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Cell Plan
기지국의 능률적인 운용을 위하여, 우선되어야 할 것은 3면이 바다인 우리 나라의 해상에 적합하도록 운용하기 위한 공간적인 주파수 채널의 분배와 기 기의 배치가 고려되어야 하고, 최소한의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음영 이 발생하지 않는 지역의 정의가 필요하다. 이에따라 전파의 특성을 고려한 도달거리를 측정하는 Cell plan 작업이 우선되었다[27].
국내 주요 항구일원에 운용중인 VHF 선박무선 서비스를 전국 자동화망으 로 확장하기 위해 현 운용 국소를 고려하여 기지국의 재배치 및 증설을 위한 Cell Plan 및 기지국 최적화를 사업의 개요로 책정하였다.
이에 대하여 기지국 위치확인을 위한 현장조사(좌표 및 해발고 등), 기존 및 증설기지국의 통화가능지역(서비스 영역)예측, 기지국 재배치 및 증설 국소 선 정, 최적의 기지국 배치 방안 등을 조사하였다.
수행절차는 기지국 현장조사 (기지국 좌표, 해발고, 위치, 철탑고), 통화서비 스 예측을 위한 전파이론 검토, Cell Plan 분석(현 운용 기지국의 서비스 에리 어 예측, 증설(신설) 기지국의 서비스 에리어 예측) 및 기지국 최적화(현 운용 및 증설기지국의 효율적인 서비스 영역 확보 및 철거, 재배치, 증설의 대상 기 지국 선정과 위치조정) 순으로 진행하였다.
2000. 4. 11.부터 4. 25까지 전체 국소를 대상으로 현장을 조사하였다. <표 4-1>은 현재 운용중인 해안무선국의 현황을 나타낸다.
<표 4-1> 민간사업자(한국통신) 해안국 운용실태
본부 별
무선 국명
호출
부호 국소명 좌표 초단파 중단파 단파
위도 경도 DSC 수동 DSC 송신 수신 DSC 송신 수신 NBDP 서울서울
무선 HLS 서울 수신소 37-32-16 127-05-32 ●
화성 수신소 37-10-26 126-30-00 ● ● ● ● ●
경기인천 무선 HLC
인천 수신소 37-25-02 126-33-47 ● ● ● 영종도 VHF 37-29-35 126-33-55 ● ●
덕적도 VHF 37-13-49 126-09-10 ● ● 전북군산
무선 HLN
군산 수신소 35-57-08 126-41-12 ● ● ●
회현 송신소 ●
옥마산 VHF 36-18-54 126-38-14 ● ●
전남 목포 무선 HLM
흑산 수신소 34-41-12 125-27-37 ● ● ● 일로 수신소 34-48-17 126-30-06 ● 안좌 중계소 34-44-37 126-07-30 ● ● ●
양을산 VHF 34-48-29 126-24-38 ● ● 임자도 VHF 35-08-21 126-06-13 ● ● 대두산 VHF 34-27-01 126-37-19 ● ●
여수 무선 HLY
여수 수신소 34-45-20 127-44-05 ● ● ● 여천 송신소 34-52-34 127-43-16 ● ● ● 묘도 수신소 34-52-33 127-43-17 ● ●
금오산 VHF 34-59-29 127-52-05 ● ●
나로도 34-25-54 127-30-20 ●
외나로도 34-26-52 127-30-18 ● ●
제주제주 무선 HLE
제주 수신소 33-29-11 126-30-07 ●
신제주 VHF 33-29-16 126-30-10 ● ● 서귀포 VHF 33-14-44 126-33-55 ● ●
무릉 송신소 33-16-15 126-13-12 ● ●
부산부산 무선 HLP
부산 수신소 35-04-07 129-00-28 ● ● ● 영도 송신소 37-29-35 126-33-55 ● ●
항만 VHF 35-04-50 129-03-34 ● ● 엄광산 VHF 35-08-02 129-02-22 ● ● 용화산 VHF 34-48-00 128-25-18 ● ● 불모산 VHF 35-09-52 128-44-37 ● ●
대구 울산 무선
북울산 VHF 35-33-47 129-20-39 ● ● 무룡산 VHF 35-35-17 129-24-03 ● ● 포항
무선
포항 VHF 36-00-49 129-29-37 ● ● 현종산 VHF 36-51-39 129-24-24 ● ● 울릉
무선 HLU
천부 수신소 37-32-35 130-52-43 ● ● ● 울릉 송신소 37-28-59 130-53-53 ● ● ●
감을개 수신소 37-27-54 130-52-30 ●
강원강릉 무선 HLK
강릉 수신소 37-29-05 130-53-55 ●
송정 송신소 37-46-24 128-55-42 ● 동해 VHF 37-32-01 129-06-20 ● ●
봉황산 VHF 37-26-04 129-10-52 ● ● 속초 VHF 38-11-58 128-35-24 ● ● 괘방산 VHF 37-42-24 129-00-08 ● ●
4.1.2 SYSTEM의 구성 개요
<그림 4-1>는 민간사업자의 전체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통합 관리를 담 당하는 서울무선국의 망 구성의 기본은 TCP/IC이다. 각 구성장치는 대부분 LAN Protocol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으나, 송․수신기 등의 장비간의 주요 Interface 부분은 Serial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데이터의 처리 혹은 운용의 주된 제어를 담당하는 Server 급의 운용체제는 Windows NT Ver4.0을 사용하였으며, D/B로는 Oracle Ver5.0을 이용하였다.
운용탁에서는 자동이나 수동 운용에 관계없이, 모두 Windows 98을 이용하여 시스템이 구성되었다.
민간사업자 해안국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 3-1>과 같이 현재 서울무선국을 1개의 집중운용국으로 하여, 부산무선국 등을 포함한 전국 30개 국소의 원격무선국을 관리하고 있다. 집중운용국과 원격무선국간 전용회선은 T1급에서 E1급으로 교체 구성되었다.
LAN LAN
PSTN 자동호
처리장치
송/수신호 처리장치 전용회선
전용회선
LAN
DB SERVER (선박원부) DSC SERVER
NBDP SERVER
NBDP송/수신호 처리장치
HF송/수신호 처리장치
RDB
TELEX망
VHF국 MF송신국 MF수신국 HF송신국
서울무선국
VHF송수신기 (CALLING)
VHF송수신기 (WORKING))
안테나 DSU
Router 단국장치
MF송신기 (CALLING)
MF송신기 (WORKING)
단국장치 단국장치 DSU
Router
MF수신기 (CALLING)
MF수신기 (WORKING)
안테나 단국장치
HF송신기 (CALLING)
HF송신기 (WORKING)
NBDP송신기 안테나
DSU
Router
단국장치
NBDP수신기
안테나 자동접속장치
(교환기) G/W 안테나
HF수신기 (CALLING)
HF수신기 (WORKING)
FAX망 TIOS망
<그림 4-1> 해안국의 구성 개요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