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프로그램 설계 및 교수-학습 지도방향

가. 동화 선정 배경

본 논문에서는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친사회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에 에릭 칼의『배고픈 애벌레』, 백희나의『알사탕』, 마르쿠스 피스터의『무지개 물 고기』세 동화 속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친사회성 교육프로그램을 계획 하려 한다. 세 가지 동화의 선정 배경은 다음과 같다. 에릭 칼은 화려한 그림들과 혁신적 감각으로 된 그림책으로 전 세계 어린이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작 가이다. 에릭 칼은 콜라주 기법과 그만의 독특한 디자인 감각으로 아이들이 단순 히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만지고 갖고 놀 수 있는 책을 만들어 냈다.22)

백희나는 한국 아동 동화 문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반(半) 입체기법을 도입한 작 가로, 책보다는 TV나 미디어 등 그림 이외의 다른 시각 매체를 더 쉽게 접하며 자라게 되는 어린이들에게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냈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책으로 보는듯한 효과를 내면서 한국 창작 그림책의 새 장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23) 마 르쿠스 피스터는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 뿐 아니라 조각과 회화, 그리고 사진영 역에서도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했지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건 그림책이었 다. 마르쿠스 피스터는 동화의 근원에 아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강하게

22)장은주, “에릭 칼 콜라주를 활용한 미술지도 방안 연구”,(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p.25.

23)최혜림, “백희나 그림동화 연구”,(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p.7.

남기기로 유명한 작가이다. 또한 어린이의영원한 친구인 여리고 작은 동물들의 아 름다운 마음을 크게 바라볼 줄 아는 작가이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세 동화를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 동화로 선정하게 되었다.

나. 프로그램의 설계

앞 장에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그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하여 친사회성을 함양시키고 더 넓게는 인성교육으로까지의 목표를 두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동화가 가진 장점으로 내면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또래 간 정서적으로 의 사소통 할 수 있는 친사회성이 향상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고자 한다. 동화 일 러스트레이션은 낮은 연령의 초등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상상속의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는 늘 상상 속으로만 생각해오던 것을 눈으로 구현된 장면으로 느끼게 해주며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게 가능하도록 도 와준다.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동화일러스트레이션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초 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많이 접해보았을 동화들을 교육 매체로 활용해 보다 쉬운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초등학교 저학년 즉, 1학년에서 3학년까지의 시기는 유아시기보다는 이해력도 높고 표현력도 정교해지긴 하지만 아직 자신만의 표현방법과 생각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한 이유로 자신의 생각과 정서를 정형화되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고 느낄 수 있는 시기이기에 본 프로그램 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쉽게 표현할 수 있는 동화 속 일러스트레이션 기법들 중 콜라주, 스탬핑, 마블링 등 입체표현이 잘 나타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아이들은 동화 속에서 이야기를 보고 듣고 새로운 지식을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타인과 소통하는 방식, 도움을 주고받으며 관계형성 해나가는 방법을 배운다.

본 장에서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구성과 진행과정 위주로 집중 기술하고,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 지도할 내용과 방 향,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안을 제시한다.

다. 프로그램 구성 및 설계모형

동화는 아이들의 정서를 순화시키고 선과 악에 대한 판단기준을 세워주며 긍 정적인 삶의 거름이 되므로 교육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갈등상황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고 동화 속 주인공과의 동일시를 해보며 자연 스럽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까지 해 나가는데 매우 적절한 매체가 동화라고 생 각된다.

동화를 준비단계에서 교사가 읽어주는 시간을 가진 후 주인공과 동일시해봄으 로서 일차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거나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이 주는 느낌을 공유 해볼 수 있고, 그다음으로는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의 형태와 기법 색채 등을 학 급 친구들과 함께 활동해봄으로써 흥미가 유발된다. 그리고 최종단계에서는 이 전 단계에서 활동한 각자의 작업 물 들을 모두 모아 하나의 규모 있는 결과물을 도출해낼 수 있으며, 또한 동화 속 주인공이나 등장인물들의 표정을 직접 지어 보고, 그려본 뒤 친구와 가면놀이 형식으로 동화 속 주인공이 되어보며 서로의 비밀이야기를 나누는 동화 속 비밀친구가 되는 형식을 제시한다.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하여 친사회성 향상을 목적에 둔 그 목적에 도달하 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안에 사용된 기법으로 미술표현을 지도하는 수업이기 때문에 동화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모 형단계를 세부적으로 도출하도록 하였다. 그럼으로써 좀 더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친사회성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단계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동화일러스트레이션 활용 친사회성 교육 프로그램 모형단계

단계 학습과정 단계별활동

도입

동화보기

- 동기유발

- 동화 속 일러스트레이션을 보고 표현기법 탐색 - 이야기나누기

준비하기 - 기법에 대해 알기 - 활동할 재료 도구 준비

탐색하기

- 표현기법의 방법

- 주제와 표현기법의 관련성 - 주의사항 숙지

전개 표현하기

- 의미해석 - 주제표현

- 관련기법사용하기 - 과정 즐기기

- 각자 표현한 결과물을 하나로 합치기 - 공동 작업물로 표현하기

정리 소감 나누기

- 과정에 대해 이야기나누기

- 친구의 결과물보고 서로 칭찬하기 - 느낌나누기

- 활동 후 정리하기

<표 4>에서 살펴보면 도입단계에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에 주목하여 동화를 읽 고 동기유발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후 주제와의 관련성과 표현기법을 탐색한 다. 동화 속 저자가 말하고자하는 내포된 주제를 서로 공유하며 이야기한다. 전 개단계에선 작업 결과물을 내는 것에 목적을 두기보다는 과정을 즐길 수 있는 분위기를 유도하며 각자 즐거운 마음으로 표현한 작업결과물을 하나로 합치는 단계로서 하나의 공동작품으로 표현하도록 지도한다.

또한 마지막 소감 나누기의 단계에서 교사는 결과물자체보다 활동을 하며 과정

속에서 느낀 부분을 서로 나누게 하는데 중점을 두고 표현기법을 내면화 하도록 하며, 서로의 작품을 칭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색감이나 기법사용 등을 칭찬 하거나 또는 작업과정 중에 도구를 양보하거나 다른 친구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주었는지 등을 특히 더 강조하여 칭찬하며 교사는 마지막으로 최종 정리 하여 말해 주도록 한다. 미술은 일반 다른 교과목처럼 결과중심적인 평가를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완성된 결과물로만 평가하지 않고 아이들이 활동한 과정을 유심 히 살펴보고 학습 과정 중에 어떤 모습으로, 어떤 감정으로, 어떤 표정으로 활동 에 임했는지 세밀히 지켜보는 것이 가장중요하다. 그리하여 활동과정에서 나오는 질문을 처리할 수 있고 아이들의 성향과 사회성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