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The freedom of thoughts could not be extinguished despite communist terror in the GDR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and Political Rights in North Korea

4. The freedom of thoughts could not be extinguished despite communist terror in the GDR

Particularly notorious were the penitentiaries Bautzen and Waldheim, as well as the women's prison Hoheneck, the military prison Schwedt or the Stasi prison camp X and Hohenschonhausen.

- Children were taken and given to forced adoption.

- Special facilities existed for young people and children, where these were exposed to the brutal attacks of the guards. These facilities were called special children's homes or youth work yards.

- The state security service Stasi had about 80 000 employees and 200 000 informers. (http://www.fes.de/fulltext/historiker/00660001.htm)

4. The freedom of thoughts could not be extinguished despite

- Political parties where formed during the 19th Century. Freedom of press and freedom of assembly prevailed.

-In 1918, a first democratic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in Germany and a government in the modern sense was formed. Freedom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teaching, independent judiciary, individual rights, administrative justice - all this shaped Germany.

- Even during the time of Hitler's dictatorship (http://www.bibel- glaube.de/handbuch_orientierung/Nationalsozialismus.html) there were Democrats who sacrificed their life and limb for these freedoms, e.g. those officers who revolted against Hitler on July 20th, 1944, or courageous students like the Scholl siblings. Parts of the church adhere to freedom and justice, too. (Http://www.netzgymnasium.de/Projekt/index.html)

This liberal tradition was also present in the GDR. As people were susceptible to severe repression, large numbers of liberal personalities fled to the west of Germany until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was finished in 1961.

As this became impossible for the people within the GDR, an internal opposition slowly evolved.

This development was supported by Western media, which could be received in the GDR.

(Http://de.wikipedia.org/wiki/Flucht_aus_der_Sowjetischen_Besatzungszone _und_der_DDR)

- The government responded with violence and the already mentioned psychological degradation and discrimination of individuals. By the usage of

intelligence measures livelihoods and families were destroyed. Nevertheless, the resistance increased.

In 1976 some personalities gave this longing for freedom a face: e.g. Pastor Oskar Brüsewitz, the singer Wolf Biermann, the former communists Havemann and Rudolf Bahro.

(http://de.wikipedia.org/wiki/Dissident#Gegenwart)

- The Helsinki Conference in 1976 was a result of the Communists strived for international appreciation and succeeded by their hoped for international recognition. But during the negotiations the West compelled the Eastern States to agree on minimum standards on human rights. Even though the Communists never took them into effect, the resistance fighters could refer to international documents on which they could rely.

(Http://de.wikipedia.org/wiki/Konferenz_über_Sicherheit_und_Zusammenar beit_in_Europa)

- Since the Communists suffered from permanent shortage of foreign exchange, they received financial assistance by the West. In 1983 the GDR received a loan of 1 billion DM, mediated by the anti-communist politician Franz Josef Straus.

(http://www.dradio.de/dlf/sendungen/hintergrundpolitik/808282)

- The Federal Republic ransomed 33,700 political prisoners from East German penitentiaries and about 250 000 GDR citizens. These exchanges were done discreetly and were not published to not offend the Communists.

All in all, the Federal Republic paid more than 3.5 billion DM.

(http://de.wikipedia.org/wiki/Häftlingsfreikauf)

- The church and the churchly resistance against the communist dictatorship played an exceptional role, which I will focus on another lecture of mine.

- By 1988 parties and similar organizations like the new forum formed. The SED lacked the strength to curb these movements.

Some conclusions:

Longing for freedom is an acquisitive desire of mankind, which will survive any tyranny. It survived the tyrants of ancient times. She survived fascism and communism in Europe. It will therefore survive the current tyrannies as well.

We, that we live in freedom, should strengthen their representatives as much as possible and if possible protect from the outside.

The Western media and the judiciary allocated information and protection in Germany. (eg Central Registration Office of the State Judicial Administrations or the ZDF (second channel of German television broadcasting) magazine by Gerhard Lowenthal).

South Korea should try to find a way to supply the subjugated people in the North with information: radio and television, Internet, and where this is not possible by smuggled literature or leaflets.

It was the wise policy of the West, to provide humanitarian aid to the communist states, but connecting it to the demand of freedom (Helsinki Process).

It should be considered whether Korea might take similar actions regarding the ransom of political prisoners as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did.

Religious groups are indeed despised, hated and persecuted by communists, but they can spread strength and support in the population if they are credible.

Providing freedom, for example by mediating development aid, might be a way to strengthen them.

The idea of freedom is to prevail, because it is rooted in human nature.

종교, 양심, 정치적 신념의 자유:

독일의 경험과 북한에의 함의

레이너 와그너(동독 독재정권 희생자연합)

포럼에 참가하신 여러분, 먼저 저를 초대해 주신 데 대한 감사 인사를 드 립니다.

저의 개인적인 감사 인사에 덧붙여, 제가 국가 의장으로 있는 UOKG (Organization of the victims of the communist dictatorship in Germany), 그리고 제가 현재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mer Political Prisoners and Victims of Communism로부터의 인사도 전해드립니다.

저는 위 단체들의 대표 자격으로 뿐만이 아니라, 독일 GDR 정권 하의 수감자로서도 이 포럼에 참가하였습니다. 저는 15세 때 “Republikflucht”

(국가 탈출)이라는 죄목으로 수감되었습니다. 제가 법정에서 공산주의에

대해 반대하는 증언을 했다는 이유로 수감되었고 이는 그 당시에도 흔하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Ⅰ. 서론

종교와 양심의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독일민주공화국(German Democratic

Republic: GDR, 이하 동독 또는 GER) 정권 하에서의 제 경험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오늘 제 발표가 아직까지도 남북으로 나뉘어 있는 국가에 살고 있는, 특

히 참혹하고 가혹한 탄압 행위를 계속하고 있는 북한 정권을 고려할 때, 여 러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저는 이 자리에서 어떤 지침을 전달하거나 강의를 하러 온 것이 아닙니다. 아마 여러분들은 제가 아는 것보다 북한의 내부 사정에 대해 더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은 오늘 제가 드리는 정보, 또는 저의 미약한 의견 중에서 어떤 것이 한반도 상황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인 지, 독일에서만 가능했던 상황은 무엇인지 등을 구별하여 활용할 수 있기 를 바랍니다.

1.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의 종교와도 같은 주장

가설: 공산주의자들에게 종교와 양심의 자유, 그리고 기타 정치적 자유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공산주의자들은 자신을 유일무이한 종 교 자체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공산주의자들은 종교라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이 위 주장을 무너뜨리지 는 않는다.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는 정권을 잡은 무신론자적 종교와도 같다. 20세기 공산주의자들의 잔혹성은 1억여 명의 희생자들을 낳았으며, 구원이라는 교 리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 공산주의자들의 이러한 배경에는 그들 자 신 외에는 절대 인정하지 않으려는, 무신주의적 종교와도 같은 체제가 자 리 잡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이 하는 말만이 오직 절대적 진리라고 여긴다.

이러한 모델, 즉 Karl Marx 와 Friedrich Engels 가 주창한 이 이론은 인류 의 발전적 진화 모델에 기초하고 있다. 이들은 계급이 없는 사회, 즉 지상 낙원을 목표로 하며, 이에 앞서 사회 구조의 개혁, 그리고 개인 차원의 개 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공산주의자적 이데올로기 하에

인간성은 공산주의에 종속된다. 현 상태 및 현 대표자들의 파괴 및 거친 투 쟁이 지상 낙원을 건설하는 첫걸음으로 이해된다. 노예제를 거쳐 봉건주의, 자본주의를 거쳐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로 이행한다고 이해한다. 진화 이론 에서처럼 이렇게 새롭고 강한 체제는 임금 제도를 파괴하였다.

진화를 끌고 가는 원동력은 생산이다. 공산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집단은 노동자계층이다. 노동자계층은 단독으로 행동하기가 어렵기 때문 에, 이들을 대표할 지도자를 필요로 한다. 레닌, 스탈린, 마오쩌둥, 그리고 김일성과 같은 독재자들은 언뜻 보았을 때 논리적이다. 이들은 엘리트 중 의 엘리트이며, 지배 계층의 영적 지도자로서 기능한다. 지배층에 대항하 는 각 개인, 그룹, 그리고 계층은 이러한 흐름에 걸림돌이 되며 영원히 없 어져야 하는 존재가 된다. 공산주의 내 이러한 집단적 사고에 있어서는 개 인의 존엄성이 자리 잡을 곳이 없게 된다. 도덕적 가치란 공산주의 정권을 지지하는 것에만 관련되어 있다.

공산주의 영역 밖에서도, 이들의 활동은 종교적인 수준에 이른다고 평가 받고 있다.

성직자, 예식, 증언, 그리고 복종 등 종교적인 성격이 정권과 관련하여 나 타나게 된다. 공산주의 운동은 일반 종교의 성직자와 같은 숭고함을 나타 낸다. 휴일, 그리고 인간성을 판단하는 척도는 모두 공산주의 체제와 관련 된 것이다. GDR에서의 예를 하나 들면 “칼 마르크스의 견해는 진리이기 때문에, 그 이론은 전지전능하다고 할 수 있다”는 발언이 있다.

정치 각 부의 지도자들은 종교에서의 성인과도 같은 존재이며, 국민들은 이들에 대해 경의를 표하여야 한다. 일반 종교가 신도들에게 두려움을 갖 도록 하는 장치를 갖고 있는 것처럼 공산주의도 사상과 글에 대한 검열을 하는 등, 종교와 유사한 요소를 두고 있다. 소련 체제에서는 “KGB”가 이러 한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동독에서는 “Stasi”가 이 기능을 수행하였다. 정보 기관, 사법 기구, 군대 및 경찰은 종교에서의 교구와도 같은 기능을 지녔다.

종교가 권력의 형태로 실현된 예는 대표적으로 이슬람이 있으며, 과거에는 공산주의, 그리고 현재는 자유에 반대하는 세력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들 은 자신을 절대적 진리로 주장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된다.

2. GDR과 북한 체제의 유사점

가설: 동독과 북한은 동맹국인 소련 및 중국과 관련한 대외정책에 있어 서 차이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서로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독일을 점령했던 세력인 GDR(German Democratic Republic)과 같이, 북 한도 공산주의 세력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독일과 한국은 분단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독일의 사례에서 참 조할 만한 사례가 존재한다.

그러나 Nikita Khrushchev에 의해 주도된 공산주의 운동의 분단으로 인 해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이 역사를 만들었다. 공산주의 운동은 정기적으 로 일정한 부분으로 나뉘어졌다. 북한은 중국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고,

GDR은 소련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이들 간의 유사점은 차이점을 압도했다.

1990년, 동독의 총리로 오랜 기간 재직했던 Erich Honecker는 모스크바

망명 중의 인터뷰에서 모든 공산국가는 유사점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소련의 몰락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유럽의 주도권을 공산주의 세력이 잡기를 기대하였다. 그의 바람은 중국, 쿠바, 베트남, 그리고 북한과 같은 곳에 사회주의 세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데 기초하고 있었다.

1970년대 러시아와 중국의 이례적인 행보에 관해서, GDR은 북한과 긴밀

한 관계를 유지하기 시작하였다. 김일성이 묘사하기를, Erich Honecker는

“형제이자 가장 좋은 친구”라고 하였다. 그의 첫 북한 방문은 1977년 12월

8일부터 11일까지였으며, 김일성은 두 독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기뻐했

다. 1984년, 김일성도 GDR을 방문하였다. 또한 1989년 이후에 북한에서 망 명 생활을 계속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3. GDR의 역사적 발전

가설: 북한에서처럼, GDR의 추종자들은 종교의 자유, 양심의 자유 및 정 치적 권리를 갖는 것에 친숙하지 않았다. 동독의 사람들은 진실을 감추기 위해 애썼지만, 결국 진실은 만천하에 드러나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은 1945년에 종식되었다.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세계는

두 진영으로 크게 나뉘어졌다. 서쪽의 자유 진영은 소련이 주도하는 세력 에 대적하였다. 1350km에 달하는 동독과 서동과의 경계는 엘베(Elbe) 강으 로 대표되었다. Walter Ulbricht는 GDR의 공산주의 정부 지도자로서 주도 권을 쥐기 위한 전략을 “민주주의처럼 보이면서도, 모든 것을 우리의 철저 한 주도 하에 놓도록 해야 한다”고 표현하였다.

공산주의 세력의 집권은 국가, 국가 내 소유물, 그리고 사람들을 포용하 는 것처럼 보였다.

전쟁의 마지막 날에 이르는 순간에도 러시아는 꼭두각시 정부를 세워 영 향력을 지속하려고 하였다. GDR의 Ulbricht그룹이 이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그룹은 이전의 공산주의 지도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소련에서의 망명을 끝내고 1945년 4월 30에 돌아온 “반파시스트 주의 수감자”들로 구성되었다.

민주주의 흉내를 내기 위해서 사회주의통일당(Socialist Unity Party of Germany: SED)의 리더인 Walter Ulbricht는 이전의 부르주아 정치인들에 대한 존중을 표시하였다. 이것은 공산주의 독재 정부를 가리기 위한 수단 이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사람으로는 전 사회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