지 상대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학생들이 있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주관주의적 도덕관, 상대주의적 도덕관을 소개하고 그 한계를 학생들로 하여금 끌어내도록 한 다.

■ 과제 및 성적 평가

성적 비율:

출석(10%)

짧은 글쓰기1(15%)+짧은 글쓰기2(15%) 논평문(20%)

기말페이퍼or발표(40%)

1. 짧은 글쓰기 과제1

(1) 과제의 교육 목표: 자신에게 있어 중요한 도덕적 문제를 식별하게 하고, 그 문제에 접

근하는 자신의 방식에 대해 정리하고 반성적으로 돌아보게 한다.

(2) 논제: 최근에 자신이 겪은 도덕적 의견 불일치 상황이나 도덕적 갈등 상황은 무엇이었

나요? 그것에 대해 당시 어떻게 접근하고 판단했나요? 그리고 어떻게 해결했어야 한다 고 생각하나요?

(3) 분량: A4지 1쪽 분량

(4) 피드백: 대표 과제물을 선정하여 3-1주차 정도에 강의 시작 때 코멘트를 제시한다.

2. 짧은 글쓰기 과제2

(1) 과제의 교육 목표: 지금까지 강의에서 알게 된 도덕이론들을 상기하고 다시 검토하면서

도덕이 제시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반을 탐색하도록 유도한다.

(2) 논제: (지금까지의 강의에서 살펴본 도덕이론들이 제시한 내용들을 염두에 두고) 모든 이들이 가장 합당하게 수용할 수 있을 만한 기본적인 도덕 원칙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 을까요? 그리고 그 도덕원칙들 간의 충돌이 일어날 경우 어떻게 조정할 수 있을까요?

(3) 분량: A4지 1쪽 분량

(4) 피드백: 대표 과제물 3편 정도를 선정하여 5-2주차에 코멘트를 제시한다.

3. 발표

(1) 과제의 교육 목표: 팀발표 성원들은 지금까지 익힌 도덕적 이론, 원칙, 개념들과 도덕적

이해, 분석, 추론, 평가, 문제 해결 등을 동원하여 해당 이슈에 대한 중요한 도덕적 문 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풀어나가는 훈련을 한다. 팀발표를 듣는 학생들은 팀발표 내 용에 대한 이의제기를 통해 도덕적 문제에 대한 분석, 평가 능력을 함께 훈련한다.

(2) 준비과정

① 발표팀은 4인을 넘지 않게 한다.

② 발표팀은 발표 1주일 전에 교수(혹은 TA)로부터 초안검토를 받는다.

③ 발표팀은 초안검토 때 지적된 사항을 잘 반영하고 보완하여 다시 발표 이틀 전에 교 수(혹은 TA)에게 제출한다.

④ 발표팀은 교수(혹은 TA)의 최종 검토 이후 마지막 수정보완을 한 후 발표에 임한다.

(3) 발표문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① 문제제기와 예비적 논의사항들

②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관점들에 대한 분석, 평가

③ 팀의 입장 제시

④ 예상되는 반론 구성 및 대응 제시

⑤ 팀의 최종 입장 제시

(4) 발표진행

① 발표팀의 프리젠테이션 시간: 20~30분

② 발표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토론 시간: 40~50분

(5) 발표 후 작업: 발표팀은 토론 시간에 나온 반론들에 대해 다시 숙고하고 답변을 마련하

여, 다음 강의시간 시작 때 학생들 앞에 간단히 보고한다.

4. 논평문

(1) 과제의 교육목표: 팀발표를 하지 않는 학생들도 이 과제를 통하여 팀발표의 논의에 집

중하고 참여할 동기부여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팀발표에 제시된 도 덕적 논증들을 분석, 평가, 문제 해결하는 훈련을 한다.

(2) 내용: 팀발표 내용들 중 하나를 택하여 발표 내용을 요약하고 비판적으로 분석, 평가하

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

(3) 분량: A4지 2쪽 분량

(4) 피드백: 학생들이 자신의 논평문을 온라인 토론방(eTL)에 올려 발표팀의 팀원들이 동료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