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외 광물자원 확보 동향

남한 정부는 광물자원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광물의 부가가치 향상 과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한편, 현대화개발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해외의존도가 큰 에너지와 원료광물일수록 가격등락과 수급불 안이 크다. 따라서 정부는 광물의 저가 안정공급을 위해 국제시장환 경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해외광물자원을 직접 개발하여 수입하는 비중을 높이고 있다. 현재 우라늄, 동, 아연, 철은 전부 단순수입에 의 존하고 있는 반면, 유연탄만 약 9%의 개발수입률을 보이고 있다.

남한의 해외자원개발은 1977년부터 시작되었다. 1978년 1월 동력 자원부의 발족과 함께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 져, 1978년 12월 해외자원개발촉진법이 제정됨으로써 본격적인 해외 자원개발사업이 시작되었다. 1977년 한국전력공사가 파라과이 산안 토니오 우라늄 탐사프로젝트에 진출을 시작한 이래 2004년 말까지 해외자원개발 진출사업은 총 296개 사업으로 이 중 137개 사업이 종

료되었다.17 현재 호주, 인도네시아, 캐나다, 중국 등지에서 석유, 가 스, 유연탄 및 금속광물 등 159개 사업에 대한 개발 또는 탐사가 진 행 중이다.18 해외개발대상이 되는 광물은 단연 에너지자원인 석유와 가스로 2004년 말 현재 전체 개발을 위한 투자의 61.0%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4년 12월 말 현재 총 투자실적은 71.4억 달러(2003년

63.1억 달러)이며, 이 중 90.9%인 64.9억 달러를 회수하였다.19

석유․가스개발 분야 2004년 말 현재 총 투자액은 52억 달러로 22 개국 56개 사업이 진행 중이다(생산 26, 개발 6, 탐사 24). 2004년 말 현재 확보 가채매장량은 석유 수입량 기준 10개월분인 702백만 배럴 이며, 2004년 우리나라의 해외개발 원유 생산지분은 31백만 배럴로 자주개발 수입율이 석유 3.8%, 가스 4.0%에 불과하다(일본 11%, 프 랑스 52% 등). 2004년 말 현재 총 투자액의 93%인 48억 달러가 회 수되었다.20

유연탄의 경우 2004년 말 현재 가채매장량은 9.1억 톤이며, 2004년 말 자주개발수입은 17.5백만 톤으로 자주개발수입률이 24.2%에 달 하고 있어 일정수준의 자주공급능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남한 정부는 산업원료자원의 안정적인 수입물량 확보와 광물 수입 강화 정책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해 민간기업이 해외 광물자원개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 록 정보공유와 함께 세제 면에서의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광산조사

17산업자원부, 󰡔산업자원백서 2004󰡕, p. 930.

18앞의 책, p. 930.

19앞의 책, p. 931.

20이 중 마리브유전은 788백만 달러를 투자하여 투자액의 228%인 1,796만 달러를 회수함으로써 대표적인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다. 유연탄․광물자원 개발 분야 2004년 말 현재 총투자는 19.2억 달러로 자금회수는 총 투자액의 84%인 16.2억 달러다. 앞의 책, p. 931.

비, 탐사타당성조사비, 지분인수비 등을 보조지원하고 있으며, 해외 광물기금, 석유사업기금 해외투자자금 등으로 사업자금을 융자․지 원하여 왔으나, 1995년부터는 “에너지및자원사업특별회계”에서 융자 지원하고 있다. 2004년에는 해외개발광물의 융자대상광종을 16개 광

종에서 18개 광종을 추가, 34개 광종으로 확대함으로써 해외자원개

발사업을 활성화하는 기반을 만들었다.

해외자원개발사업법 제10조 규정에 의거하여 산업자원부는 대한 광업진흥공사를 통해 해외석탄광 및 일반광 자원 개발을 위한 조사 에 소요되는 비용을 보조지원하고 한국석유공사를 통해 해외석유개 발조사에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를 보조․지원하고 있다.

<표 Ⅲ-11> 주요광종 자주개발현황(2004년)

구분 석유

(백만배럴)

가스 (LNG천톤)

유연탄 (백만톤)

(백만톤)

우라늄 (톤U)

(천톤)

아연 (천톤) 확보가채

매장량 702 91,149 907 35 - 3 -

총수입량 826 22,153 72.1 44.2 2,747 976 761 자주개발

공급량 31 885 17.5 2.5 - 67 279

자주개발율

(%) 3.8 4.0 24.2 5.6 - 6.9 36.7

자료: 산업자원부, 홈페이지(http://www.mocie.go.kr/index.jsp).

남한 정부는 유연탄, 우라늄, 철광, 구리, 아연을 5대 전략광종으로

정하고 2013년까지 유연탄의 35%, 우라늄 10%, 동광 20%, 철광

20%, 아연광 40%를 자주개발 목표로 정해놓고 그 기반 확충을 계획

하고 있다.

에너지․광물자원분야 정부간 협력의 틀이 되는 자원협력협정은

몽골(1999.11.8), 러시아(2000.10.10), 인도네시아(2002.3)와 체결되 어 있으며 2004년 8월에는 호주와 협력협정에 서명했다. 2004년에는 인니, 호주, 몽골, 카자흐스탄 및 칠레와 자원협력위원회를 개최하여 에너지․광물분야의 협력을 공고히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