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한에서 시장의 경제적 기능과 제도화 가능성

북한에서 기업들이 시장이 포함된 비공식적인 경제부문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갑작스럽게 북한에서 시장이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떠올랐다.

20년 넘게 지속되어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북한경제의 침체 현상은 계획경제가 유지되는 가운데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공급과 노후화 된 설비 개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여 기에는 연료와 기계·설비 등을 우호적인 가격으로 제공해주던 구 사회 주의권 국가들이 체제전환을 계기로 정상거래를 요구하고 나섰다는 사실이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공장·기업소에서의 생 산은 급감하였으며 노동자들은 사실상 실업자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공식·비공식적으로 활성화되어 온 시장은 북한에 서 국영기업부문에서 발생한 잠재적 실업을 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했 다고 할 수 있다. 일자리와 생필품을 조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 로써 직접적으로는 일반주민들의 생계문제를 해결해 주었으며, 보다 거시적으로는 국가의 국내총생산량을 결정하는 투입 노동력의 규모를 증가시켜 줌으로써 국민총생산액을 증대시키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했 다고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최근 북한에서 주민들의 경제생 활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고 평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경제에 대한 외부의 계량화된 평가작업에서 는 여전히 정체상태에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시장을 비롯한 비 공식부문에서의 경제활동이 외부의 추정작업에는 충분하게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을 다른 측면에서 접근하 면 두 가지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북한당국이 비공식부문에서

의 경제활동을 공식화하면 이러한 조치만으로도 경제가 성장하는 효 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북한당국은 앞으로도 시장 을 완전하게 폐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시장활동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에서 기업들이 시장을 중심으로 비공식영역을 활용 하는 현상은 북한당국의 고민 속에서 점차적으로 공식화 및 제도화 과 정을 밟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북한에서 향 후 기업부문의 개혁 가능성과 추진 방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주체정치경제학-대학용󰡕. 평양: 김일성종합대 학출판사, 2004.

이 석. 󰡔북한의 시장: 규모 추정과 구조 분석󰡕.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9.

Aryeetey, Ern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Sectors of the Financial Market in Ghana. Vol.

10. Oxford: Centre for the Study of African Economies, 1992.

Germidis, Dimitrios A., Denis Kessler, and Rachel Meghir.

Financial Systems and Development: What Role for the Formal and Informal Financial Sectors. Paris: OECD Publishing, 1991.

Guha-Khasnobis, Basudeb, Ravi Kanbur, and Elinor Ostrom (eds.).

Linking the Formal and Informal Economy: Concepts and Polic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ILO. Informal Sector in Africa. Addis Ababa: JASPA, 1985.

2. 논문

강응철. “주체적인 계획경제관리원칙을 철저히 관철하는 것은 우리 제도 제일주의를 구현해 나가기 위한 확고한 담보.” 󰡔경제연구󰡕. 제4호, 2002.

김경일. “국가의 중앙집권적, 통일적 지도는 사회주의경제관리의 생명선.”

󰡔경제연구󰡕. 제4호, 2005.

김옥경. “일군들이 강한 생활력을 가지는 것은 지방경제의 종합적 발전을 위한 중요담보.” 󰡔경제연구󰡕. 제2호, 2010.

김주성. “인민경제계획규율을 강화하는 것은 사회주의계획경제의 우월 성을 높이 발양시키기 위한 중요방도.” 󰡔경제연구󰡕. 제3호, 2009.

김학성. “현 시기 계획의 현실성을 보장하기 위한 몇 가지 방도.” 󰡔경제 연구󰡕. 제3호, 2011.

리진수. “국가의 계획적경제관리원칙을 철저히 구현하는 것은 사회주의 경제강국건설의 근본담보.” 󰡔경제연구󰡕. 제3호, 2010.

박형중. “북한 시장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46권

5호 (한국정치학회), 2012.

박홍엽. “국영기업소 경영상상대적독자성의 사회경제적기초.” 󰡔경제 연구󰡕. 제3호, 2001.

송 미. “공업기업소 자재확보사업에서 예측방법의 적용.” 󰡔경제연구󰡕. 제3호, 2010.

양문수. “북한의 시장화: 추세와 구조 변화.” 󰡔북한경제리뷰󰡕. 제15권

6호 (한국개발연구원), 2013.

정영륭. “국가의 통일적지도와 아래단위의 창발성을 옳게 결합시키는 것은 사회주의경제관리의 기본원칙.” 󰡔경제연구󰡕. 제2호, 2003.

Altman, Miriam. “Low Wage Work in South Africa.” IAZ/World Bank Conference on Employment & Development. Berlin, Germany. May 25~27, 2006.

Arimah, Ben C. “Nature and Determinants of the Linkages between Informal and Formal Sector Enterprises in Nigeria.”

African Development Review. Vol. 13, No. 1, 2001.

Arvin-Rad, Hassan, Arnab K. Basu, and Maria Willumsen.

“Economic Reform, Informal-Formal Sector Linkages and Intervention in the Informal Sector in Developing Countries:

A Paradox.” International Review of Economics & Finance.

Vol. 19, No. 4, 2010.

Bairagya, Indrajit. “Liberalization, Informal Sector and Formal- Informal Sectors’ Relationship: A Study of India.” The 31st Gener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Income and Wealth. St. Gallen, Switzerland.

August 22~28, 2010.

Böhme, Marcus and Rainer Thiele. “Informal-Formal Linkages and Informal Enterprise Performance in Urban West Africa.”

Kiel Working Papers. No. 1751, January 2012.

Chakrbarti, Sauya and Anirban Kundu. “Formal-Informal Sectors’

Conflict: A Structuralist Framework for India.”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34, No. 2, December 2009.

Chen, Martha A. “Rethinking the Informal Economy: Linkages with the Formal Economy and the Formal Regulatory Environment.” Department of Economic & Social Affairs Working Paper. No. 46, July 2007.

Davis, Rob, and James Thurlow. “Formal-Informal Economy Linkages and Unemployment in South Africa.” South African Journal of Economics. Vol. 78, No. 4, 2010.

Gërxhani, Klarita. “The Informal Sector in Developed and Less Developed Countries: A Literature Survey.” Public choice.

Vol. 120, No. 3~4, 2004.

Granström, Sigrid Colnerud. “The Informal Sector and Formal

Competitiveness in Senegal.” Minor Field Study Series (Department of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Lund). No.

194, 2009.

Kay, David Dua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Employment in South Africa.”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2011.

Marjit, Sugata. “Economic Reform and Informal Wage-General Equilibrium Analysis.”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72, No. 1, 2003.

Meagher, Kate. “Crisis, Informalization and the Urban Informal Sector in Sub-Saharan Africa.” Development and Change.

Vol. 26, 1995.

Pieters, Janneke, Ana I. Moreno-Monroy, and Abdul A. Erumban.

“Formal-Informal Linkages and Informal Sector Dynamics:

Evidence from India.” The 31st Gener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Income and Wealth. St. Gallen, Switzerland. August 22~28, 2010.

Ranis, Gustav and Frances Stewart. “V-goods and the Role of the Urban Informal Sector in 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Vol. 47, No. 2, 1999.

Sethykun, Ngoun. “Linkage between Formal and Informal Financial Sectors in Cambodia.” Cambod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 4, August 2011.

Sindzingre, Alice. “The Relevance of the Concepts of Formality and Informality: A Theoretical Appraisal.” Basudeb Guha-Khasnobis, Ravi Kanbur, and Elinor Ostrom (eds.).

Linking the Formal and Informal Economy: Concepts and

Polic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Tokman, Victor E. “An Exploration into the Nature of Informal- Formal Sector Relationships.” World Development. Vol.

6, No. 9~10, 1978.

Valodia, Imraan, Likani Lebani and Caroline Skinner. “Low Waged and Informal Employment in South Africa.”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Southern Africa. Vol. 60, No. 1, 2006.

3. 기타자료

󰡔조선신보󰡕.

Altman, Miriam. “Formal-Informal Economy Linkages.” Human Sciences Research Council. April 2008. <www.hsrc.ac.za>.

Moreno-Monroy, Ana I. and Abdul A. Erumban. “Chapter 5.

Formal-Informal Production Links and Growth of Informal Manufacturing in India.” <www.dissertations.ub.rug.nl>.

Valodia, Imraan. “Formal-Informal Economy Linkages: Some Conceptual and Empirical Issues.” Human Sciences Research Council. April 2008.

부록

<부록 1> 북한 비공식부문 활용 실태에 대한 설문 결과

Ⅰ. 북한 경제현황과 체제에 대한 인식

문 1) 탈북 당시 북한의 경제상태가 어떠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괜찮았다 1 1.0

약간 어려웠다 6 6.0

지역적으로 경제난이 있었다 26 26.0

대부분의 지역에 경제난이 심각하였다 67 67.0

합계 100 100.0

문 2) 만일 경제난이 있었다면, 무엇이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식량부족 89 89.0

식량을 제외한 생필품 부족 2 2.0

에너지 부족 4 4.0

(공장 기업소 등의)원자재 부족 5 5.0

합계 100 100.0

문 3) 경제난으로 인해 북한에서 가장 고통을 받은 사람들은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일반 사무직(간부) 2 2.0

일반 생산직(간부) 26 26.0

농어민(농민) 61 61.0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9 9.0

기타 2 2.0

합계 100 100.0

* 기타 응답: <평백성 모두>, <직장직, 노동직>.

문 4) 북한에서 경제난으로 이익을 보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74 74.0

아니오 12 12.0

잘 모르겠다 14 14.0

합계 100 100.0

문 4-1) (위에서 ‘예’라고 답한신 분들에 한해 응답해 주십시오) 만일 경제난으로 이익 보는 사람들이 있었다면, 그들은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권력이 강화된 북한 지도층 58 78.4

장사, 대출 등으로 돈을 번 상인들 7 9.5

중국 기업이나 상인 8 10.8

기타 1 1.4

합계 74 100.0

기타 응답: <2,3 중복응답>

문 5) 북한에서 경제난이 일어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하나만 고르세요)

빈도 퍼센트

주체사상 때문 10 10.0

사회주의 체제 때문 31 31.0

북한당국의 부정부패나 잘못된 경제정책 때문 53 53.0

미국의 경제 제재때문 2 2.0

자연재해 때문 1 1.0

구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교역 관계 단절때문 3 3.0

합계 100 100.0

문 6) 경제난 극복을 위한 북한 당국의 노력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경제난 극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성과는 없었다 29 29.0 경제난 극복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 8 8.0 잘못된 정책으로 오히려 경제난을 악화시켰다 63 63.0

합계 100 100.0

문 7) 2002년 7·1조치 등 북한의 새로운 경제정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경제를 크게악화시켰다 65 65.0

경제를 약간 악화시켰다 8 8.0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10 10.0

경제에 약간 도움이 되었다 5 5.0

경제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2 2.0

잘 모르겠다 10 10.0

합계 100 100.0

문 8) 2002년 7·1조치 등 북한의 새로운 경제정책이 시장경제(자본주의경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라고 보는 관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매우 반대한다 36 36.0

다소 반대한다 5 5.0

다소 동의한다 22 22.0

매우 동의한다 18 18.0

잘 모르겠다 19 19.0

합계 100 100.0

문 9) 귀하께서는 탈북 당시 북한 당국이 북한의 경제 상황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통제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통제력이 거의 없었다 16 16.0

통제력이 약했다 29 29.0

상당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었다 37 37.0 거의 전적인 통제력을 가지고 있었다 18 18.0

합계 100 100.0

문 10) 귀하께서 탈북하실 당시와 탈북하기 수년전을 비교하여 볼 때, 북한 당국의 경제에 대한 통제력이 어떻게 바뀌었다고 생각하십니까?

빈도 퍼센트

크게 약화되었다 43 43.0

약간 약화되었다 20 20.0

변화가 없었다 16 16.0

약간 강화되었다 7 7.0

크게 강화되었다 14 14.0

합계 100 100.0

문 11) (문10에서 ‘1번’, ‘2번’으로 응답한 경우만 응답해 주십시오) 북한 당국의 경제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었다고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순서대로 2개만 응답해 주십시오.

첫번째 응답

빈도 퍼센트

경제난 때문에 통제가 힘들어졌다 54 85.7 부업 등 시장경제활동이 증가하여 통제가 힘들어졌다 1 1.6 부정 부패 때문에 통제가 힘들어졌다 5 7.9 북한 당국이 자발적으로 통제를 줄였다 1 1.6 기업소나 주민들이 통제 받기를 싫어하였다 2 3.2

합계 63 100.0

두번째 응답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경제난 때문에 통제가 힘들어졌다 4 6.3 6.5 부업 등 시장경제활동이 증가하여 통제가 힘들어졌다 17 27.0 27.4

부정 부패 때문에 통제가 힘들어졌다 19 30.2 30.6 북한 당국이 자발적으로 통제를 줄였다 8 12.7 12.9 기업소나 주민들이 통제 받기를 싫어하였다 13 20.6 21.0

기타 1 1.6 1.6

합계 62 98.4 100.0

시스템 결측값 1 1.6  

합계 63 100.0  

* 기타 응답: <공급이 없어서>, 결측값<첫번째는 응답하였으나 두번째는 응답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