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인도양 지진해일 기념을 위한 제

10차 국제회의를 개최함 .

동 국제회의를 통해 지속적인 관리와 제정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인지함. 정부 간 협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다짐함.

8.1.3.

카리브해 및 주변지역 지진해일 경보 및 저감시스템

- 2015년 제3회 Sendai Framework for DRR회의 개최

- CARIBE-EWS, IOTWS, NEMTWS의 10주년 기념 기념책자 및 TOWS-WG 50주년 기념 기념책자 발간

-

제8차

TOWS-WG회의에서 4개의 하위조직의 보고서를 발표함.

- CTBTO, GEBCO와 협력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음을 발표 -

지진해일 관련

GEBCO의

중요성 강조

-

그룹 예산부족 토로

총회 평가의견

-

일본: 지진해일 시스템의 향상과 개발에 대한 노력을 계속 할 것임

-

중국: 중국에서 지진해일 관련 회의를 개최하였고 앞으로도 역내에서 회원

국들의 협력을 위해 중국이 기여할 것임. IOC 및 타 회원국도 지속 적인 지원을 요구함.

8.3

유해조류증대(IPHAB, Intergovernmental

Panel on Harmful Algal Blooms)

○ IPHAB

의장 Gires Usup은

2015년 4월 파리에서 제 12차 IPHAB

총회 개최

의장단 교체

(신임 2015-2017

의장은 말레이시아 출신)

○ Scientific Summary for Policy Makers

발간

회원국에게 적극적 데이터 공유 등 후원 요청

아프리카

HAB

프로그램을 위하여

2014년 오만에서 회의

○ Task Force는 담수 및 HABS의 지침서 작성 및 교정을 돕고 , WHO와 FAO

의 협력을 도모하며 적조학자들과 적조모델러간 공조체제 개발예정임

9.

역량강화

(Capacity Building)

작업반장

Adoté Blim Blivi(토고)가 수립경과 보고함 -

추진근거: Rio+20

- 17개국이 참여하여 SWOT분석 ,

사업목표

,

기대효과 등 사업계획서

(안 )

작성

- 5대 대상 분야 설정:

해양과학연구역량

연안재해 예경보 역량

지속가능개발위한 거버넌스 기획운영역량

과학기반 해양정책 수립위한 해양평가 역량

해양관측 및 관측데이터관리 역량

-

향후

CB실시할 때 GOSR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임 ○

회원국 검토의견

-

인도는 제출된 내용중에서도 특히 해양관측 모델 예・경보 거버넌스

분야 역량강화사업을 환영한다면서 인도의 해양과학교육훈련과정 등 자국의 역량강화 노력을 홍보함.

-

파키스탄은 제출된 사업계획을 지지하며 적극 참여하고자 함

-

베트남은 교육훈련과정 자체만으로는 연구역량이 제고되지 않으므로

IOC산하 실무 프로그램 단위의 고려가 필요함

-

미국은 역량 차이를 정확히 포착하는 것이 실효적인 역량강화사업의

전제조건이라고 지적함

-

한국(김현영)은 본안이

IOC High Level Objectives, UN SDG와도 부합

하며, 현재

GOSR이 제작 중이므로 몇몇 취약점을 보완한다면 성공

할 것으로 믿는다며

,

한국은 타

IOC

회원국들과 함께 예산을 지원할 것

을 시사함. 또한 여수프로젝트

2기(2015.10~)를 기장비조달,

시스템구 축, 교육훈련, 정책컨설팅 원조에 활용할 것을 권장함

- Blivi

작업반장은 좋은 사업계획이란 구상한 프레임웍이 각각의 요소,

자원, 사업, 지역간 시너지를 도출하기 용이한가에 달려있다는 소신을 피력함

10.

지속가능개발 거버넌스

10.1.

UN기구와의 협력

SDG

- IOC포함 20개 기구 참여한 결과,

해양이슈가 포함됨

(제14번 목표하에 69개 글로벌/리져널/인터내셔널 타겟)

- IOC는 DOALOS,

피지, 한국 등이 주최하는 태도국 해양과학역량강화

대회 참가 예정

-

각국 통계청이 참여하는

SDG달성여부판정기준 설정(~2016.3)

안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