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_생태복지 프로그램 36_생태복지 인프라
자연보전과 합리적인 이용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2008년부터 시작된 생태관광 프로그램은 국립공원에서 체류하면서 국립공원의 우수한 생태 자원과 지역의 역사·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탐방프로그램입니다.
자연생태, 해양생태,
숲치유, 역사문화, 팜스테이, 템플스테이 등 테마별 프로그램과 어린이, 청소년, 어른, 가족단위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의 탐방프로그램은 전문가들로부터 심사를 거쳐 국립공원의 자연·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이야기, 자연관찰, 자연놀이 등을 통해 자연과 문화를 보다 흥미롭고 즐겁게 체험할 수 있도록 공단은 국립공원 내 우수한 자연, 문화, 환경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탐방객들이 보다 흥미롭고 즐겁게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탐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풍부한 탐방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각 국립공원 내 자연과 문화를 소재로 한 탐방프로그램을 발굴하여 공원을 찾은 탐방객들이 공원에서 살아 숨 쉬고 있는 자연과 역사 문화자원을 찾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생태복지 프로그램
● 생태관광 홍보 보도자료
●●탐방 프로그램 운영 현황
2009년 2010년 2011년
382,099
490,000
627,087
탐방프로그램 참여자 수(단위 : 명)
2009년 2010년 2011년
87.5 90.2 90.5
탐방 프로그램 만족도(단위 : 점)
2009년 2010년 2011년
379 373
260
프로그램 수(단위 : 개)
● 탐방 프로그램 운영
했습니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자연, 유서 깊은 사찰과 문화재 등 선조의 숨결이 살아있는 지역문화와 공원별 자원특성을 살린 문화·역사·생태 탐방프로그램 등 1시간 내외 프로그램부터, 2~3일 정도 소요되는 프로그램까지 다양합니다.
공단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동참을 유도하고 사회적 취약 계층에게 문화 및 복지 혜택를 제공하고 나눔과 배려의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자 국립공원 사회공헌 서비스인‘국립공원 자연나누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09년 처음 도입된 본 사업은 2011년 GS칼텍스 등 54개 기업·단체의 후원을 받아 11,908명의 장애인, 노인, 다문화가정 등에 총 264회에 걸쳐 72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습니다.
최근 유해물질 노출, 대기오염 등 환경요인 변화에 따른 환경성 질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전문 의료기관과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환경성 질환(아토피, 천식, 발달장애 등)의 과학적 예방과 관리방법을 보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환경과 건강의 긍정적 관계 음미를 통한 건강증진의 기회를 제공하고자‘국립 공원과 함께하는 건강나누리’캠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1년 에는 치악산국립공원 등 15개 사무소에서 삼성서울병원 등 전문 의료기관 및 지역 보건소와 연계하여 40회에 걸쳐 1,580명을 대상(지난해 대비 약 65% 증가)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전체적인 참여자 만족 또한 89%로 전년대비 14.4% 증가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 2천만명 시대로 스마트 기술이 전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공단은 이러한 스마트 기술을 해설 인력, 시설인프라 위주의 탐방서비스의 한계를 해소하는데 적용 하고자 북한산 둘레길 구간에 스마트폰 기반의 self-탐방서비스를 최초로 도입·제공하고 있습니다. 2011년 4월에 5구간(19km)에 대한 사업완료로 54개의 스토리텔링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2012년에는 16구간(51km), 120개의 스토리텔링 서비스 추가 제공으로 U-기반 생태관광 안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지리산반달가슴곰, 지리산터리풀, 원추리 등 지리산을 대표하는 동식물 6종을 3D 디지털 교재로 제작(2012년 4월부터 제공) 하였으며, 이는 미래세대 환경리더 육성 및 자연친화적 정서 함양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자연치유 건강증진 프로그램 ● 스마트폰 기반 self-탐방서비스 제공 ● 3D 디지털 생태관광가이드북
● 국립공원 자연나누리
생태탐방연수원은 국립공원에 머물면서 자연생태와 환경에 대한 교육 및 각종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도록 조성한 시설 입니다. 공단은 2011년 북한산국립공원에 우수를 재활용하여 수자원을 절감하고,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도시근교형 생태탐방연수원을 최초로 건립하였으며, 지속적으로 테마별 생태탐방연수원을 확대하여 환경체험의 중심기관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는 국립공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는 북한산국립공원은 2007년 입장료 폐지 이후 탐방객이 77%나 증가하여 동식물 서식지 파편화와 생태계 파괴 문제가 심화되고 있었습니다. 공단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한산 둘레길을 조성하여 소중한 우리의 자연을 보전하면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저지대 수평탐방이라는 신개념의
탐방문화를 창조했습니다.
2011년에는 북한산 둘레길 70.1km를 완전 개통하고, 태안해안 해변길, 가야산 소리길, 소백산 자락길 등을 추가 개통하여 사계절 여가 문화 제공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생태복지 인프라
●●국립공원 주요 둘레길 조성현황
공원명 연장 확충 후
2011년까지 2012년 2013년 이후
계 340.9 242.7 31.2 67
북한산 둘레길* 70.1 70.1 노선 보완, 편의시설 확충 편의시설 확충
태안해안 해변길 120.0 25.0 28 67
가야산 소리길 6.0 6.0 편의시설 확충 -
소백산 자락길 144.8 141.6 3.2 -
●●생태탐방연수원 주요 기능
대국민 생태탐방 서비스 제공 미래세대 청소년
지원프로그램 발굴 운영
국립공원등산학교 및 산악박물관
운영
국제화 전문화 과정 운영
생태탐방연수원 주요 기능
국립공원 관리 역량 강화
*2011년 세계적인 여행가이드북인「미슐랭 그린가이드북」에 소개
● 생태탐방연수원 ● 북한산 둘레길
(단위 : km)
또한 해양탐방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다양한 탐방문화를 제공하고자 한려해상에‘통영 100리길’(가칭)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 *
공단은 탐방로의 경사도, 거리, 소요시간, 노면상태 등 탐방노선에 대한 상세한 정보 제공을 위해 5개 등급(매우 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매우 어려움)의 탐방로 등급 기준을 마련하여 고령자,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 뿐만 아니라 정상인도 개인의 신체
상황에 적합한 탐방로를 선택하여 탐방할 수 있도록 탐방로 등 급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2011년에는 치악산국립공원에 시범 운영하였으며, 향후 점진적으로 모든 공원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 입니다.
●●탐방로 등급 기준
등급명 매우쉬움(Easy) 쉬움(Moderate) 보통(Intermediate) 어려움(Advanced) 매우어려움(Expert)
픽토그램
경사도 아주평탄 평탄 약간의 경사 심한경사 아주 심한 경사
노명상태 단단하고 매끈한 노면 비교적 매끈한 노면 비교적 거친 노면 거친 노면 아주 거친 노면
노면폭 2m이상 1.5m이상 1m이상 - -
계단 없음 약간의 계단
필요물품 - 운동화 경등산화, 물 등
가벼운 등산장비
등산화, 배낭, 물 등 등산장비
중등산화, 배낭, 물, 스틱 등 등산장비
●●둘레길 이용 현황*
**탐방로등급제 : 경사도와 거리, 노면상태, 소요시간 등을 고려하여 난이도 등급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탐방객이 자신의 신체 상황에 적합한 탐방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도
2010년 2011년
84.7 87.3
둘레길 이용만족도(단위 : 점)
2010년 2011년
2,661 2,632
탐방객 수(단위 : 천명)
●●등급조사 및 분석방법
현황조사
•노면상태, 계단, 암릉암반
•현장방문조사 결과를 야장에 기입
현황분석
•경사도, 거리, 소요시간
•GPS측량도, 구글어스, 등산안내도 활용 현황조사 및 분석
1차분석
•구간별 탐방로 등급 기준 적용(경사도, 거리, 노면상태, 암릉암반)
2차분석
•구간별 등급을 종합하여 노선별 탐방로 등급 기준 적용(소요시간) 등급적용
등급정보제공
*둘레길 이용 현황 및 탐방객 수 조사는 2010년부터 실시함.
공단은 전국 국립공원 내 44개의 야영장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산악훈련, 별자리 체험 등 야영장별 테마를 차별화하여 탐방객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선진국형 가족단위 오토캠핑족이 증가함에 따라 공단은 레저 활동과 헬스케어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자동차 야영장을 지속적으로 개선·확충하여 우리나라 캠핑문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캐러밴, 황토집, 통나무집 등 체류형 숙박시설을 고급화하고, 텐트 대여서비스 뿐만 아니라 캠핑장 내 다목적 운동장, 피크닉테이블, 전기시설 등의 다양한 편의시설 설치를 통한 탐방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선진형 캠핑 수요를 고려한 자동차 야영장 확대 내용
구 분 2006년 이전 2007년~2010년 2011년 2016년까지
합계 41 43 44 46
일반 야영장 35(85%) 27(63%) 27(61%) 24(52%)
자동차 야영장 6(15%) 16(37%) 17(39%) 22(48%)
●●야영장 시설이용만족도 결과
2009년 2010년 2011년
62.5
69
72.5
(단위 : 점)
※자동차 야영장 이용증가(탐방트렌드 변화)에 따라 일반 야영장을 자동차 야영장으로 전환
(단위 : 개소)
●●특성화 테마별 야영장 운영
야영장 특성화 테마
설악동 산악훈련의 메카 설악동
몽산포 솔향과 바다향기가 어울어진 몽산포
금 대 금대계곡과 밤나무숲 우거진 쉼터!
삼 가 청정 자연속 별자리 체험! 삼가
내원사 별빛 쏟아지는 지리산 내원사
황전 반달가슴곰과 함께하는 황전
달궁 마한의 전설이 깃든 달궁
덕유대 캠핑메카, 구천동 덕유대
● 덕유대 캐러밴 도입 ● 통나무집 ● 자동차 야영장
● 달궁야영장 마한 역사 체험 ● 설악동야영장 인공암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