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향후 『국립공원 핵심유전자원 보전 연구』는 『국립공원 유전자원 보전 중장기 계획 (2020∼2024년)』에 근거하여 수행할 예정임[그림 Ⅰ-4-1]

1) 목표 및 추진과제

전략목표 국립공원 핵심유전자원 보전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성과목표 (2024)

○ 국립공원 유전자원 200종 600점 이상 확보(공원종 22,055종의 2.5%)

○ 국립공원 핵심유전자원(15종)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유전자 지도 구축

○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습지 19개의 유전자원 확보 및 평가

○ 국립공원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도심권 멧돼지 개체수 추정

세부 추진과제

①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유전자원 탐색·수집

· 유전자원 정보 구축을 통한 생물주권 강화

② 유전자원 정보 활용을 통한 서식지 보전

· 국립공원 핵심유전자원(증식·복원 자생식물 등) 서식지 보전

· 특별보호구 자연습지의 유전자원 보전·관리

③ 국립공원 현안문제 연구

· 국립공원 유해야생동물(멧돼지) 개체군 조사 [그림 Ⅰ-4-1] 국립공원 중장기 목표 및 추진과제

2) 세부추진과제

(1)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유전자원 탐색‧수집 유전자원 정보 구축을 통한 생물주권 강화

- (필 요 성 ) 국가 간 생물주권 경쟁이 첨예화 되고 있어 국립공원 차원의 핵심유전자원 확보 및 체계적 보전·관리 필요함

- (주요내용) 국립공원 유전자원 및 핵심유전자원 수집, DNA 염기서열 정보 구축함 수집방법: 타기관, 타사업(로드킬 사체, 자연자원조사 등)과의 연계 및

국내·외 문헌자료 활용 등 연도별 세부계획은 [표 Ⅰ-4-1]와 같음

- (활용방안) 국립공원 신종·미기록종 등의 유전자 분류를 통한 과학적 근거확보 국립공원 유전자원 분양을 통해 중요자원 및 서식지 훼손 방지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비고

염기서열(핵심) 40종 120점

80종 240점

120종 360점

160종 420점

200종 600점

40종 120점/년 염기서열(전체) 110종

330점

220종 660점

330종 990점

440종 1,320점

550종 1,650점

110종 330점/년 [표 Ⅰ-4-1] 향후 5년간 유전자원 염기서열(Sequencing) 확보계획(안)

※ 세부과제 핵심유전자원 정보구축에서 연도별 목표량은 누적종수임

※ 해당년도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중요종의 집단유전자 분석 시 상황에 따라 종수(목표량) 변동 가능함

(2) 유전자원 정보 활용을 통한 서식지 보전 국립공원 핵심유전자원 서식지 보전

- (필 요 성) 핵심유전자원의 집단별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분류 등의 연구를 통한

- (활용방안) 집단별 원종정보 확보를 통해 자생지 복원종 선정

국립공원 우선 보호(관리)지역 선정 및 보전

관리방안 제시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식물 백부자,

지네발란

세바람꽃, 장백제비꽃

섬진달래, 실비녀골풀

왜솜다리, 만리화

「국립공원 자생식물 보전 종합계획(2단계)」에 따라

추가 선정

동물 열목어 금강모치 반딧불이류 토끼박쥐 작은관코박쥐

[표 Ⅰ-4-2] 연도별 핵심유전자원 대상종 선정(안)

※ 유전자원 확보 현황 등에 따라 대상종 변동 가능함

국립공원 주요서식지 유전자원 보전

- (필 요 성 ) 주요서식지(습지생태계 등)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통해 보호지구 선정 및 생태계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자료 마련 필요함 - (주요내용) 가능성, 효율성,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전문가 회의를 통해 단계별 연구

대상지역 선정: 1단계 습지 / 2단계 아고산 / 3단계 해안 대상 서식지의 유전자원 확보 및 종다양성 파악함

평가대상종 선정(3∼5종) 및 유전적 다양성, 서식지 현황 등 분석함 연도별 세부계획은 [표 Ⅰ-4-3]과 같음

- (활용방안) 국립공원 주요서식지 DB구축 및 생물다양성 조사기반 마련 국립공원 보호지역(설정) 설정 타당성 및 등급화 근거 마련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국립공원 내장산,

한려해상 오대산, 경주 다도해해상,

가야산 지리산, 월출산

습지별 유전자 연구를 통한 보전·관리계획 수립 습지명 입암산성,

은선동, 천하

질뫼, 소황병산, 조개동, 토함산,

남산, 도감

관음골, 부황리, 장도

왕등재, 외곡, 덕평봉, 세석, 영신봉, 정령치,

만복대 [표 Ⅰ-4-3] 연도별 습지 유전자원 대상지 선정(안)

※ 습지별 60종 600점 이상의 야생생물 유전자원 확보

(3) 국립공원 현안문제 연구

국립공원 유해야생동물(멧돼지) 개체군 조사

- (필 요 성 ) 국립공원 및 주변을 중심으로 멧돼지, 대만꽃사슴, 고라니 등 주요 야생동물과 인간 간의 충돌, 위협, 교란에 대한 문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서식밀도, 개체군 동태 현황자료 확보도 미비한 실정임 - (주요내용) 야생동물 전문가 및 사무소 업무담당자 의견 반영하여 단계별 주요종

선정: 1단계 멧돼지 / 2단계 대만꽃사슴 / 3단계 고라니

※ 공단 야생동물 관리 중·장기 계획 설정 및 현안사항에 따라 대상종 변동 및 추가진행 가능함

유전자분석을 통해 대상종 성비 및 개체군 변동 추정함 연도별 세부계획은 [표 Ⅰ-4-2]와 같음

- (활용방안) 국립공원 멧돼지 적정밀도 산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 제시 국립공원 멧돼지 개체군 변동 추정 등 적응대책 마련

체계정비 및 시범사업 (2020년)

현장조사 및 유전자원 확보 (2020∼2023년)

종합분석 및 개체군 추정 (2023년) 조사대상지 설정, 샘플확보 방법

설정, 유전자 실험을 위한 마커 선정 및 예비실험

북한산, 경주 등 주요 도심권 국립공원 중심 현장조사 및 유전자원(털, 배설물 등) 확보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서식 실태 조사 연구(2018~2022년)』

개체군 밀도 연계분석 및 보완 [그림 Ⅰ-4-2] 국립공원 유해야생동물(멧돼지) 개체군 조사 추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