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하고 있으며, 처리기술에 대한 연구 및 재활용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4년부터 10톤 미만의 소형선박을 대상으로 FRP 선박건조에는 지원금을 지원하지 않고 알루미늄선박을 건조하면 정부에서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또한 세일링요트와 같은 폐 FRP 선박을 운 반하는데도 상당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첫째, 항해가 불가능한 요트를 운반하려면 이를 분해 조립해서 트럭으로 운 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길이가 긴 경우의 요트는 도로교통법 시행규 칙 제26조(안전기준을 넘는 적재의 허가신청)에 따라서 허가를 받아야 하며, 운 송가능 한 차 또한 특수차량으로 비용부분에서 상당하다.
둘째, 폐 FRP 선박의 현장절단을 하여 운반하는 경우는 ① 폐기물관리법 제 13조(폐기물의 처리기준 등) 폐기물을 수집, 운반, 보관, 처리하려는 자는 대통 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방법을 따라야 한다. ② 폐기물관리법 제66조(벌칙)
‘폐기물을 수집·운반·보관 또는 처리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킨 자는 2년 이하 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용과 운송의 어려움 때문에 대부분의 마리나 선박 선주들이 폐 FRP 선박을 무단 방치하거나, 해양투기 등으로 FRP 선박들을 처리하고 있으 며, 마리나 선박들의 처리방법도 별반 다르지 않다.
률인 어선법, 수산업법,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어촌·어항법, 해양 환경관리법 등이 적용된다.
둘쪠, 수집·운반·파쇄·운반·소각·용웅·최종처리 등의 단계에는 주로 환경부 소 관 법률인 폐기물관리법이 적용된다.
셋째, 폐기물시설 입지허가는 건설교통부 소관 법률인 국토의 계획 및 이용 에 관한 법률, 건축법 등에 주로 근거한 지방자체단체 조례가 실무적으로 적용 된다.35)
<그림 1> 폐 FRP 레저선박 관련법제 개요도 출처: 홍장원·목진용·윤인주·이정아, 앞의 보고서, 32쪽.
이와 같이 폐 FRP 레저선박의 처리의 경우 육상폐기물은 폐기물 관리법에 따르고, 해양폐기물인 경우에는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르게 되어 있으며36), 공유 35) 이은재·정노택·김선동·전태병·최동현, 앞의 논문, 2,716-2,717쪽.
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6조는 방치된 선박이 공유수면의 효율적 이 용을 저해하거나 수질오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을 경우 방치선박으로 규정하 고 있다.37)
(2) 폐 FRP 선박 처리 관련 문제점
법률적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폐 FRP 선박이 해양환경관리 법의 폐기물의 정의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관련법령에서도 폐 FRP 선 박이 폐기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폐기물관리법상에는 폐기물의 종 류를 생활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지정폐기물 등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나, 폐 FRP 선박은 어느 쪽으로 분류할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환경부에서는 지정 폐기물은 아니고 사용주체에 따라서 생활폐기물 혹은 사업장폐기물로 간주되어 서 각각의 처리기준에 따라서 규제를 받게 된다고 해석하고 있다.38)
(3) 국내 FRP 선박의 처리업체 현황
전국적으로 선박 폐 처리업체는 2012년에는 약 37개의 업체가 있었으며, 일 반적으로 국내의 FRP 레저선박의 처분은 조선소에서 기관설비 및 각종 폐기 가능한 시설을 제거한 후 FRP 선체를 전문으로 수거하는 업자와 연락하여 최 종 처리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6) 이은재·정노택·김선동 외2명, 앞의 학술지, 2716쪽.
37) 홍장원·목진용·윤인주·이정아, 앞의 보고서, 31쪽.
38) 이은재·정노택·김선동 외2명, 앞의 학술지, 2716쪽.
구분 지역 업체명
1 인천 (주)거원선박해체
2 포항 구룡포 조선소, (주) 동성조선 , 거창철강
3 울산 동진조선소, 일광조선소
4 속초 칠성조선
5 부산 평길해양, 태성산업, 청도기업, 동성, 현대FRP, (주)우남마 린, 성부 FRP, 광동FRP 산업, (주)대원마린텍
6 태안 삼양조선소, 광신조선소
7 완도 노화조선, 부성조선
8 여수 초록환경산업(주), 현대FRP, 일성FRP
9 제주 한라조선소
10 서귀포 성산조선(주)
출처: (사)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2012)의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 재구성
* 참고로 제주도는 관광지라서 FRP 처리는 안되며, 해체작업 후 육지로 이송하여야 한다.
<표 12> 전국 선박 폐 처리업체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