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구 의 지 원체 계와 대북 활 동
장 - U 기N 구 프 로그 램별 대북 지원 보호, 영양보충, 성전염병 등 관련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관리, 예방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다. 더 나아가서는 전력 및 물부족, 난방시설 미비, 위생상태 악화 등에 대처하기 위한 재정적, 인적 투자의 추진 등도 중요하다.
이상과 같은 사업을 북한지역에서 추진하기 위한 WHO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71)첫째, 취약계층의 사망률, 질병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는 말라리아, 결핵, 예방접종, 유행성 전염병 감시 및 대응, HIV/AIDS, 여성건 강, 임산부 및 신생아 보호, 어린이 감염 종합관리, 영양관리(UNICEF와 공동
계획), 가족계획(UNFPA와 공동계획) 등을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
된 대표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질병통제, 임산부 및 신생아 건강, 영양 및 어린이 건강 등에 적합하고 수용가능하며 접근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의료개입 및 기준의 개발, 적용, 시험, ② 예방적, 치료적 의료참여 간의 적절 한 균형을 이루는 우선적 공공보건전략을 추진하며, ③ 전염성 질병 통제에 대한 통합접근 방식 형성 및 실험, ④ 지침 및 원칙 개발과 향상된 의료참여 및 전략의 촉진, ⑤ 보건문제의 범위를 확립시키기 위해 전염병학 및 실태연 구를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건강한 생활습관 조성 및 환경, 경제, 사회, 행동 등에 기인하는 건강 위협적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수용 가능하고 접근이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되는 의료 개입 및 기준의 개발, 적용, 시험을 비롯하여, 예방적·
치료적 의료참여 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우선적 공공보건전략을 촉진하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흡연, 비전염성 질병, 혈액·식품 안정성 등을 우선적인 해결과제로 삼고, 정책 수립에 대한 지원과 조언, 의료 관계자용 자료개발에 대한 기술적 지원, 건강을 해치는 생활 습관이 주는 사회·건강학 적 악영향에 대한 실태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구체적 과제로는 ① 정책형성 의 고위단계에서 의료참여에 대한 지지, ② 정책 수립에 대한 지원과 조언,
③ 의료 관계자용 자료개발에 대한 기술적 지원, ④ 건강을 해치는 생활습관 이 주는 사회·건강학적 악영향에 대한 실태연구를 시행하는 것이다.
셋째, 적정 보건체계의 개발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즉 주민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재정적 부담이 적정한 보건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효과적
71) <http://www.who.int/disasters/repo/10414.pdf>.
기구 의 지 원체 계와 대북 활 동
이고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양질의 보건체계는 새롭게 등장하고 재발하는 질병에 대처하고 새천년개발목표(MDGs) 계획을 실천하는데 반드시 필요하 다. 따라서 WHO는 현 경제상황, 공여자의 지원, 향후 기회 등을 고려하면서 단기, 장기 발전전략을 개발하고 점진적으로 보건부문의 개혁을 지원해야 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주안점은 북한이 의료보호 및 의료개혁 에 필요한 요소를 분석할 수 있도록 전문적 기술을 지원하는 한편, 종합보건 인적자원개발 계획을 설계하는 데 전문적 기술지원, 공공보건 분야에서 의사 및 간호사 교육, 공공보건 관련 분야의 관리·계획·경제 전문가 육성을 위해 공공보건학 석사 과정 해외연수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기도 하다. 그 밖에도 기술의 적절한 사용을 위한 전문기술지원, 필요에 근거한 정보 시스템, 분석, 계획과정 등을 구축하기 위한 전문기술을 지원하는 데 두고 있다. 이와 관련 된 구체적 과제는 ① 현 보건 요구사항, 지원, 보건체계 분석, ② 보건부문 개발 및 개혁에 대한 정책 결정, ③ 의사 및 간호사 교육, 새로운 지식 및 기술 재교육, ④ 공공보건 관련 관리, 계획, 경제전문사 육성, ⑤ 실효성 있는 정보시스템과 분석, 계획 가정 구축, ⑥ 적시에 수정 및 유지가 가능하도록 지역단위 관리자에게 합당한 권한과 자원 제공 등이다.
넷째, 효과적 보건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보건 부문에 관한 정책을 구축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 마련 및 사회, 경제, 환경, 개발정책에 부합하는 효과적 보건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의 주안점으로
WHO는 북한 보건성의 역량 및 활동범주를 강화하고, WHO 북한사무소의
기술적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국제 신뢰도를 확보하고 공여자들로부터 자원 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 과제에는 ① 협력적 환경 하에 일할 수 있도록 보건성의 역량 및 활동범주를 강화하고, ② 자원 동원을 증진하는가 하면, ③ 외국어 교육 활성화, ④ 전염병학, 임산부 및 어린이 건강, 보건체계 분야의 국내외 기술 관계자들이 WHO 북한사무소에 서 근무할 수 있도록 충원하는 동시에 ⑤ WHO 북한사무소의 통신, 정보 기술을 개선하는 것 등이 있다. WHO의 북한 지역 내 역할을 살펴보면, ① 전염성 질병 통제, 예방, ② 특정 정책적 지원, 기술 적용, ③ 전염병학 및 실태 연구 지원, ④ 정책지원 및 기술 적용, ⑤ 사업의 효율적 운용, 보건부문
감독, ⑥ 기술정보 및 지식의 보급, ⑦ 보건부문에 대한 추가지원 및 협력증진
장 - U 기N 구 프 로그 램별 대북 지원 을 위한 국제사회에서의 중재자 역할 등을 들 수 있다.
WHO는 북한 보건성과 공동으로 면역 및 백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다. 즉 면역 확산, 소아마비 근절, 홍역예방 활동에 대한 목적과 실행방안을 마련 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아동기 질병에 대한 통합관리(Integrated Management of Childhood Illness)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가정에서 아이들의 질병을 돌보는 초기진료에 관한 것으로 주로 설사, 급성 호흡기 질환, 홍역, 말라리아, 영양실조에 대한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생충 박멸 활동의 일환으로 1살부터 5살 사이의 어린이들에게 회충약 을 지급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를 통한 말라리아 방제 및 영유아 지원 사업 규모는 아래 표와 같다.
<표 Ⅴ-2> WHO를 통한 대북 말라리아 방제 및 영유아 지원 사업 내역
연 도 내 역 지원액
1997 의료기자재 등 70만불(6.3억원)
2001 말라리아 방역 46만불(6억원)
2002 말라리아 방역 59만불(8억원)
2003 말라리아 방역 66만불(8억원)
2004 말라리아 방역, 용천 구호세트 87만불(10억원)
2005 말라리아 방역 81만불(9억원)
2006 말라리아 방역(100만불), 영유아 지원(1,067만불) 1,167만불(116억원) 2007 말라리아 방역 138만불(12.9억원)
영유아 지원(938만불), 홍역(105만불) 지원 1,043만불(98.9억원) 2008 말라리아 방역 120만불(12억원)
계 2,877만불(287.1억원)
자료: WHO 제네바 통일부 주재관 제공(2008.11.13).
WHO의 대북 활동을 위한 향후 과제는 북한 보건성과 개발 관계자들이 세운 중기보건계획에 잘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보건개발을 위해 종합 상황 분석을 시행, 보건체계가 개선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보건부문을 개혁하는 것이다. 보건 인프라의 개선을 통해 필수 의약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새로이 등장하 는 전염성, 비전염성 질병 등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구 의 지 원체 계와 대북 활 동
강화하는 것이다. 현 보건 인프라는 최근 몇 년간의 경제 악화로 극심한 제약 을 받고 있다. 높은 사망률과 질병률을 동반하는 전염성 질병이 재발하기 때문에 의료시설은 말라리아, 결핵, 면역, 여성 및 어린이 보호, 영양보충, 성전염병 등 관련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관리·예방할 수 있도록 재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모든 의료시설에 적절한 의약품 및 장비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북한의 의료시설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의약품은 낡고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다. 병원은 전력 및 물 부족, 난방시설 미비, 위생상태 불량 등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에 당면해 있다. 제한적이나마 몇몇 기관들은 재정 적, 인적 투자로 최신 도구 및 기술을 확보하고 있기는 하다. 북한 의료시설에 대한 물질적, 인적 투자는 의약품, 백신, 의료용품 등을 현지에서 생산하기 위한 국가역량을 강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기초필수용품에 대한 순위를 정하는 것과 지식, 기술을 향상시켜 약물 및 의료시설을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 등이 제한된 의료용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 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5. 유엔아동기금(UNICEF)
가. 대북 지원 활동계획
(1) 2005년 활동계획72)
보건 분야에서 UNICEF는 전국의 급식센터에 대해 혼합영양식, 건강센터 의 약 70%에는 백신, 필수의약품과 장비를 제공하고 배포할 예정이다. 미량 영양제와 비타민 A도 공급할 계획이다. 건강보호의 실시 향상을 위해 특별 훈련이 수행될 것이고, 이는 기초적인 공공 건강 관찰이 선택된 군에서 시행 될 것이다. 18세 미만의 모든 주민은 UNICEF의 건강과 영양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것이다.
물과 위생 분야에서 UNICEF는 45만 명에게 공급되는 1개 도시의 물 체계
72) UNICEF, “UNICEF Humanitarian Action: DPR KOREA Summary for 2005,” (2005).
장 - U 기N 구 프 로그 램별 대북 지원 를 복구하고 향상시킬 것이다. 또한 탁아소, 유치원, 초등학교의 물과 위생
체계를 건설·복구하고, 어린이집에는 시추공과 새 우물을 파고, 학교와 지역 사회에는 물 관리팀을 훈련하고 위생교육을 촉진할 것이다. 이들 UNICEF 프로그램에 의해 150만 명이 혜택을 받게 될 것이다.
교육 분야에서 UNICEF는 학교와 유치원을 복구하고 기초 학교용품과 가구들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선택된 군에는 생활기술교육 프로그램과 선택 된 초등학교에는 시범 학습평가를 도입할 계획이다. UNICEF의 지원으로
65만 명의 어린이와 교사들이 혜택을 받게 된다.
(2) 2006년 활동계획73)
ㅇ보건 및 영양: 보건서비스 체계가 붕괴되었기 때문에 모든 18세 미만의 주민, 특히 5세 미만의 어린이들은 보건과 영양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활동을 통해 도움을 받게 될 것이다.
- 높은 예방접종률 유지(90% 이상), 백신과 주사기 제공으로 DPT3의 접종률을 80%에서 85%로 증가, 50개 군에 저온유통능력 강화, 그리고 환경평가지수(EMI) 다년계획 개발
- 선택된 군에서 보건시설의 수술실 개선과 교육훈련을 통한 안전한
모성능력의 강화, 조산도구의 공급
- 총 인구의 약 60%를 커버할 수 있는 2,600개의 보건시설에 대한 약
상자(최소 6개의 가장 긴요한 약품 포함) 조달과 보급
- 접근 가능한 군의 탁아소, 유치원 어린이, 임산부를 위해 WFP가 지역 에서 생산하는 혼합식품 생산에 필요한 4만 톤의 비타민과 미네랄 확보
- 심각한 영양실조에 있는 2만 명의 어린이(해당 어린이의 50%)에 대한
치료 차원의 급식지원 지속
- 임신 전에 있는 30만 명의 여성들에게 철분과 엽산 제공, 그리고 임신
첫 3개월 사이에 있는 30만 명 여성들에게 복합미량영양소 제공
- 연 2회 5세 미만의 모든 어린이에게 비타민A 보충제와 구충제 지급
73) UNICEF, “UNICEF Humanitarian Act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200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