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國國 究 와 (1928-1949) 究 의 近代 度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國國 究 와 (1928-1949) 究 의 近代 度"

Copied!
30
0
0

Teks penuh

(1)

(1928-1949) 와 歷史語言硏究所

近代 歷史學 制度化 * 1)

( )

崔 恩 珍 國民大

. 머리말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

. (史語所)

의 성립

중앙연구원 성립과정 1.

중앙연구원 설립 이념과 2.

의 탄생 史語所

중앙연구원 와 근대 역사학의

. 史語所

제도화 과정

과학적 동방학의 정통 수립 1.

전문가 집단

2. 史料學派

형성과 활동

전문가 집단 형성

1) 史料學派

2) 史語所의 활동 3. 評議會 설립에서

선출까지의

院士 史語所

. 맺음말

. 머리말

년 스타인 사건은 중앙연구원이 개입하여 스타인 의 발

1931 (A.Stain)

굴을 금지하도록 비자를 취소하고 이를 통해 국권 을 수호했던 것으로‘ ’ 알려져 있다 청말 이래 스타인을 비롯한 서방 고고학자들의 중국 고. 대 유물 유적에 대한 조사와 발굴 및 유출이 행해지고 있었지만 이에 대해 국가적 차원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1931년 사건의 처 리는 학술연구의 조직화 및 제도화를 통해 국가적 대응이 가능해 졌음

이 논문은 년도 정부재원 교육과학기술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 으로 한국연

* 2009 ( )

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9-362-B00011).

(2)

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당시 사건의 대응을 주도했던 학술기구는. 현재 대만 중앙연구원의 효시이며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사회과학원 중, 국과학원의 모체가 되는 국립중앙연구원이었다.

중앙연구원은 1928년 성립에서1949년 이전까지 행정과 연구와 평의 조직을 구성하고 14개의 연구소를 설립하고 순수연구인원 413명을 확 보한 연구기관으로 성장했다 그 과정에서 당초 설립계획에는 없던. 歷 이하 가 설립되었다 그러한 사어소가 다른 어떤

( ) .

史語言硏究所 史語所

연구소에 비해 크게 성장하고 1936 31년 명의 평의회 의원과1946 81년 명의 원사의 선출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한 점, 1949년 대만으로 이전될 때에도 대만 중앙연구원을 설립하는 핵심연구소가 된 점 등은 중국의 근대적인 학문기구가 제도화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주목되는 부분이 다 그렇다면 왜. 史語所는 중앙연구원에 편재되고 중심적인 연구소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인가.

년 북경대학에 사학과가 설립된 이래 근대 역사학의 제도화에 1921

대한 모색은 본격화 되었고 전통적 인재양성 방식과는 다른 근대적인 역사 전문가 양성을 통해 근대역사학이 확립되어 갔지만 직업적 연구 자 집단은 아니었다 또한 역사연구자 집단이라 할 북경대학. 國學門 역시 직업인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중국이 전통학술에서 근대 학문으. 로 전화되는 과정에서 학문내용의 변화 학문연구체계의 변화 학문연, , 구체계의 탄생 직업적 전문가로의 전화라는 과정을 밟아 나갔음을 전, 제로 할 때 중앙연구원 史語所의 성립과 활동은 그러한 변화의 실제적 과정 속에 놓여 있었으므로 근대 학문의 성립과정의 이해에 있어 중요 한 부분이 된다 근대 학문의 성립과정은 학술사조나 방법론적 논쟁의. 전개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자들의 교육과 연구 지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확립된 공적 네트워크 즉 대학과 학회 매체 등을 포괄하, 여 활동하는 전문학자들을 통해 학문적 정체성과 정당성이 확보되는 제도화 과정의 연구도 필요하다.2) 따라서 제도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 2) 학문의 제도화에 대해서는 이계희, 중국정치학의 제도화와 학문적 각성 (

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1 , 2000.12) 참고.

(3)

해서는 보다 다양한 조직과 인물간의 연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지만 본고에서는 국가적 학술단체인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로 제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중앙연구원 史語所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 활동과 史料學派로 서의 성격을 소개하는 연구에 집중되어 있고3) 중앙연구원에 대해서는 학술연구와 국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력하므로4) 이하에서는 중 앙연구원 활동의 성격을 규명하는 창으로서 史語所를 주목하고 중앙연 구원의 성립에서 대만으로 이전하기까지의 과정 속에서 史語所의 조직 과 사료학파로서의 성립과정을 관련지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 근대 역사학의 제도화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하는 점을 밝 史語所

혀 보고자 한다.

중앙연구원 의 성립

. 史語所

중앙연구원의 성립과정 1.

중국의 학술연구기관의 필요에 대한 논의는 馬相伯 章太炎, 과 梁啓 가 1913년 대총통 에게 건의한 에서 본격화 되는데

超 袁世凱 函夏考文苑

이는 전통유학 연구 기관이던 翰林院과는 다른 프랑스 과학원의 문학

3) 史語所에 대한 연구도 중앙연구원 전반 속에서 보이는 사어소의 활동에 대한 소개와 부사년의 역할 사어소, 集刊을 통해 사어소의 사학연구의 특징 역사학, 의 계보 속에서는 사어소의 위치를 파악한다.

4) 中央硏究院과 관련된 연구성과는 최근 중앙연구원성립 80주년을 기념하는

, : 1,2,3 ( :

央硏究院八十年史編纂委員會 編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臺北

, 2008); , ( :

中央硏究院出版近史所刊行 李攘 國立中央硏究院 北京 圖書情報工作 , 1998); Shiwei Chen,

雜誌社 Government and Academy in Republican

China:History of Academia Sinica, 1927-1949, (Harvard Uni., 1998);陳時偉,

, 1927-1937 ( : 15

中央硏究院與中國近代學術體制的職業化 北京 中國學術 第

, 2003.3); , ( :

徐明華 中央硏究院與中國科學硏究的體制化 臺北 中央硏究院 등이 있다

22 , 1993) .

近代史硏究所輯刊

(4)

예술연구원을 모델로 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는 근대과학을 연구하는. 기관이나 국제적 수준의 일정한 규모를 갖춘 순수한 학술연구에만 의, 지하여 생활하는 전문 직업인 집단의 성격을 띤 국가차원의 연구기관 과는 거리가 멀었다.

근대적 학문체계의 형성과정을 볼 때 역사학 분야는 1920년 북경대 학에 역사학과가 설립되어 분과학문으로 자리 잡게 되고 1923년 북경 대학의 사학과 교수 陳衡哲이5) 사학회를 설립하여 학회가 생겨난 것 등이 주목된다 또한 북경대 연구소. 國學門을 통해 고힐강 호적 등이, 국고정리운동6)을 전개하여 疑古學派를 형성하는 등 학파도 형성되지 만 안정적인 연구에만 몰두하는 학술기구의 역할을 하기는 어려웠다.7) 한편 民國 初 과학과 학술 연구 등의 개념이 서구에서 들어온 이후, 그 함의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가 1923년 과학과 인생 현학 논쟁 이“ ( ) ” 과학의 승리로 끝나면서 과학주의가 뿌리내리게 된다.8) 이렇게 자연과 학 연구에 대한 중요성과 과학구국 사상이 대두되면서‘ ’ 1924 4년 월 런 던 중국학회 학술회의에서 蔡元培가 프랑스를 모방한 자연과학 연구기 관인 과학원 설립을 주장하고 孫文이 1925년 설립을 준비시키면서 년 가 학술기관을 설립하였다 하지만 이는 학술기구라기

1926 汪精衛 .

보다는 훈정시기 정치인 양성기구에 불과했기에 李石曾이 1927 4년 월 일 중앙정치회의에서 중앙연구원 건립을 제안하였고 무한정부와 대 17

치상태에 있어 이석증과 채원배 오치휘 장정강 등의 도움이 필요하였, , 던 장개석은 이를 수락하였던 것이다 이것이 중앙연구원 설립의 과정. 이었고 이를 볼 때 중앙연구원은 서구의 학술기구의 성립과정과는 달

5) 中央硏究院八十年史編纂委員會 編,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1 (臺北: , 2008), p.21.

中央硏究院出版近史所刊行

6) 국고정리운동에 대해서는 로렌스 슈나이더 나현수 역, ,국학운동과 중국의 신 사학 (민두기, 중국의 역사인식 하 창작과 비평사, , 1985) 참고.

7) 劉龍心, 學術與制度-學術體制與現代中國史學的建立 (新星出版社, 2008.8), p.95.

8) 중국의 과학주의에 대해서는 齊藤秋郞, 中國革命 知識人 (東京: 硏文出版, 1998), p.293.

(5)

리 국가 주도적 경향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9)

한편 북양정부시기 나타났던 교육과 학술을 정치권력이 농단하는 폐단을 없애기 위해 교육의 학술화 학술의 연구화를 체현할, 大學院制 가10) 채원배 주도로 준비되면서 중앙연구원 역시 이와 보조를 맞추어 준비되어갔다. 1927 7 <년 월 중화민국대학원중앙연구원조직조례 도 작>

성되었다 전국의 학술계 대표자. 30인이 모여 작성하였는데 여기서 중 앙연구원은 대학원에 설립된 별도의 조직조례를 지닌 중화민국최고과‘ 학연구기관 으로 명시되었고 중앙연구원 조직은 크게 행정 평의 연구’ , , 로 정해졌다 주요한 임무로는 첫째 과학연구를 실행한다 둘째 학술. “ . 연구의 연계와 장려를 지도한다.”11)라고 규정하였다 당시 모인. 30인

, , , , , , , , ,

蔡元培 諶湛溪 曾昭掄 吳承洛 李煜瀛 周覽 曹梁厦 宋梧生 郭任遠

, , , , , , , , ,

張廷金 李熙謀 周仁 王小徐 胡剛復 葉元龍 陳寶鍔 陳世璋 吳蘊瑞

, , , , , , , , ,

黃振華 王進 張滙蘭 張信孚 王世杰 彭學沛 張乃燕 王星拱 張溪若 등은 자연과학자가 반을 차지하는 상황이었다 이들

, , .

孔韋虎 高魯 楊銓

은 채원배 원장과 총간사 楊杏佛이 주도하여 理化실업연구소 지질연, 구소 사회과학연구소와 관상대의, 4개 연구소를 上海에 우선 설립할 때 거의 참여하였다.

9) Shiwei Chen은 국가의 전체목적에 부합하는 소련 국가과학원의 출발과 같은

것으로 영국의 왕립학회와는 다른 성격이라고 본다.

10) 중앙에는 교육부 대신 대학원을 두어 교육을 관리하고 지방은 대학구로 편성 하는 체제였다 대학교가 교육부 대신 교육을 관할하게 되므로 학술과 학문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정치적 압력과 중소교육계의 반대 등으 로 폐지되게 되고 교육부로 대체되어 교육과 학술의 중앙집권화를 도모하게 된다.

11) 革命文獻 -抗戰前敎育與學術 第53 , p.352. 실업연구소

理化(上海)

전기학 王季同, 溫毓慶, 葉元龍 張廷金,

화학 王璡 曾昭掄 宋梧生 陳世璋 張乃燕 曹梁厦 吳承洛, , , , , , 물리학 丁變林 胡剛復,

공정학 周仁

지질연구소 翁文灝 朱家驊 徐淵磨 李四光, , , , 李濟 丁文江( 1930년 참여) 표 중앙연구원 초기 연구소와 연구원

< 1>

(6)

년 말 연구소 설립은 에 두는데 주력하는데 이는 의 자

1927 上海 日本

연과학연구소가 상해에 있으면서 문화침략을 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주도되어 중화교육문화기금 이사회에서 50만원을 지원받아 이화실업연 구소가 건립된 것을 볼 때 연구소는 단순한 학술연구가 아닌 민족문제 와 연관되어 진행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소는 자연과학 위주로 설립되었는데 1923년 과학과 현학 논쟁에 참여했던 과학그룹의 丁文江(지질학자,1887-1936), 任鴻寯(수학 자, 1998-1961), 唐鋮(심리학자, 1891-)이 모두 참여하고 있었던 것이 이를 반영하며 점차 학문 분과도 11개에서 16개로 확대되고 있었다.

그런데 1928 3년 월에 계획에 없던 史語所가 傅斯年 顧詰剛, , 楊振聲 을 준비위원으로 하여 廣州에서 설립된다 원래 채원배와 양행불은 심. 리연구소를 설립할 계획으로 唐鋮, 傅斯年 등 6명을 준비위원으로 진 행 중이었는데 부사년이 역사어언연구소의 설립을 요청하면서 역사언“ 어연구의 중요성 때문에”12) 당초 설립하려던 심리연구소는 오히려

년 초로 설립이 늦춰지고 사어소가 먼저 설립되게 된다

1929 .13)

중앙연구원의 설립이념과 의 탄생

2. 史語所

의 설립은 당시 중앙연구원 설립과정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 史語所

다 대학원 제도가. 1928 4년 월에 일년여 만에 폐지됨에 따라 중앙연구 원은 행정부인 교육부와 대등한 국립 국가기관이 되었다 그러나 이석.

12) 革命文獻 -抗戰前敎育與學術 第53 , p.356. 13)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1 , p.16.

사회과학연구소 (上海)

민족학 蔡元培 사회학 陶孟和

사회주의자 李煜瀛 경제 및 사회사상가楊杏佛

역사학 胡適 국제법 周鯁生

금융학 楊端六 은행학 馬寅初

경제학 葉元龍 경제가 孫科

관상대(南京) 천문기상학 高魯 기상학 竺可楨 천문물리학 余靑松

(7)

증은 채원배와 견해를 달리하게 되면서 본래 중앙연구원의 분원이던 을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 하여 에 건립하고 본인이 소

北平硏究院 北平

장이 된다.14) 따라서 중앙연구원은 중앙집권적인 국가형태를 지향하는 남경국민정부의 정책방향 속에서 국가차원의 학술기관으로서의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요구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대학원제도가 폐지되어 교. 육이 행정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도 학술은 중앙연구원이 좌우하게 되 는 체제이며 교육부와 동급의 기구였다는 점은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국립중앙연구원으로 명칭이 바뀐 이후 국가기구로서의 성격과 지향 은 보다 분명해졌는데 1928 6 9 1년 월 일 차 원무회의에서 선진국의 중“ 앙연구원 국가학회 전국연구회의, , (NRC)등을 종합하는 것이 중앙연구 원의 사명이며 당국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것이다.”15)라는 것을 볼 때 국가기구로서의 선진국의 학술기관의 모습을 지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후 국제학술회의에의 참석이 활발해 지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 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지향점이 반드시 일치했던 것만은 아니었다. . 년 이래 원장 와 간에 갈등이 생기게 된 뒤 중앙연

1929 蔡元培 蔣介石

구원은 정치적 압력을 받게 되어 연구소를 모두 南京으로 이전하도록 조치가 취해졌고 이에 1929년 廣州에서 北平으로 이전했었던 史語所는 년 다시 으로 옮기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중앙연구원은 학술

1933 南京 .

의 자유와 독립을 통해 선진국의 수준으로 학술을 발전시킨다는 목적 과 중앙정부의 소속기관이라는 성격 사이에서 갈등을 일으킬 수 밖에 없었다.

한편 국립중앙연구원(Academia Sinica)은 학술평가의 기준을 과학에 둔다는 의미의 최고과학연구기관이란 명칭에서 1928 11 9 <년 월 일 조 직법 에서 중화민국최고학술기관으로 명칭을 바꾼다 이는 당시 서구> . 의 대학이 역사와 언어학 신학 등의 학문을 과학방법을 기초로 하는,

14) 대학원제도의 폐지를 둘러싼 인적 정치적 갈등과 원인에 대해서는, 金以林, 1895-1949 ( : , 2000), pp.160-183을 참조. 近代中國大學硏究 北京 中央文獻出版社

15) 中央週報 (民國19 1 1 , 月 日 南京; 革命文獻 -抗戰前敎育與學術 第53 ), p.383.

(8)

학과로 성립하고 이를 통해 직업적인 전문가를 양성해 내고 있는 점을 주목한 독일 유학 출신자 즉 朱家驊 蔡元培 傅斯年, , 등의 견해를 반영 한 것으로16) 史語所의 설립도 이러한 인문학의 과학화 라는 서구 학술‘ ’ 개념의 차용과 이를 통해 학과의 직업인 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진행된 것이었다.17) 이는1930년대 중반10개의 연구소가 1940 23년 개 로 확대되는 이유와도 관련이 있다.

직업인 양성과 관련해서는 1928 <년 국립중앙연구원연구소조직규정>

및 연구원을 보면 알 수 있는데 규정에서는 자격규정은 초빙연구원은 대학을 졸업하고 3년간 성과가 있는 자 전임연구원은 대학 졸업 후, 만 9년 이상 학술에서의 중요한 공적이 있는 자로 자격심사제도를 엄 격히 정하였음이 보인다 또한 연구원들은 원장과 총간사를 포함한 소. 장 18명은 유럽 유학자 3 ,인 영국과 미국 유학자 15인으로 전원 유학 출신자이며 미국유학출신자가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또한 박사학 위 취득자는 명 석사학위취득자는 명 학사취득자는 인으로 고학력8 , 4 , 3 출신자들이었다는 점에서 원장과 총간사 소장들 또한 대학교장 부교. , , 장 교수나 주임을 역임한 자들이며 각 분야의 권위자로서 명성을 지, 닌 지식인을 포괄하여 최고의 권위 있는 기관을 지향했음을 알 수 있 다.18)

이상을 살펴보면 사어소의 설립은 국가의 학술역량의 증대라는 차 원에서의 요구와 대학원제 하의 중앙연구원이 국립중앙연구원으로 변 화되면서 보다 포괄적인 학술기관의 설립과 선진국 수준에 부합하는 학술기관의 성격을 지니려는 목적과 의도 속에서 인문학의 과학화 전, 16) 채원배는 부사년과 북경대학의 사제간이었고 부사년과 주가화도 독일유학이 래 친분이 있던 사이였으며 부사년과 호적도 북경대학의 사제관계여서 모두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17) 서구에서는 협의의 개념이라 할 자연과학을 핵심으로 하는 과학science의 이 념이 더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 즉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포함하는 로 전화되고 있었기에 이를 담아낼 수 있는 학술이란 용어가 사 Wissenschaft

용되었던 것이다(陳時偉, 위의 논문).

18)潘丙國, 南京國民政府時期中央硏究院體制之硏究 (河南大學碩士論文, 2009 5 ), pp.19-21.

(9)

문직업연구자의 양성이라는 서구의 학술경향을 수용하려는 부분이 충 족되면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중앙연구원 와 근대 역사학의

. 史語所

제도화 과정

과학적 동방학의 정통 수립 1.

의 설립은 어떠한 취지에서 이루어졌는가 설립과정에서 주도. 史語所

적 역할을 한 傅斯年19)은 1928 5년 월 歷史語言硏究所集刊 의 창간호 에 역사어언연구소 공작의 취지 <歷史語言硏究所工作之旨趣>20)라는 강령적인 글을 발표했다 이를 보면 연구소 설립은 동방학의 정통을. 되찾는다는 목적에서 설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는 서구학자의 중. 국연구인 Sinology(지나학 는 동방에 대한 연구인 이집트학이나 앗시) 라이학과 같은 의미로 중국에서도 서구의 동방학 수준의 중국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은 랑케의 사학과 독일의 역사학 연구의 영향을 받아 언어는 傅斯年

사상이며 민족의 언어는 민족 정신상의 富가 되며 비록 역사를 사상으 로 표현하지는 않았으나 민족의 역사는 민족정신상의 富라고 보았다. 역사학 퇴보의 이유는 직접자료를 보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과 더욱 자료를 확충해 나가지 않은 것 사료 확충을 위한 수단이 없는 것 등, 을 들었다 또한. 國故라는 개념과 용어는 반대했는데 이는 중국학에는

19)1896-1950 ,년 산동 출생, 1913년 북경대 예과 진학 국학심취, , 1916년 여름 본 과 국학문에 진학 장태염의 영향을 받았으나 신문화 운동 뒤 호적의 영향을, 받고 변화, <新潮>창간 영국 독일 유학 후, , 中山대학으로 오게 되었다(欧阳

, , 1996 5 ), p.7).

傅斯年北京大學 北京大學學報

20) 傅斯年, 歷史語言硏究所工作之旨趣」 「( 歷史語言硏究所工作之旨趣, 中央硏 , 1928.10), pp.3-10.

究院歷史語言硏究所集刊

(10)

여러 다양한 학문이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생각지 못하게 하기 때문 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중국역사학과 언어학 연구는 중국인의 책임이 된다고 본 다 그런데 중국 자체가 풍부한 자료를 본래 지니고 있음을 주목하자. 고 하면서 중국의 역사에는 사마천 이래 역사학문의 맹아가 존재하고 의 역사학파가 근대 역사학의 실마리를 제공했지만 강희시대 요절 浙東

하였다 언어학도 유럽이 오히려 중국보다 발전하여 중국의 언어와 역. 사에 대한 漢學의 수준이 유럽이 더 높은 실정이므로 이러한 서구 동 방학의 지위를 중국어와 중국에 대한 이해에서 서구학자보다 우위에 있는 여건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자해독 문적의 고증 사실의. , , 판별을 하는 역사학과 언어학을 분과학문으로 건설하고 개인의 고립연 구가 아닌 집단적인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동방학의 정통을 되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과학적 동방학의 정통을 수립을 목적으로 史語所는 중국 역 사자료의 대규모 발굴과 사료의 집대성을 중시하고21) 개인연구로는 이룰 수 없는 전문화된 집단연구 방식을 강조하게 된 것이었다.

그러므로 傅斯年은 역사학과 언어학의 현재까지의 발전은 이미 개“ 인이 고립되어 연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미 도서관과 학회가 제공. 하는 자료를 의지하며 단체에 의지하여 재료를 찾아야 하며 또한 연구 환경이 있어야 서로 돕고 인증하고 교정할 수 있으니 고립해서 연구해 서는 안 된다.”22) 라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이전부터 있어왔던. 것으로 유학을 다녀온 이후 더 확고해져서 프랑스의 연감학회나 잡지 하나로 연결되는 禹貢학회와 달리 사학연구전문기구가 필요하며 사어 소는 이러한 근대적인 집단연구의 학문방식을 고수할 것이라고 했었 고23) 그러므로 북경대학 국학문 연구소의 느슨한 인력양성과 체제에

21)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1 , p.33. 22) 傅斯年, 위의 글, p.10.

23)胡逢祥,現代中國史學專業機構的建制與運作( 史林 , 2007.3), p.162;孔祥成, 위의 논문(20025 ), p.106.

(11)

대해 반대 하였던 것이다 또한 초기. 史語所 설립 준비에 참여했던 顧 등과 반목하게 되어 고힐강이 북평연구원의 사학연구소 활동에 詰剛

주력하게 되는 것도 연구원체제의 방식 때문이기도 하였다.

전문가 집단에 의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사료의 발굴 때문이었는 데 부사년은 사학은 사료학 이라는 관점을 사어소의 중요한 취지로 설‘ ’ 명하였다 중국의 장점인 풍부한 자료를 발견하고 고증하는 것이 역사. 학의 임무가 되므로 새로운 사료를 더욱 많이 발견하고 찾아내고 정리 하는 것이 중요했다 즉 지방지에서 작게는 개인일기 멀게는 석기시. “ , 대의 발굴에서 가깝게는 洋行의 무역책까지를 수집 탐구 하는 것이 필” 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새로운 사료를 찾는데는 서구의 실증주의 학문. 방법인 위로는 하늘까지 아래로는 황천까지 손과 발로 자료를 찾는“ 다. 上窮碧落下黃泉 動手動脚找東西”를 추구했는데

학문은 연구에 응용할 공구를 확충할 수 있어야만 진보할 수 있고 그 렇지 못하면 퇴보한다.…현대의 역사연구는 이미 각종학과의 방법을 모아 이루어졌다 지질 지리 고고 생물 기상 천문학 등은 역사문제 연구의. , , , , , 공구를 제공하지 않음이 없다. 顧亭林이 역사사적을 연구할 때 스스로 지 형을 관찰하려는 뜻은 비록 좋지만 과연 그가 현재 서양인에게 들여온 일체 자연과학공구를 응용했다면 더욱 탁월한 성과를 내지 않았겠는가? 만약 자연과학의 도움이 없었다면 역사학의 문제는 해결할 수 없었을 것 이다.24)

라고 한 것은 자연과학의 도구 즉 지질 기상학 고고학 등 자연과학방, , 법론의 역사학에의 적용을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25) 이는 고힐강 등 의 가 과학적인 고고학을 적극 수용하지 않은 것에서 古思辨 疑古學派

한발 나아간 것으로 볼 수 있다.26)

24) 傅斯年, 歷史語言硏究所工作之旨趣와 영국의 역사가 Trevelyan의 방법을 차용,杜正腾 「从, 疑古到重建-傅斯年的史 革命及其 胡适顾颉刚 关 (

, 1995), p.231.

中 文化 第十二期

25) Shiwei Chen, Government and Academy in Republican China:History of Academia Sinica, 1927-1949 (Harvard Univ., 1998), p.109.

26) 李春雷, 傳承與更新 留美生與民國時期的史學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2)

전통 혹 인의예지와 기타 주관을 역사학과 언어학으로 혼재하는 사 1.

람은 절대 우리의 동지일 수 없다 둘째 역사학 언어학을 생물학 지질학! , , 과 마찬가지로 건설하려해야만 우리의 동지이다!27)

라고 하여 전통역사학과 단절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신흥 맑스주. 의 사학 등 蕭一山 錢穆 呂思勉 張 麟, , , 荫 등의 사관 사의를 중시하는, 사학과도 다른 입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그는 단순한 자료의 모음. 인 청대 고증학 방식과 달리 경험적 분석적 기초로 이루어지는 과학적 방법론을 중시했던 것이다 즉 서구과학방법의 차용을 강조했고 언어. 학과 고고학 방법을 근대 역사학의 연구방법으로 세워 전통적 역사연 구방법과 사회과학방법을 운용하는 연구방법을 배제하려 했던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우선 남아있는 역사자료와 문헌의 이용과 지하문물 재료와 오랫동안 봉인된 당안 자료와 같은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정리 등에 사용되었고 제도적 차원에서도 연구소의 설립으로 운용될 수 있 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는 궁극적으로 중국역사에 한정된 민족본위의. 역사학 건립과 관련된 것이었다.28)

년 스타인의 활동에 대해 중앙연구원 원장 채원배가 중앙정부 1930

에 보낸 편지에는

스타인의 수차례의 신강 감숙 방문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논하면 문… 물을 탈취한 것이며 주권을 무시한 것이다 이전에는 우리나라 학술이 개. 척되지 못하여 우리나라에 전문적인 고고학자가 그 일을 담당할 수 없다 는 구실이 있었지만 지금 국내학술은 예전 같지 않고 고고의 성적은 이 미 볼만하다 우리나라 경내의 과학재료는 우리나라 학자의 연구에 우선. 사용되어야 한다 비록 세계의 공유를 방해할지라도 우리의 주권을 돌아. 보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의 주권을 무시하는 것이 이처럼 심대하니… 우리나라의 국방과 학술과의 관계도 이처럼 크다.…외교부는 그의 여권… 을 취소하고 사료를 보호하고 문화를 존숭하여 도굴을 징계하며 국권을

2007), p.124.

27) 傅斯年, 위의 글, p.10.

28)歐陽哲生,胡適先生與中硏院史語所( 中國文化硏究 199926 ), p.50.

(13)

수호하였다.29)

를 보면 국내 고고학의 성과를 비롯한 국내 학술의 성과가 국제수준을 따라가고 있으며 중국 내의 유물유적 등에 대한 주권보호를 국가적 차 원에서 시행해야 한다는 인식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물 유적의 국. 제적 수준의 발굴과 중국 내 사료의 정리는 주권보호의 의미를 지녔던 것이다. 1929년 국민정부의 위탁을 받아 아직 미흡한 수준이지만 <채 굴조례 를 제정해 외국인의 중국 내에서의 과학고찰활동 전반에 대한>

관리의 틀을 규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었다 이러한 중앙연구원의 활동. 과 관련하여 살펴볼 때 史語所의 설립은 전문가 집단에 의한 역사언어 연구를 통하여 학술과 주권의 문제를 해결하고 동방학의 정통을 되찾 기 위해 설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학술연구와 국가의 주권보호와의 밀접성은 9.18 이래 日本의 침략에 대한 준비가 실질화 되면서 더 중시된다. 傅斯年은 胡適과 함께 獨立 에서 정치적 민주화를 요구하면서 장개석 정권에 대한 비판을 전 評論

개하였지만 동시에 중앙연구원의 연구방향은 국가위탁의 연구에 집중 하는 방향으로 흘렀다. 1933년 총간사 丁文江은 소련을 방문하고 소련 정부의 과학자의 활용이 성공적이라고 본 뒤 균등한 재정분배 방식의 연구비 지원 방식을 바꾸어 연구소에 대해 차등 지원을 하였고 각 연 구소는 이에 따라 국가정책을 지원할 연구의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청 받게 된다 그러므로. 史語所의 활동 또한 이에 영향을 받게 되었던 것 이다 다만 초기 분권제적 운영방식에 의해 사어소의 운영은 부사년. 소장에 의해 주도되고 채원배 호적 주가화와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 정책적 지원 또한 유지될 수 있었다.

전문가 집단 의 형성과 활동

2. 史料學派

29) 陳時偉, 위의 논문.

(14)

1) 史料學派의 형성

는 과학적 동방학의 정통을 수립한다는 설립의 목적에 부합 史語所

하기 위해 제도적 차원의 조직과 연구원의 훈련과 체제의 정립을 이룸 과 동시에 사료의 발굴과 수집 정리에 대한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하, 였다.

중앙연구원의1928 <년 국립중앙연구원연구소조직규정 에 따라> 史語 도 같은 규정에 의거하여 1928 7년 월 정식으로 설립하였으며 1928년 所

월 일에는 광주 중산대학에서 나왔다 이어 개월 안에 국내 역사

10 22 . 4

계의 상당한 권위자인 18명의 중국학자와 4명의 외국학자를 망라하였 다 이후. 1929 6년 월 北平으로 이전하여 조로 재편성하고3 1934년 사 회과학연구소내의 채원배가 담당했던 민족학조를 참가시켜 개의 조를4 구성했다.

연구소의 조직을 보면 소장 傅斯年, 주임은 사학조 陳寅恪, 언어학조 고고학조 민족학조 이었고 그 하에 전임

, , ( )

趙元任 李濟 吳定良 凌純聲

연구원 통신연구원 전임부연구원 조리연구원, , , , 助理員, 技士, 관리원의 직급을 두었다 특히 진인각은 독일에서 부사년과의 인연이 있었을뿐. 아니라 각국의 언어와 문자에 능통하여 사료의 해독 능력이 매우 뛰어 났던 점에서 史語所 설립취지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인물이었다.

이외 중앙연구원의 평의원이자 사어소의 통신연구원인 胡適은 인문 연구를 중시하였기에 1928년 북경대학 문학원 원장으로 재직시 부사년 을 지원하고 史語所의 통신연구원 직위로 조원임 진인각 이제 동작, , , 빈 이방계 등 사어소의 전임연구원들과 교분을 쌓아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재정지원의 측면에서는 傅斯年과 中基會의 이사장인 채원배와 호적 의 관계로 사어소는 중앙연구원의 연구소별 재정지원 외에 여러 방면 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1930 6년 월 경비의 부족을 겪고 있을 때

년 월 천 백 원의 보조를 받았고

1931 1 6 5 20 30) 1931년부터 매년 만원의3

의 보조금을 받게 되었다 또한 중앙연구원의 재정적 어려움으. 中基會

(15)

로 채원배가 사어소의 지급액을 줄이려 할 때 부사년이 1만원을 다시 요청하여 연구원 월급 지급 외에 출판간행 도서확보 유적의 발굴과, , 수집정리 비용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비교적 재정적 확보가 원활했던 사어소는 1930년에서 1937 년까지 전임연구원을 30등급으로 나누고 매 급마다 10원을 인상시키는 것으로 표준화했는데 이는 연구원의 직업화를 의미한다 또한 전임연. 구원의 경우 당시 북경대학 교수의 월급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경제적 으로 상당히 안정적이었으므로 전문가가 지속적으로 임용될 수 있는 체제였다.

부사년은 연구자는 정치에 관여하지 말 것을 강조하고 표준화된 연 구를 시행할 전문가 양성에 주력했다 즉 조직법 제. 1조의 연구소외“ 일은 모두 취소한다 고 하여 연구원의 겸직을 금하는 전임연구원 체제” 를 형성한 것 전임연구원들이 신진 조리원이나 견습 조리원을 지도하, 는 방식 등이 그러했다.31) 따라서 사어소의 전임연구원 확보비율은 중 앙연구원의 전체 전임연구원 확보비율처럼 높은 편에 속하였다.32)

이외 부사년은 연구소 활동의 원칙도 제정하여 집단연구의 방향을 규정했다 즉 사료의 수집과 정리의 원칙을 있는 그대로 추가하지 않. ‘ 으며 증거로 말한다 는’ “存而不朴 証而不疏, ”였다.

재료를 직접 연구할 수 있어야 진보할 수 있다 이전에 연구된 바

(1) .

나 이전에 창조된 계통을 간접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나 포함한 사실을 세 밀하게 참고하지 않으면 퇴보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가 소위 과학적 연구. 이고 아래가 바로 書院방식의 연구이다.

학문은 다른 연구 재료를 확장할 수 있어야 진보하는 것이고 그럴 (2)

수 없으면 퇴보하는 것이다.…재료가 확충될수록 학문은 진보할 수 있다. 을 이용한 연후에나 역사를 쓸 수 있고 의 기재를 이용할 수 있

檔案 他國

는 이후에나 다른 역사사실을 고찰할 수 있다.

30)미국대사였던 호적은1940년 미국 국회도서관에 보관했다가50년대 대만으로 가져와 사어소에 보관하게 했다(歐陽哲生,위의 논문, p.46).

31)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2 , p.9. 32)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1 , p.22.

(16)

일종의 학문은 연구를 할 때 응용할 를 확장하여야만 진보할

(3) 工具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퇴보한다.33)

고 하여 “史料 즉 史學”이라는 관점으로 연구의 방법 또한 전문적으로 세밀하게 실증하는 것을 중시했다 또한 역사연구는 새로운 사실의 발. 견으로 진보해 가는 과학적 과정임을 강조했다.34)

이러한 연구원칙에 따라 연구성과는 단행본 집간 집간외편, , 4책 등 종류의 간행물로 출판되었고 에 실린 논문의

3 中央硏究院史語所集刊

성격으로 史料學派라고 칭해지게 된 것이다 즉 발표된 글은 문헌정리. 나 사적고증 등이 백 여 편 문화사관련 글이, 134편으로 전체 5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35) 史語所 성립 시 함께 참여했던 특약연구원 顧頡 도 연구방향의 차이로 견해를 달리하자 논문을 게재하지 못 ,

剛 馮友蘭

하였고 전통사학에 가까운 錢穆 柳 徵 蒙文通, 詒 , 역시 게재할 수 없었 다.36)

한편 傅斯年은 사료의 대규모 발굴에 전문적인 능력을 지닌 인재의 선발을 위해 또한 <조직법 에 따라 연구원을 대학의 졸업자에서 충원>

해야 했기에 엘리트선발 ‘拔尖主義’을 내세우고 북평으로의 연구소 이 전을 결정했다 당시 광주에 있던 연구소가 북평으로 이전한 것은 북. 경대학 사학과가 북경에 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부사년은1929년 가을부터 1936년 봄까지 북경대학교 사학과의 강사 로 임직하고37) 1930년 통신연구원인 호적은 중고사상사 사어소 연구, 원인 李濟 梁思永, 은 고고학 인류학, , 董作賓, 唐蘭은 갑골문자연구, 徐 는 은주사료고증, 은 남북조고승전, 은 중국사학명저평

中舒 陳寅恪 陳垣

론, 元史 史源學實習, 등을 강의하였다 이들의 출강 결과 북경대학의.

33) 傅斯年, 위의 글, pp.8-9.

34)荣颂,史料 派 中学 对 国历 学史 成 的长 贡献」( 史林 20022 ), pp.88-89. 35) 孔祥成, 위의 논문, p.107.

36) 歐陽哲生, 위의 논문, p.48.

37) 國立中央硏究院文書處, 國立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十七年度報告 (尙小 위의 논문 에서 재인용

, , p.83 ).

(17)

학풍은 변화하게 되고38) 북경대학 사학과의 주임 朱希祖의 과정편성 에 대해 부사년이 상식교육일 뿐이라고 비판하면서 전문가교육의 필요 성을 주장하고 그 결과 1931년까지 사어소의 연구원으로 있던 朱希祖 가 부사년과의 견해 차이로 북경대와 사어소에서 나오게 된다.39) 더우 기 1930년 말 胡適이 문학원 원장 겸 중문과 주임이 되면서 사학과의 일을 좌우할 수 있게 되었고 주희조를 이어 중앙연구원의 통신연구원 가 사학과의 주임이 되자 부사년은 1931 , 1932년 년의 북경대 사 陳受頤

학과 과정지도서 작성에 깊이 관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史語 의 작업취지와 동일한 엄격한 훈련의 강조 충분한 공구에 대한 파, 所

악 즉 목록학 각종언어 사료의 언어 파악 등 세 가지의 강조가 과정, , 지도서에 반영되었다.

년과 년의 사학과의 과정

1931 1932 40)을 보면 전문가 훈련에 가까운 사료연구와 단대사 수업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과정 은 부사년이 완전히 남하한 1936년 이후에도 사학과 주임 姚從吾에 의해 유지되고 1945년 부사년이 북경대학 대리교장이 된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므로 중앙연구원 사어소의 연구원은 주로 북경대학 출신자로 충원되었다. 1932년에勞幹, 1934년 胡厚宣, 1935년 全漢升과高去尋,

년 년 이외

1938 余文豪, 1944 楊志玖 鄭逢源 王玉哲 劉熊祥 方存余, , , ,

38) 革命文獻 -抗戰前敎育與學術 第53 , p.394.

39) 胡逢祥, 現代中國史學專業機構的建制與運作 ( 史林 2007.3), p.172, 당시 북경대학 사학과는 청화대학과 연경대학 학생들의 활발한 활동에 비해 침체되 어 있었고 호적이 문학원장이 된 이후 바뀌었다(桑兵, 近代中國學術的地緣與

, 3 , 1999), p.41).

流波 歷史硏究

40)1931년과1932년의 사학과의 과정은 갑 일반과목 중국상고사 한위사 송사( ) , , , 만주개국사 명청사료택제연구 구주중고사 서양근대사 전후국제현세 중국사, , , , , 회정치사 중국근삼백년학술사 중국사료목록학 금석학 고고학 을, , , , , (專題연구) 역사연구법 중국근대외교사 중국고대문적문사사 청대사학서록 상서연구 중, , , , , 국철학사 중국불교사 중국정치사상사 중국역사지리 서장사 남양사지 근대, , , , , , 중국문화접촉연구 프랑스대혁명사 일본근세사 동양사 과학발달사, , , , , 中國雕版

동양건축사 서양건축사였다 위의 논문

, , ( , , p.83).

尙小明

(18)

, , , , , , , , 楊二人 傅樂煥 張政烺 李方晨 吳廷璆 楊向奎 李樹桐 何玆全 王

, , , , , , , ,

樹民 張政烺 傅樂煥 鄧廣銘 王崇武 王毓銓 杜呈祥 吳相湘 王德 등이었고 비북경대학 출신의 경우는

, , ,

昭 金寶祥 高亞衛 周一良 陳

등 소수뿐이었다 이 가운데 노간은 전임연구원이었고 고

, .

述 嚴耕望

거심과 전한승 왕숭무 부락환 장정랑은 전임부연구원으로 조리연구, , , 원이 된 이후 전임연구원과 일정정도 작업을 한 경우에만 전임부연 구원이 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인력의 충원과정이나 방식은 갈등. 도 일으켜서 항전기간인 1942년 陳寅恪이 사어소를 떠나게 된다.41) 이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부사년의 의지와 별개로 사어소의 연구방식은 개별연구자의 자유로운 연구를 어렵게 하였음을 보여주 는 것이라 하겠다.42)

통신연구원 胡適 陳垣, ,高本漢, 顧頡剛, 馬衡 徐炳昶 翁文灝, , ,

, , , , ,

陳受 徐中舒 羅常培 陶德思 梁思成 趙万里 전임연구원 傅斯年, 陳寅恪, 岑仲勉

, , , , , ,

趙元任 李濟 董作賓 李方楏 梁思永凌純聲 , (1932), ,

丁聲樹 勞澣 陳槃 郭寶鈞

전임부연구원 全漢升(1935), 董同龢 張政, ,夏鼐, 高去尋(1935),

, , , (1934) (1938)

傅樂煥 王崇武 李光濤 楊時逢 胡厚宣 余文豪 조리연구원

표 연구원 체제와 명단

< 2> 歷史語言硏究所

물론 당시 淸華大學의 경우 국학연구소가 문을 닫은 뒤 사학과는 통사와 사회과학의 수업을 강조하여 북경대학과는 다른 학풍을 유지하 면서 활발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는 것과 반대로 북경대학은 다소 침체 되어 있던 실정이어서 사어소 연구원들을 통해 북경대학 사학과의 위 상을 높이는 작용도 하였지만 동시에 일종의 학벌을 형성한다는 비판 도 면하기 어려웠다.

41) 孔祥成,史語所與抗戰史學硏究 ( 河北學刊 231 , 2003.1), p.179. 42) 王晴佳,陳寅恪,傅斯年之關係及其他-以臺灣中硏院所見檔案爲中心 ( 學術

2005 11 ).

硏究

(19)

이는 연구소 조직 면에서도 나타나는데 1932 5년 월 陶孟和를 소장으 로 하던 사회과학연구소와 사어소가 합병되었다가 다시 분리하고 도맹 화와도 관계가 소원해졌던 것을 볼 때 연구방법이나 운영방식에서 독 자적 방식을 고집한 것 때문으로도 추측된다.43)

그러므로 사어소는 중앙연구원 내부의 인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재 정적 지원과 제도적 시스템을 갖춤으로 < 3>표 에서 보듯 가장 큰 연 구소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구체적 과정은 북경대학을. 중심으로 훈련된 인재의 선발과 이후 중앙연구원 내부의 훈련과정을 거쳐 전문가 집단을 양성하는 체제의 구축과 잡지의 발간 안정된 보, 수와 지원체제의 구축이었다 이는 이후 항전기간과 그 이후에도 지속. 적으로 인원이 증가될 수 있게 한 이유이며 근대 역사학의 제도화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44)

표 중앙연구원 각 연구소 인원

< 3> 45)

43) 사회과학연구소는 이후 옹문호의 자원위원회와 밀접하게 합작하고 현실경제 문제의 연구로 집중해서 근대경제사 공업경제 농업경제 국제무역 은행금융, , , , , 재정 인구와 통계를 연구하였다, (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1 , p.33). 44) 孫宅巍, 中央硏究院的來龍去令 ( 民國檔案 1997.1), p.122.

45) 革命文獻 -抗戰前敎育與學術 第53 , pp.368-369, pp.402-403.

1935년 내전기간

역사어언연구소 79 증가

사회과학연구소 56 감소

기상연구소 30-40

물리연구소 30-40 감소

지질연구소 30-40

공학연구소 20

동식물연구소 20 증가

천문연구소 20미만

심리연구소 20미만 9명

수학연구소 증가

의학연구소 증가

(20)

2) 史語所의 활동

사어소는 재정적 인적 연구체계를 구축하여 연구체제를 제도화 하 므로서 북경대학 연구소 국학문의 한계를 극복하고 淸華大學 및 社會

와는 별도의 연구방식을 정립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科學硏究所

가장 두드러진 성과는 제 조 고고학조에 의한3 1928년에서 1937년까 지 河南 安陽 殷墟의 15차례의 발굴이었고 이를 통해 세계학계의 주목 을 받게 되었다 특히 갑골학자. 董作賓이 명성을 얻게 되고 1933년 갑 골학은 역사연구의 주요한 내용과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의고 학파의 연구보다 발전된 것으로 간주되었다.46)

또한 시행착오를 거치는 과정에서 조사를 거쳐 발굴 연구라는 연구, 과정을 수립하여 먼저 중요발굴지역을 선정하고 조사 연구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1932년에서1933년까지, 1935년부터 1937년까지 의 묘를 발굴하고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선사이전의 유물 豫北 周代

발굴, 1931년 산동방면의 城子崖 유적지를 발굴하여 용산문화 유적지 를 밝혀내었으며 이외 1930년 동북방면을 발굴했다 발굴은 전쟁 중에. 도 지속되어1941년 중앙박물원과 공동으로 四川방면을 조사했고1944 년은 감숙의 돈황 漢唐의 유적지에 대한 발굴에도 착수하였다 연구는. 채원배가 지역정부의 협조를 요청하고 연구소의 재정적 지원과 더불어 과학적 집단 연구로 진행되어 성과를 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외 제 1조 史學租의 傅斯年, 陳寅恪, 陳槃 岑仲勉 全漢升, 등은 사학의 문제를 연구하고 사료를 정리하고 문적의 교정을 주요한 임무 로 했는데 버려질 뻔한 내각대고 당안 31만건을 확보하고 정리하여 년 명청사료를 출간한 것과 명실록의 교감도 진행했는데 역시 집 1937

단연구를 통해 가능한 작업이었다. 1931 2년 월 남경에서 일간 전람회4 를 열어 내외에 공개하기도 하였다.47)

46)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2 , p.4.

47) 革命文獻 -抗戰前敎育與學術 第53 , pp.384-385.

(21)

또한 居延漢簡을 정리하고 문적 고증을 진행했는데 명칭의 함의를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료의 정리를 위해 목록작성에 주력해. 서 금석학 관련 서적의 목록 민간문학서적의 목록 등을 저술하였다, . 태평양 국제학회의 위탁을 받아 <중국강역연혁사 를 저술한 것으로>

국제기구와의 연계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외 제 2조가 전국 방언 조사로 한족의 언어와 기타 소수민족과의 언어를 비교하는 연구에 주력하며 희극 설화책 잡곡 잡요 가요 잡, , , , , 문 등 민간문예자료 만 2천 건을 수집했다 이를 기반으로 제. 4조 민 족학조는 동북과 서남변경지역 각 민족의 원시문화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루어지지는 못했지만 체질연구소의 설립도 모색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확보된 자료들은 중국도서 14 만책 서양서적, 1만 천여책 아시아서적, 4000 ,책 석편 6만여편 민간문학 만여건이 되었고, 항일전쟁 후에는 北平의 일본인이 건립한 인문고고학연구소와 근대과 학도서관에서 중국도서 17만권 일본서적, 11만권 등을 접수하여 갑골 과 명청내각대고당안 등이 집중된 북평에 주임을 두어 자료들을 전문 적으로 관리했다.

그러므로 史語所는 언어 고고학의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사료를, 다량 확보하여 사료학파 활동의 중심적 공간으로 기능하였고 사료학‘ ’ ‘ 파 의 연구의 방법을 제도화 시키는 기능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 사회과학과 차별화된 분과학문으로서의 역사학의 훈련과정과 북경대 사학과와의 관계 등을 통해 실증적 역사연구의 생산을 제도화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광범위한 사료 수집과 발굴을 하고 상세한 고증은 했으나 종합을 하지 못하고 광범위한 역사이론의 창출을 이끌어 내지 못하였 다는 史觀學派의 지적을 받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어소의 훈련과. 정과 운영은 학술계의 자원배치의 불공정 즉 독점의 문제 및 공존을 불가능하게 하는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48)

48)王鳳靑, 傅斯年與傳統文化 (山東大學碩士論文, 2002 ), p.42; 胡逢祥,現代 ( 2007.3), p.173.

中國史學專業機構的建制與運作 史林

(22)

설립에서 선출까지의

3. 評議會 院士 史語所

중앙연구원은 설립 초부터 평의회 설립을 지향하였다 그 이유는 평. 의회는 전국의 학계를 연계하여 중앙연구원을 최고의 학술기관이 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장의 후임을 선출하므로서 정부로부터 최소 한 학술의 독립이 보장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49) 그러나 1935년까지 전국을 연계할만한 중앙연구원의 연구업적이 인정되지 못하였던 것과 양전 이 백색테러로 사망하자 채원배가 이에 정부를 비판했던

( )

楊杏佛

것 등의 이유로 설립되지 못하다가 양행불 사망 이후 총간사가 된 丁 에 의해 1935년 적극적으로 평의회 설립이 추진되었다.

文江

년 월 평의원 선정과정에서 볼 때 선발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1935 6

위해 북경대학을 비롯한 전국의 12개 대학과 중앙연구원 북평연구원, 개의 국립연구원 대표가 모여 선출을 했다 선출 당시 중앙연구원의

2 .

권위가 인정되어 각 연구소 원장 10인과 채원배가 포함된 11명과 그 외에 30명을 포함한 41명이 평의원이 되어 제 1차 평의회가 성립되었 던 것이다 평의원 선출에서 업적과 성과가 중요한 근거였다고 하면. 개 선정학과에 역사 언어 인류 고고학의 과목이 추가되고 평의원

14 , , , 4

으로는 역사조에 부사년과 胡適(북경대학문학원원장), 陳垣(보인대학교 장), 陳寅恪(청화대학역사과 교수 등 사어소의 연구원이 평의원으로 선) 발되었다는 것에서 학술적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라 할 수 있고 최고학 술기관으로의 권위 또한 확보될 수 있었다고 하겠다. 1935 11 4년 월 일

계 중전회 기념주에서 는 중앙연구원은

4 6 蔡元培

최고의 연구기관이지만 결코 일체 과학연구를 통제해서는 안 된다.

국가는 무엇이나 통제할 수 있다 다만 과학연구는 통제할 수 없다 왜, .

냐하면 과학은 권위를 알지 못하며 권위의 지배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

49)張劍,中國學術評議空間的開倉-以中央硏究院評議會爲中心( 史林 2005 6 ), p.89.

(23)

다 중앙연구원은 그 지위를 이용해서 시시각각 국내각종 관련기관과 연, 계를 맺어야 하지만 그들의 발전을 저해해서는 안 되며 혹 기계적 방법 으로 일체 연구의 과제를 지배해서도 안 되니 이것은 본원이 성립한 이 래 일관된 방침이며 이하 여러 보고된 사실들이 이를 증명할 것이다.50)

라고 중앙연구원과 관련기관의 관계 및 연구의 자율성과 독립성 등을 강조하였다.

그렇지만 중앙연구원은 1935년에서 1937년 간 평의회 회의를 차례3 열어 전국의 학술연구와 과학연구는 국가와 사회를 위해 복무해야 한 다고 호소하였다 즉 일본의 침략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일본과의 전쟁. 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의 요구에 스스로 부응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 라 중앙연구원은 국민정부가 1937 5년 월 국가의 경제건설계획에 맞추 어 전국학술연구기구에 3년 공작계획을 제정하게 하라는 요청에 따라 연구소의 연구과제 담당자명 연구경로 예측되는 소득 결과 등에 대, , , 해 상세히 기입할 것 정리와 편제 인쇄하여 결과를 공적기관에서 참, , 고하는 자료로 한다는 지침을 제시했다.51) 그러므로 중앙연구원은 채 원배가 사망한 1940년까지 국가의 수요에 부응하면서도 직접적인 관여 는 배제하고자 하는 운영의 특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전쟁 중 채원배가 사망하자 원장의 선출을 두고 장개석이 개입하게 되었을 때 傅斯年은 이를 비판하는 와중에 朱家驊가 대리원장으로 임 명이 된다 나아가. 1942년 3월에는 중앙연구원을 교육부와 고시원에 합병하고자 하는 안이 제기되고 심지어 교육부가 평의회를 따로 구성 하고 이 평의회에 재정지원을 하게 되자 중앙연구원의 위상과 권위는 매우 위태로워지게 되었다.52)

그러므로1947 3년 월 국민정부가<국립중앙연구원조직법 을 수정공>

50) 中央週報 第387, 388合刊, 1935.11.11 ( 革命文獻-抗戰前敎育與學術 ), p.438.

51) 段異兵 樊洪業, , 1935 年中央硏究院使命的轉變 ( 自然辨證法通訊 22 129 , 5 , 2000), pp.73-75.

52) 左玉河, 從中國學會到學術審議委員會 中國現代學術評估體制的建立: ( 社會 , 2008.5), p.162.

科學硏究

(24)

포하고 院士를 설치하기로 하자 내전이 발발한 상태에서도 중앙연구원 의 위상을 세우기 위한 학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졌다.

의 선출은 중앙연구원이 전국학술기관의 최고기관으로의 권위 院士

를 부여하는 작용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그 자격에 대해 부사년은 민 족주의의 잣대를 기준으로 내세웠다 부사년은 사어소의 연구원들과. 함께 항일전쟁 기간 계림 곤명 중경 부근의, , 李庄등을 옮겨가며 명맥 을 이어나갔기에 원사선출에서 漢賊不兩立을 주장하여 실제 2명을 제 외시켰던 것이다 이를 보면 중앙연구원의 학술독립과 자유 는 정권의. ‘ ’ 개입을 거부하되 국가와 민족의 자주와 독립은 추구한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부사년 등이 호적을 채원배의 후임 원장으로 선출할 때. 호적은 학문공동체의 권리 이상 포기하지 않는 힘을 상징하기 때문“ , , 이라는 이유 로” 53) 추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또한 호적과 부사년과. 이 일부 평의원이 을 문제 삼은 갑골문학자 곽말약을 원사

董作賓 親共

로 추천한 것54) 역시 자유주의자로서의 입장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 다.

명의 당선 원사 가운데 중앙연구원 출신은 명으로 전체의

81 24

북경대학과 청화대학이 각 를 차지하여 학술계에서 중앙

29.65%, 11%

연구원의 위상을 알 수 있다 또한 미국유학출신이. 49 ,명 유럽출신이 명 일본유학출신이 명으로 대부분이 유학출신자이며

23 , 5 董作賓 張元,

등만이 국내학위자였다 역사학 분야에서는

, , , .

濟 顧頡剛 柳 徵 陳垣詒

유이징 진원 진인각 부사년 고힐강이 언어학에 이방계 조원임 고고, , , , , , 학에 이제 양사영 곽말약 동작빈이 선출된 것을 보면 유이징 고힐강, , , , 등55) 전통사학과 북평연구원 사학연구소의 연구원도 포괄되어 있었지 만 사어소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평의회 구성에서 원사선출과정까지를 통해 볼 때 중앙연구원은 학술기관을 연 계하며 실질적인 권위를 지니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기구로

53) Chen Shiwei, 위의 논문, p.252.

54) 追求卓越 中央硏究院八十年 卷: 1 , p.50.

55) 王春南, 国时期中央究院院士选举」 ( 歷史檔案 1991-3 ), p.124.

(25)

성장했음을 알 수 있고 역사학이 분과학문으로서 제도화되는 과정 가 운데 史語所의 학문적 권위가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나 胡適이

매 학술기관이 일종의 헌장(charter)를 지니며 이 헌장의 반포 후에

는 모든 헌장범위의 일은 외부의 간섭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이다. …지금 연구원 조직법의 제 1조는 국립중앙연구원은 국민정부에 직속된다고 되 어 있고 제 조는 원장 일인은 특임한다 경비는 매월 재정부에서 지급한3 . 다고 되어 있다 그 가운데 정치세력이 간섭할 수 없다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그러므로 독립적 지위를 얻기는 쉽지 않다. .56)

라고 한 것처럼 실상 중앙연구원은 정치세력의 간섭을 막을 헌장을 둘 수 없었고 경비를 전적으로 재정부에 의지해야 하는 실정에서 정부의 관여에서 완전히 독립된 학술연구를 진행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려웠다. 또한 내전이 격화되면서 院士회의는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웠고 재정이 어려운 상태에서 연구소의 확대 뿐 아니라 연구의 독립도 유지하기 쉽 지 않았다 결국. 1949 2년 월 대만대학 총장으로 임명된 부사년과 대리 원장 주가화의 지휘에 따라 史語所 연구원 41명 가운데 20명이 대만으 로 가게 되었으며 대만의 중앙연구원은 史語所를 기반으로 다시 확대 해 갈 수 있었다.

한편 1949년 10월 중국사회과학원이 설립된 뒤 원사로 선출되었던 이 원장이 되고 부원장에는 이전 사회과학연구소 소장인

郭沫若 陶孟和

와 지질연구소의 竺可楨 李四光, 이 담당하게 되면서 중앙연구원과는 다른 새로운 학술기구가 출범하게 된다.

. 맺음말

56) 胡適的日記手稿本, 1930.2.1 (臺北 遠流出版公司: , 1990; Chen Shiwei,위의 논문, p.180에서 재인용).

Gambar

표 중앙연구원 각 연구소 인원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