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추진현황
일반적으로 일국의 FTA 추진은 경제적 이익의 추구를 목적으로 하 지만, 다른 국가나 지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국제관계의 이해와 영 향력 등과 같은 외교‧안보적 이익추구도 반영된다. 특히, 지속적 경제 성장을 통해 체제를 안정시키고 강대국으로 부상하려는 국가 중국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중국이 FTA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경제적 측면과 정치‧외교적 측면이 동시에 작용 하고 있다.
중국이 FTA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추진하게 된 경제적 배경에는 지 속적 경제성장을 위한 경제발전 전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79년부터 추진된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중국은 대내적으로 시장화와 사유화를 통 한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를 확립하는 한편, 점진적 개방을 통한 외국인 직접투자와 수출을 확대함으로써 세계경제체제에 적극 편입해갔다.
WTO 가입을 전후해 중국은 세계화와 지역주의 추세를 중국적으로 인식, 수용하기 시작했다. 즉, 중국의 경제성장에 어느 것이 유리한가 를 기준으로 세계화와 지역주의를 상호대립적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 적 관계로 인식하였다.100 중국의 세계화에 대한 동참은 자국경제성장 에 유리하기 때문에 WTO 가입에 적극적이었지만, 세계화에 따른 양 극화 문제 같은 부정적 영향들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지역주의와 양자 주의에도 주목하였다.
100_秦亞靑, “多邊主義硏究: 理論與方法,” 世界經濟與政治, 2001年 第10期 (北京:
世界經濟雜誌社, 2001), pp. 9∼10.
78 한국의 FTA 전략과 한반도
이러한 중국의 인식은 2001년 WTO 각료회의에서 결렬된 DDA가 기 폭제가 되었다. WTO에 가입한 중국은 WTO체제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의 불공정한 거래와 불평등 문제가 해소될 수 없음을 인식하고101 EU(1993), NAFTA(1994), 남미공동시장(Mercade Comun del Surb: MERCOSUR,
1995) 등 세계적 지역주의 확산에 대응해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경제협력
체 형성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세계 다자무역체제에 적극 참여하면서 지역 및 양 자간 경제협력의 확대를 통한 경제발전전략을 수립하였고 대외무역 및 투자유치 증대를 통한 경제발전 및 지역 경제협력을 확대시키는 수 단으로 FTA를 중시하였다. 2005년에 발표한 중국의 11차 5개년 경제 규획에 의하면 국민경제와 대외무역의 발전을 위해 전방위적이고 다 층적인 FTA 체제를 구축하여 세계 각 지역 및 국가와 경제무역관계 를 확대할 것임을 명기하고 있다.102 또한 같은 해 7월 상무부가 마련
한 ‘지역경제협력 참여 전략’에서는 주변국과의 협력, 시장개척, 에너
지·자원 확보의 원칙에 따라 FTA를 추진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103 이처럼 중국의 적극적인 FTA 인식은 경제발전전략의 변화와 더불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WTO 가입에 따른 무역확대와 외환보유액의 증 가를 배경으로 중국은 ‘해외로부터의 기술과 자본을 유치하는(引進來)’
기존 발전전략에 더하여 ‘해외로 진출하는(走出去)’전략을 도입하기 시 작했다. 이를 통해 기업의 해외진출, 해외투자, 다국적 경영을 장려함으 로써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 증진, 선진
101_楊洁勉, 國際體系轉型和多邊組織發展 (北京: 時事出版社, 2007), pp. 109∼114.
102_“中共中央關於制定國民經濟和社會發展第十一個五年規劃的建議,” 十六大以來
重要文獻選編(中) (北京: 中央文獻出版社, 2006), p. 1076.
103_“具备区域经济合作基础: 商务部初定中国策略,” <http://www.gx.xinhuanet.com>
(검색일: 2005.7.11).
Ⅰ
Ⅱ
Ⅲ
Ⅳ
Ⅴ
Ⅵ
Ⅶ
기술 도입, 에너지자원 공급선 확보 등을 도모해왔다.104이러한 전략의 변화는 중국이 FTA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처럼 중국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FTA를 전략적으로 활용 함과 동시에 개혁개방의 부작용인 지역, 빈부격차, 실업, 부패, 소수민 족문제 등 사회불안 요인을 제어하고자 노력해왔다. 이러한 요소들의 제어는 지배체제의 안정과 2020년 전면적 샤오캉(小康)사회를 실현하 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의 FTA 추진은 경제적 이익 추구와 더불어 지속적 부상을 위한 안정적 주변 환경의 창출과 국제적 지위 및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대외전략과 궤를 같이한다.
탈냉전 이후 중국은 ‘평화와 발전’을 표방하면서 세계 각국과 우호협 력관계를 발전시키는 전방위 외교와 다극화 전략을 구사해왔다. 다극 화 전략은 경제발전을 위해 미국과 협력관계를 지속하면서도 미국의 일방주의를 견제해야 하는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다극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여타의 강대국과 동반자 관계를 도모하는 다자외교로 구현되 었다. 중국은 이를 통해 책임대국의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주변국의 경계를 완화하고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영향력 을 확보하고자 했다.105 따라서 중국은 글로벌 차원에서 다자외교를 추진함과 동시에 지역강대국으로서의 역할에 걸맞은 주변지역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서 다자주의를 주도하기 시작했다.106 이러한 변화는 중국이 주변국(지역)에서 FTA를 적극 추진하는 배경이 되었다. 왜냐 하면 주변국과의 FTA 체결은 경제협력은 물론 중국의 현대화를 위한
104_백권호·서석흥, “중국기업 해외직접투자(走出去)의 현황과 평가,” 중국학연구, 제35집 (중국학연구회, 2006), pp. 283∼307.
105_전병곤·구기보, 중국의 한중 FTA 추진의도와 남북관계에 주는 함의 (서울: 통일 연구원, 2008), p. 27.
106_위의 책, p. 27.
80 한국의 FTA 전략과 한반도
주변정세의 안정과 주변국들이 전통적으로 갖고 있는 중국에 대한 안 보적 불안 심리를 완화시키는데 유용하며, 특히 역내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통로와 수단으로 기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107
이러한 배경에서 중국은 2001년 WTO 가입 이후 FTA를 전략적으 로 추진해왔다. 일반적으로 FTA 추진은 공동연구, 협상, 발효의 3단 계로 진행되며, 이를 기준으로 2013년 10월 현재 중국의 FTA 추진 현황을 도표로 정리한 것이 <표 Ⅳ-1>이다. 중국은 구체적으로 12개 의 국가 및 지역과 FTA를 체결했으며, 7개의 국가 및 지역과 FTA 협상 중에 있고, 3개의 국가 및 지역과는 공동연구 단계에 있다. 중국 이 2000년대 이후에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FTA를 추진했다는 점과 공 동연구와 협상을 거쳐 발효에 이르는 과정에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 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FTA 추진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고 평가된다.
107_전병곤·구기보, 중국의 한중 FTA 추진의도와 남북관계에 주는 함의, pp. 26∼28.
Ⅰ
Ⅱ
Ⅲ
Ⅳ
Ⅴ
Ⅵ
Ⅶ
표 Ⅳ-1 중국의 FTA 추진현황(2013년 10월 현재)
진행단계 상대국(지역) 추진현황
기체결 12건
홍콩 03년 6월 CEPA체결
8차례의 CEPA 보완협정 체결 마카오 03년 10월 ECPA 체결
10차례의 CEPA 보완협정 ASEAN
상품: 04년 11월 서명, 05년 7월 발효 서비스: 07년 1월 서명, 07년 7월 발효 투자: 09년 8월 서명, 10년 1월 발효 칠레 상품: 05년 11월 서명, 06년 10월 발효
서비스: 08년 4월 서명, 10년 8월 발효 파키스탄 상품,투자: 06년 11월 서명, 07년 7월 발효
서비스: 09년 2월 서명, 10년 8월 발효 뉴질랜드 08년 4월 서명, 09년 1월 발효 싱가포르 08년 10월 서명, 09년 1월 발효
페루 09년 4월 서명, 10년 3월 발효 코스타리카 10년 4월 서명, 11년 8월 발효
대만
10년 6월 ECFA 기본협정 서명, 10년 9월 발효 12년 8월 세관협력협정 및 투자보장협정 체결 상품서비스 협상 진행중
아이슬란드 07년 4월 협상 개시, 13년 4월 서명, 발효 미정 스위스 11년 1월 협상 개시, 13년 7월 서명
협상중 8건
GCC 05년 4월 협상 개시, 09년 6월 제5차 협상 호주 05년 5월 협상 개시, 13년 6월 제19차 협상 노르웨이 08년 9월 협상 개시, 10년 9월 제8차 협상
SACU* 04년 6월 협상 개시 선언
한국 12년 5월 2일 협상 개시 선언, 13년 4월 제5차 협상 한중일 12년 11월 20일 협상 개시 선언, 13년 3월 제1차 협상 RCEP** 12년 11월 20일 협상 개시 선언, 13년 5월 제1차 협상 공동연구
3건
인도 RTA 공동연구 완료(03.6-07.10, 6차례회의) SCO 공동연구 검토
남아프리카공화국 공동연구 검토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http://www.fta.go.kr> (검색일: 2013.10.9).
* 남아프리카 관세동맹(Southern African Customs Union).
** 상하이 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82 한국의 FTA 전략과 한반도
나. 추진전략
상술한 바처럼 다양한 지역 및 국가와 FTA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 의 FTA 추진 전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13년 10월 현재 중 국이 이미 체결했거나 협상중인 19건을 대상으로 중국의 FTA 추진 목적을 분석하고 그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1) 추진 목적
중국의 FTA 추진과정을 보면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추진 대상국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협상형식도 양자협정과 다자협정, 그리 고 합의내용도 낮은 수준에서 포괄적 수준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 다.108 예를 들면, 추진 대상국이 아시아에서 중남미(페루, 코스타리카), 아프리카(남아공), 유럽(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 며, 추진형식도 양자협정과 권역별 다자협정(ASEAN, SCO, GCC 등) 으로 구분되고, 낮은 수준(ASEAN, 칠레)에서 포괄적 수준(뉴질랜드, 파키스탄)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개별적인 중국의 FTA 추진 목 적도 다양할 수밖에 없지만 대체로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109 첫째, 해외시장 개척 및 중국기업의 해외진출이다. 중국은 급증하는 무역마찰을 해소하기 위해 FTA를 체결하는 한편, FTA를 통해 새로 운 시장을 개척해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중국기업의 해외진출을 촉 진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칠레, 호주, 노르웨이, 스 위스 등에서 두드러진다.
108_전병곤·구기보, 중국의 한중 FTA 추진의도와 남북관계에 주는 함의, p. 47.
109_전병곤, “중국의 FTA 추진과 대외전략적 함의,” 중국 신외교전략과 당면한 이슈들
(서울: 오름, 2013), pp. 197∼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