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상지역의 폭풍해일에 따른 설계조위 검토를 위해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2005)을 준용하 였다. 폭풍해일 대책에 대한 설계조위 산정은 ① 기왕고극조위 또는 이것에 약간의 여유를 더한 조위, ② 기왕 이상조위의 발생확률곡선을 산정하고, 외삽법으로 구한 어떤 재현년도의 조위, ③ 해일 수치모형실험 등에 의해 해일고를 추산하는 경우는 약최고고조위와 해일고를 더한 조위, 그리고 ④ 이상고조위의 발생확률과 각 조위에 대한 배후지의 피해액 및 해일 대 책시설의 건설비를 감안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대상지역의 조석관측자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상의 방법을 직접 적용하기에는 무 리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인근에 위치한 군산외항의 폭풍해일실험 결과를 토대로 기술한

③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4.2.1 해일고 분석

가. 군산외항의 조석

폭풍해일 실험에 활용되는 군산외항과 군산내항의 조화상수와 비조화상수는 표 4.2.1과 표 4.2.2에 제시하였다.

구분 군산외항 군산내항

M2

진폭(cm) 220.1 226.6

위상( ° ) 82.2 87.1

S2

진폭(cm) 81.6 85.5

위상( ° ) 126.3 134.0

K1

진폭(cm) 34.4 34.4

위상( ° ) 272.0 275.8

O1

진폭(cm) 26.2 24.8

위상( ° ) 243.9 247.6

표 4.2.1 기준조석관측소 조화상수

구분 군산외항 군산내항

평균고조간격 (M.H.W.T) 2시간 50분 3시간 00분

평균저조간격 (M.L.W.T) 9시간 02분 9시간 12분

약최고고조 (APPROX.H.H.W) 724.60 742.60

대조의평균고조 (H.W.O.S.T) 664.00 683.40

평균고조 (H.W.O.M.T) 582.40 597.90

소조의평균고조 (H.W.O.N.T) 500.80 512.40

평균조위 (M.S.L) 362.30 371.30

소조의평균저조 (L.W.O.N.T) 223.80 230.20

평균저조 (L.W.O.M.T) 142.20 144.70

대조의평균저조 (L.W.O.S.T) 60.60 59.20

대조차 Spring Range 603.40 624.20

소조차 Neap Range 277.00 282.20

평균조차 Mean Range 440.20 453.20

형태수 Factor 0.20 0.19

나. 해일고 산정

해일고 분석방법은 매년 관측된 1시간 자료를 조화분해하여 얻어진 예보치와 실제 관측치 를 비교하여 태풍 영향기간의 편차를 해일고로 취하였다. 관측치는 조석, 기상조건, 해류, 파 랑, 밀도변화 등 모든 요인에 의해 결정된 것이고 예보치는 조석에 의한 해수면 변화를 나타 내므로 관측치에서 예보치를 뺀 잔차조위는 조석이외의 영향에 의한 해수면 변화를 의미한 다.

잔차조위는 대부분 기상조건에 의해 초래된 해면변화이므로(Pugh, 1987), 태풍 시 발생한 잔차조위는 폭풍해일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그림 4.2.1은 해일고 분포 양상을 나타낸 것으 로 매년 태풍에 의해 30 cm 이상의 해일이 발생하고 있음을 보이며, 특정한 해에는 여러 개 의 태풍에 의해 지속적으로 해일이 발생하고 있다.

0 30 60 90 120

1981 1984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Ye ar

Su rg e H eig ht (c m )

(a) 군산외항

0 30 60 90 120

1981 1984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Su rg e H eig ht (c m )

(b) 군산내항

그림 4.2.1 연별 최대 조위편차 분포도

다. 해일고 극치분석

연안에서 조위 및 파랑에 대한 빈도분포는 연안의 개발과 해안 및 항만구조물의 신뢰성 설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조위 및 파랑에 대한 빈도분포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과업에서는 비정기적으로 발생하는 해일고 극치분석을 위해 표 4.2.3과 같이 Gumbel-Chow 방법, Log-Normal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분 10년 빈도 20년 빈도 50년 빈도 100년 빈도

군산외항 G 78.1 93.5 113.5 133.5

L 71.6 86.8 108.0 124.9

※ G : Gumbel-Chow 방법, L : Log-Normal 방법

※ 약최고고조위 군산외항 724.60 cm

4.2.2 폭풍해일 실험

가. 모의 구축

광역 격자망인 계산영역 1은 태풍의 발생 및 진행경로의 재현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우리나라, 일본, 대만 등이 포함하여 대상영역(그림 4.2.2 참조)으로 하였으며, 계산영역 3은 우리나라 전해안을 포함하여 설정하였다.

계산영역의 수심자료 및 해안선자료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행하는 수치해도를 토대로 수치지형도 및 수심측량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나. 과거 태풍의 적용 및 검증

어, 이를 검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그 밖의 4개 태풍에 대해서는 관측 해일고가 1시간 자료 로부터 산정됨을 감안하여 계산치가 관측치를 초과해야 만족하는 것으로 비교검증하였다.

표 4.2.4는 검증 대상태풍으로 활용된 7개 태풍의 중심기압, 최대풍속 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4.2.3은 검증대상 태풍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표 4.2.5와 같이 군산외항와 군산내항에

서 모의가 잘 적용됨을 알 수 있다.

태풍번호 태풍명 발생기간 중심기압(hPa) 최대풍속(kt)

9216 POLLY 1992. 8.27 ~ 9.04 975 55

9414 ELLIE 1994. 8.06 ~ 8.19 965 70

9907 OLGA 1999. 7.29 ~ 8.05 970 65

0012 PRAPIROON 2000. 8.24 ~ 9.04 965 70

0215 RUSA 2002. 8.22 ~ 8.31 950 80

0314 MAEMI 2003. 9.04 ~ 9.16 910 105

0603 EWINIAR 2006. 6.29 ~ 7.12 930 100

표 4.2.4 검증 대상 태풍

태풍번호 태풍명 대상지역 해일고(cm)

관측치(1hr) 계산치

9216 POLLY 군산내항 57.9 67.2

9414 ELLIE 군산내항 46.0 46.8

9907 OLGA 군산외항 59.0 77.0

군산내항 84.1 92.3

0012 PRAPIROON 군산외항 73.0 80.0

군산내항 118.6 112.1

0215 RUSA 군산외항 40.0 49.1

0314 MAEMI 군산외항 37.0 40.9

0603 EWINIAR 군산외항 67.0 80.8

4.2.3 대상지역 폭풍해일 영향 검토

대상지역에 폭풍해일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군산외항에 폭풍해일 모의 검증 후 적 용한 폭풍해일 시나리오 개념(해양수산부, 2006; 2007)을 도입하였다. 즉, 군산외항에서 50년 빈도 및 100년 빈도의 해일을 유발하는 가상의 태풍을 인접한 대상지역에 적용하여 대상지 역에서 빈도별 해일고를 산정하고자 한다.

50년 빈도 해일고 유발 가상태풍 (114 cm)

시나리오 대상태풍 경로 변경(°) 중심기압 변경(hPa) 최대풍반경 변경(km)

0012 +0.5 -10 -50

9414 +2.0 -30 +50

100년 빈도 해일고 유발 가상태풍 (133 cm)

시나리오 대상태풍 경로 변경(°) 중심기압 변경(hPa) 최대풍반경 변경(km)

9907 -2.0 -10 +50

0012 +0.5 0 0

표 4.2.6 가상태풍 정보

4.2.3 50 113.5 cm, 100년 빈도의 해일고는 133.5 cm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해일을 유발하는 가상태풍은 표 4.2.6과 같다(해양수산부, 2006).

대상영역의 50년 빈도 및 100년 빈도 해일고는 1951년부터 2003년까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친 표 4.2.7의 128개의 태풍을 모두 적용하여 대상영역을 포함한 8 km × 8 km 면적에서 해일고를 산정하였다. 극치분석 결과에 의하면, 50년 빈도 해일고는 54~86 cm의 범위이며, 100년 빈도 해일고는 68~113 cm의 범위이다. 대상지역의 해일고 분포 중간값을 취할 경우, 군산외항 유발 해일에 비해 약 60~70%에 해당한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폭풍해일에 대한 영 향 고려를 위해서는 약최고고조위에 50년빈도의 최대값에 해당하는 86 cm를 추가한 값을 고 려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호 태풍번호 태풍명 최저중심기압(hPa) 영향기간

1 5111 MARGE 886 08.15 - 08.24

2 5114 PAT 980 09.25 - 09.30

3 5209 KAREN 955 08.14 - 08.19

4 5211 MARY 985 08.31- 09.04

5 5412 JUNE 910 09.08 - 09.15

6 5507 CLARA 920 07.10 - 07.17

7 5522 LOUISE 930 09.24 - 10.01

8 5609 BABS 960 08.11 - 08.18

9 5611 DINAH 970 08.30 - 09.06

10 5612 EMMA 930 09.01 - 09.10

11 5707 AGNES 905 08.16 - 08.22

12 5710 BESS 950 08.29 - 09.08

13 5905 BILLIE 970 07.14 - 07.19

14 5909 JOAN 885 08.28 - 09.02

15 5911 LOUISE 965 09.02 - 09.08

16 5914 SARAH 905 09.14 - 09.18

17 5915 VERA 895 09.23 - 09.27

18 6006 POLLY 950 07.19 - 07.29

19 6015 CARMEN 975 08.15 - 08.23

20 6118 NANCY 890 09.13 - 09.17

21 6205 JOAN 985 07.07 - 07.11

22 2609 NORA 968 07.30 - 08.04

23 6304 SHIRLEY 945 06.17 - 06.21

24 6405 BETTY 960 07.02 - 07.07

25 6409 FLOSSIE 980 07.24 - 07.30

26 6411 HELEN 930 07.28 - 08.04

27 6420 WILDA 895 09.20 - 09.26

28 6513 HARRIET 970 07.24 - 07.29

29 6515 JEAN 940 08.01 - 08.07

30 6523 SHIRLEY 940 09.05 - 09.11

31 6615 WINNIE 970 08.18 - 08.26

32 6807 POLLY 965 08.08 - 08.18

33 6909 CORA 935 08.18 - 08.25

34 7009 WILDA 940 08.09 - 08.16

35 7010 ANITA 910 08.17 - 08.22

번호 태풍번호 태풍명 최저중심기압(hPa) 영향기간

39 7128 BESS 905 09.19 - 09.26

40 7207 RITA 955 07.14 - 07.27

41 7209 TESS 950 07.16 - 07.25

42 7220 HELEN 955 09.14 - 09.21

43 7303 BILLIE 915 07.15 - 07.20

44 7305 DOT 975 07.16 - 07.21

45 7310 IRIS 970 08.09 - 08.19

46 7408 GILDA 945 07.02 - 07.10

47 7416 POLLY 950 08.28 - 09.05

48 7502 MAMIE 992 07.25 - 07.30

49 7505 PHYLLIS 920 08.14 - 08.20

50 7513 CORA 945 10.02 - 10.06

51 7617 FRAN 910 09.07 - 09.15

52 7811 CARMEN 960 08.13 - 08.20

53 7818 IRMA 970 09.10 - 09.15

54 7910 IRVING 955 08.13 - 08.18

55 7911 JUDY 910 08.19 - 08.26

56 8003 ELLEN 945 05.19 - 05.22

57 8007 IDA 980 07.09 - 07.15

58 8013 ORCHID 960 09.08 - 09.12

59 8019 WYNNE 900 10.09 - 10.14

60 8104 IKE 965 06.12 - 06.17

61 8105 JUNE 965 06.19 - 06.24

62 8110 OGDEN 975 07.28 - 08.01

63 8118 AGNES 950 08.28 - 09.04

64 8120 CLARA 960 09.20 - 09.27

65 8211 CECIL 920 08.05 - 08.15

66 8213 ELLIS 920 08.23 - 08.28

67 8310 FORREST 900 09.23 - 09.29

68 8407 ED 950 07.24 - 08.03

69 8409 GERALD 980 08.15 - 08.24

70 8410 HOLLY 960 08.15 - 08.23

71 8505 HAL 965 06.22 - 06.27

72 8507 JEFF 970 07.25 - 08.03

73 8508 KIT 960 07.31 - 08.12

74 8509 LEE 975 08.09 - 08.15

75 8510 MAMIE 975 08.14 - 08.20

76 8512 ODESSA 955 08.25 - 09.02

77 8513 PAT 955 08.24 - 09.01

78 8520 BRENDA 955 10.03 - 10.08

79 8605 NANCY 955 06.23 - 06.25

80 8613 VERA 925 08.17 - 08.30

81 8616 ABBY 945 09.17 - 09.22

85 8719 KELLY 955 10.13 - 10.17

86 8911 JUDY 940 07.24 - 07.29

87 8921 VERA 980 09.13 - 09.18

88 9007 ROBYN 992 07.08 - 07.14

89 9014 ZOLA 960 08.18 - 08.23

90 9015 ABE 955 08.27 - 09.03

91 9109 CAITLIN 940 07.25 - 07.30

92 9112 GLADYS 965 08.16 - 08.24

93 9117 KINNA 955 09.11 - 09.14

94 9119 MIREILLE 930 09.24 - 09.28

95 9209 IRVING 980 07.31 - 08.05

96 9210 JANIS 935 08.05 - 08.09

97 9216 POLLY 975 08.27 - 09.04

98 9219 TED 985 09.21 - 09.25

99 9306 PERCY 975 07.27 - 08.01

100 9307 ROBYN 940 08.07 - 08.12

101 9313 YANCY 925 08.30 - 09.03

102 9407 WALT 915 07.18 - 07.28

103 9411 BRENDAN 992 07.29 - 08.03

104 9413 DOUG 930 08.06 - 08.13

105 9414 ELLIE 965 08.07 - 08.17

106 9426 ORCHID 925 09.25 - 09.29

107 9429 SETH 915 10.08 - 10.13

108 9503 FAYE 950 07.19 - 07.25

109 9507 JANIS 990 08.20 - 08.28

110 9612 KIRK 955 08.03 - 08.15

111 9708 PETER 970 06.26 - 06.29

112 9711 TINA 955 08.05 - 08.10

113 9713 WINNIE 920 08.13 - 08.25

114 9809 YANNI 965 09.27 - 09.30

115 9905 NEIL 980 07.25 - 07.27

116 9907 OLGA 970 07.30 - 08.03

117 9908 PAUL 985 08.03 - 08.07

118 9917 ANN 985 09.16 - 09.19

119 0004 KAI-TAK 960 07.08 - 07.10

120 0006 BOLAVEN 980 07.25 - 07.31

121 0012 PRAPIROON 965 08.26 - 09.01

122 0014 SAOMAI 925 09.08 - 09.16

123 0102 CHEBI 965 06.19 - 06.25

124 0204 NOGURI 975 06.04 - 06.11

125 0205 RAMMASUN 945 06.28 - 07.07

126 0209 FENGSHEN 920 07.13 - 07.28

127 0215 RUSA 950 08.22 - 09.0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