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書籍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書籍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

Copied!
27
0
0

Teks penuh

(1)

書籍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 *

-益世報에 轉載된 天主敎 書籍을 중심으로-

1)

辛 太 甲 (東亞大)

Ⅰ. 머리말

Ⅱ.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 재된 천주교 서적의 종류

Ⅲ.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 재된 천주교 서적의 내용

Ⅳ. 맺음말

Ⅰ. 머리말

뱅상 레브(Frederic Vincent Lebbe)의 중국 이름은 레이밍위안(雷 鳴遠)이다. 그는 1877년 8월 19일 벨기에의 겐트(Gent)에서 태어났 다. 1901년 선교사로 중국에 온 그는 그해 10월 28일 사제로 서품되 었고 1912년 천진 교구 부주교로 임명되었다. 1915년 10월 1일 益 世報 (Social Welfare Tiensin)를 창간한 그는 이듬해 8월 6일 익 세보에 ‘宗敎叢談’1)을 개설하고 천주교에 관한 글을 게재하기 시작했 다. 그가 익세보를 창간한 것은 중국 사회를 개량하고 중국의 문명 을 증진하는 길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리고 ‘종교총담’을 개설한 것은

*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1) 종교란은 처음에 ‘宗敎叢談’(1916-1926)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했다가 나중에

‘社會切要問題’(1926-1927)→‘公敎叢談’(1927-1929)→‘眞道正言’(1929-1930)

→‘專載’(1932)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중국의 복음화라는 목적 때문이었다.

이른바 ‘종교총담’에 게재된 기사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칼럼류에 해당하는 글이다. 그 내용은 대략 천주교의 명칭, 본 말, 성격, 제도, 의례 형식 및 역사의 줄거리 등을 소개하는 글로 이루 어져 있다. 그 가운데 하나만 예를 들면 레브 신부는 「幸福問題」라는 칼럼에서 “과학의 진보가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며 사회주의 및 무정부주의 역시 행복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2)고 했다. 둘째는 이른 바 문답이다. 그 내용은 대체로 성경의 내용, 교리, 신앙 생활, 護敎, 시사 관련 문답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옛날에 는 뱀이 말을 했는데 지금은 왜 못하는가?”3)라고 질문하자 “그것은 마귀의 말이지 뱀이 한 말이 아니다”4)라고 답하는 방식이다. 셋째는 서적류, 즉 천주교 관련 서적의 내용을 轉載한 것이다. 이러한 서적은 대체로 교리서, 護敎書, 역사서, 문집, 전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면 天主實義나 七克 같은 책의 내용을 일정한 분량으로 나누어 그대로 옮겨 싣는 것이다.

레브 신부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그의 생애, 익세보의 창 간, 老西開 사건, 천주교의 토착화와 중국인 主敎 祝聖 운동, 2차 대전 당시의 전시 구호 활동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5) 그뿐만 아니라 치유와 소통이라는 관점에서 레브 신부의 선교 활동을 검토한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다.6) 최근에는 익세보 ‘종교총담’을 자료로 이용하여

2) 「幸福問題」 (益世報 1916년 9월 6일-12일).

3) 이것은 구약성경 「창세기」 3장 1절에서 뱀이 여자에게 물어 이르되 “하느 님께서 ‘너희는 동산의 어떤 나무에서든지 열매를 따 먹어서는 안 된다’고 말 씀하셨다는데 정말이냐?”라고 한 것에 대한 의문이다.

4) 「答問」 (익세보 1916년 10월 9일).

5)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해서는 신태갑의 「뱅상 레브 신부와 중국 천주교의 토 착화」 (대구사학 103, 2011)와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방식과 선교활동의 지역범위」 (대구사학 107, 2012)의 서론 부분을 참고하기 바란다.

6) 최병욱, 「20세기 초 중국의 反基督敎에 대한 소통과 치유 -뱅상 레브 (Vincent Lebbe) 신부를 중심으로-」 (中央史論 32, 2010); 「사회적 실천과 치유 -뱅상 레브(Vincent Lebbe) 신부의 例-」 (인문과학연구 30, 2011);

(2)

쓴 글도 등장했다.7) 그러나 이른바 ‘종교총담’을 활용하여 글을 쓸 수 있는 여지는 아직도 충분히 남아 있다.

이 글은 ‘종교총담’에 전재된 서적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누 가, 왜, 어떻게 익세보의 ‘종교총담’을 운영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 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익세보 ‘종교총담’의 운영이 레브 신부의 중국 천주교 선교 전략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 하는 점을 밝 혀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우리는 익세보 자체의 성격 과 그것을 창간한 레브 신부의 중국 선교 전략에 대하여 보다 깊이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도는 중국 선교의 올바 른 방향이라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재된 천주교 서적의 종류

레브 신부는 1916년 8월 6일 익세보에 ‘종교총담’을 신설했다. 물 론 그 목적은 독자들에게 천주교의 본질을 알리고 중국의 복음화를 이 루는 것이었다. 앞에서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종교총담’에 게재된 기사 는 대략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은 칼럼류, 문답류, 서적류이다.

칼럼류의 글이 처음 보이는 것은 ‘종교총담’이 개설된 바로 다음날인 8월 7일이다. 문답류의 글이 나타나는 것은 그로부터 약 2개월 뒤인 10월이다. 그리고 서적류, 즉 기존 도서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 싣는 이른바 전재 방식의 글이 등장하는 것은 다시 그로부터 약 2년 후인 1918년 무렵이다.

교황 사절 코스탄티니의 중국 파견과 동서 문화의 소통」 (교회사연구 40, 2012).

7) 신태갑, 「益世報의 ‘宗敎叢談’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 (1916-1928)」 (중국사연구 87, 2013); 益世報의 ‘宗敎叢談’을 통해 본 뱅 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1916-1928)[續]」 (중국사연구 93, 2014).

<표 1> 익세보 ‘종교총담’에 轉載된 서적의 분류, 명칭, 전재할 때 사용한 제목, 저자, 게재일수, 게재년월일

서명 전재할 때

사용한 제목 저자 게재

일수 게재년월일 비고

1 호眞道解疑(1

차) 王鶴峯公解

疑十三篇 王鶴峰 32 1918.04.10- 05.11 2 문墨井集(1차) 吳漁山先生

行狀

(1840-1911) 3 1918.05.12- 14 吳漁山先生

遺著

(1632-1718) 5 1918.05.15- 19 3 문增訂徐文定

公集(1차) 徐文定公行

(1840-1911) 42 1918.05.22- 07.02 韓譯本8) 徐文定公遺

(1562-1633) 8 1918.07.03- 10 徐文定公奏

(1562-1633) 8 1918.07.11- 19 徐文定公集

附李之藻文 稿

(1565-1630) 14 1918.07.20- 08.17 4 호答問錄存(1

차) 答問錄存

(1840-1911) 80 1918.08.25- 11.12 5 역安老會記 安老會記 미상 44 1918.11.22-

1919.01.23 6 역高麗致命事

高麗開敎史

沈則寬9) 127 1919.02.05-

07.08 국 립 중 앙 도 서 관 온라인원문 보기 7 교口鐸日抄 泰西恩及艾

盤石盧兩先 生口鐸

艾儒略(Juliano A l e n i , 1582-1649)

68 1919.08.16-

10.29 提要10)(聖書類) 8 호辯學遺牘(1

차) 辯學遺牘 利瑪竇(Matteo

R i c c i , 1552-1610)

31 1919.11.23-

12.25 提要(眞敎辯護類);

東傳福音(2) 9 전明浙西李之

藻傳(1차) 明浙西李之

藻傳

(1880-1971) 3 1919.12.27- 29

10 교七克 七克

( D i d a c e d e P a n t o j a , 1571-1589)

180 1920.01.07-

10.05 天學初函; 提要 (聖書類); 東傳福 音(2); 韓譯本11) 11 호眞道解疑(2

차) 眞道解疑 王鶴峰 25 1920.10.09- 11.08

12 교 眞道自證(1 眞道自證 沙守信(Emeric 60 1920.11.14- 提要(眞敎辯護類)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재된 서적의 분류, 명칭, 전재할 때 사용한 글의 제목, 저자, 게재일수, 게재년월일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3)

리 차) Langlois de C h av a g n a c , 1670-1717)

1921.02.01

13 호畸人十篇 畸人十篇 利瑪竇(Matteo R i c c i , 1552-1610)

64 1921.02.14-

04.22 天學初函; 提要 (眞敎辯護類); 東 傳福音(2); 韓譯 12)

附西琴曲意

八章 利瑪竇(Matteo R i c c i , 1552-1610)

4 1921.04.23-

27 天學初函; 韓譯

13) 冷石生演畸

人十規 미상 6 1921.04.28-

05.03 韓譯本14) 14 교盛世芻蕘 盛世芻蕘

( M o y r i a c d e M a i l l a , 1669-1748)

138 1921.05.04-

09.25 提要(聖書類); 東 傳福音(2); 天主敎 東傳文獻續編(3) 15 호不得已辯 不得已辯 利類思(Luigi

B u g l i o , 1606-1682)

45 1921.09.26-

11.12 提要(敎史類); 東 傳福音(3); 天主敎 東傳文獻; 韓譯 15)

16 호辯惑扈言 辯惑扈言

(1840-1911) 28 1921.11.13- 12.10 17 호萬物眞原 萬物眞原 艾儒略(Juliano

A l e n i , 1582-1649)

35 1921.12.11-

1922.01.19 提要(眞敎辯護類);

東傳福音(4) 18 호天演論駁義 天演論駁義 李

(1840-1911) 30 1922.04.29- 05.28   19 윤重刊二十五

重刊二十五

利瑪竇(Matteo

R i c c i , 1552-1610)

14 1922.06.17-

30 提要(格言類); 東 傳福音(2); 韓譯 16)

20 교公敎社會學

說要理問答 公敎社會學

說要理問答

( E m m a n u e l Martin de G i b e r g u e s , 1855-1919)

51 1922.09.19- 11.11 宗敎社會學

說要理問答 38 1922.11.12-

12.20 21 철靈言蠡勺 靈言蠡勺

( F r a n c e s c o S a m b i a s i , 1582-1649)

60 1922.12.21-

1923.03.07 天學初函; 提要 (神哲學類); 東傳 福音(2); 韓譯本17) 22 호主制群徵 主制群徵 湯 若 望 ( v o n

Johann Adam Schall von B e l l , 1591-1666)

35 1923.03.20-

04.26 提要(眞敎辯護類);

東傳福音(2); 天主 敎 東 傳 文 獻 續 編 (2)

23 호辯學遺牘(2

차) 辯學遺牘 利瑪竇(Matteo

R i c c i , 1552-1610)

20 1923.04.27-

05.17 天學初函; 東傳福 音(2)

24 역元也里可溫

元也里可溫

(1880-1971) 48 1923.05.17-

07.07 東傳福音(1) 25 역開封一賜樂

業敎考 開封一賜樂

業敎考

(1880-1971) 13 1923.07.07- 19 26 전大西利先生

行蹟 大西利先生

行蹟 艾儒略(Juliano A l e n i , 1582-1649)

15 1923.07.20-

08.03 提要(敎史類) 27 전明浙西李之

藻傳(2차) 明浙西李之

藻傳

(1880-1971) 8 1923.08.04- 11

28 호鐸書 鐸書

(1601-1649)18) 74 1923.08.11-

10.28 提要(眞敎辯護類) 29 문增訂徐文定

公集(2차) 徐文定公行

(1840-1911) 30 1923.10.29- 11.28 30 역摩尼敎入中

國考 摩尼敎入中

國考

(1880-1971) 13 1923.11.29- 1924.01.07 31 역火祅敎入中

國考 火祅敎入中

國考

(1880-1971) 21 1924.01.08- 28 32 호三山論學紀

(1차) 三山論學紀 艾儒略(Juliano A l e n i , 1582-1649)

20 1924.01.29-

02.28 提要(眞敎辯護類);

東傳福音(3); 天主 敎 東 傳 文 獻 續 編 (1)

33 역五十年來之

世界宗敎 五十年來之

世界宗敎

(1840-1939) 14 1924.02.29- 03.31 34 통敎宗通牒 敎宗通牒 교황 베네딕토

1 5 세 ( 1 9 1 4 - 1922 재위)

25 1924.03.31- 26 35 호The Church

andScience19)

宗敎與科學 Sir Bertram C. A. Windle (1858-1929)20)

123 1924.06.27- 11.03 36 호集說詮眞提

集說詮眞提

祿

(1830-1909) 191 1924.11.02- 1925.06.03 37 호集說詮眞 集說詮眞 祿

(1830-1909) 474 1925.06.04- 1926.11.24 38 문增訂徐文定

公集(3차) 徐光啓之學

說:誥命 真民 4 1927.04.22- 25 徐光啓之學

說:明史本傳 1 1927.04.14

徐光啓之學 說:徐文定公 屯鹽疏稿

(1562-1633) 30 1927.06.18- 07.18 徐光啓之學

說:徐文定公 文稿

(1562-1633) 17 1927.05.31- 06.17

徐光啓之學 徐 8 1927.08.01-

(4)

說:徐文定公

練兵疏略 (1562-1633) 08 徐光啓之學

說:徐文定公 年譜

  6 1927.04.15- 21 徐光啓之學

說:徐文定公 雜疏

(1562-1633) 12 1927.09.20- 10.01 徐光啓之學

說:徐文定公 集原序

  1 1927.04.11

徐光啓之學 說:徐文定公 治歷疏稿

(1562-1633) 35 1927.08.15- 09.19 徐光啓之學

說:李之藻文 稿附

李之藻 7 1927.10.02- 08 徐光啓之學

說:徐文定公 行實

李杕 35 1927.04.26- 05.30 徐光啓之學

說:增訂徐文 定公集序

2 1927.04.12- 13 39 호天主實義21) 天主實義 利瑪竇(Matteo

R i c c i , 1552-1610)

92 1927.04.12-

07.16 天學初函; 提要 (眞敎辯護類); 東 傳福音(2); 韓譯 22)

40 호續理窟 續理窟

(1840-1911) 118 1927.06.12-

10.29 東傳福音(3) 41 호代疑編(1차) 代疑編

(1557-1662) 30 1927.10.09-

11.08 提要(眞敎辯護類);

東傳福音(3); 天主 敎東傳文獻 42 역正敎奉褒 正敎奉褒 祿

(1830-1909) 89 1927.10.30-

1928.05.09 東傳福音(6) 43 전楊淇園先生

超性事蹟 楊淇園先生

超性事蹟 丁志麟 6 1927.11.09- 14 44 교眞道自證(2

차) 眞道自證 沙守信(Emeric

Langlois de C h av a g n a c , 1670-1717)

31 1927.11.22-

12.28 提要(眞敎辯護類);

韓譯本23)

45 통敎宗良十三 世勞工問題 通諭

敎宗良十三 世勞工問題 通諭

교황 레오 13 세(1878-1903 재위)

22 1928.03.31-

04.26 東傳福音(10)

46 호哲學提綱 哲學提綱

(1840-1911) 135 1928.05.17- 10.06 47 교 七克眞訓 七克眞訓 我 49 1928.10.07-

( D i d a c e d e

P a n t o j a , 1571-1589)

12.02

48 호三山論學紀

(2차) 三山論學紀 艾儒略(Juliano A l e n i , 1582-1649)

13 1928.12.03-

17 提要(眞敎辯護類);

東傳福音(3); 天主 敎 東 傳 文 獻 續 編 (1)

49 문墨井集(2차) 墨井集

(1632-1718) 35 1928.12.18- 1929.01.28 50 교盛世芻蕘節

盛世芻蕘節

(Moyriac de M a i l l a , 1669-1748)

69 1929.03.24- 06.15

51 호答客問 答客問

(1609-?) 30 1929.06.16-

07.15 提要(眞敎辯護類) 52 호客問條答 客問條答

( V a l e n t i n Garnier, S. J., 1825-1898)

21 1929.07.15- 08.04

53 호答問錄存(2

차) 答問錄存

(1840-1911) 39 1929.08.08- 09.18 54 호眞福直指 眞福直指

(Andre-Jean L u b e l l i , 1610-1683)

6 1929.09.25- 30

55 호鐸書節錄 鐸書節錄

(1601-1649) 67 1929.10.01-

12.10 提要(眞敎辯護類) 56 호詶眞辨妄 酬眞辨妄 祿

(1830-1909) 112 1929.12.12-

1930.05.24 東傳福音(5) 57 호代疑編(2차) 代疑編

(1562-1627) 42 1930.05.25-

08.14 提要(眞敎辯護類);

東傳福音(3); 天主 敎東傳文獻

8) 서광계 지음, 최형섭 옮김, 서광계 문집: 큰글씨책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9) “光緖二十六年歲次庚子立秋後一日耶蘇會後學雲間容齋沈則寬自敘.”(高麗致命 事略[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원문보기 자료], p.6); “예수회 심칙관(沈則寬) 신 부가 샤를르 달레 신부의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를 한문으로 번역하 여 편집한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서(歷史書)”(「고려치명사략」, 한국민족문화대 백과사전 [전자자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2015년 10월 13일 검색).

10) 提要: 徐宗澤 編著, 明淸間耶穌會士譯著提要 (北京: 中華書局, 1949).

11) 빤또하 著, 박유리 譯, 七克: 그리스도교와 新儒學의 초기 접촉에서 형성된 修養論 (서울: 일조각, 1998); 판토하 지음, 박완식ㆍ김진소 공역, 七克: 일

(5)

<표 1>을 보면 1에서 57까지 번호가 나온다. 이것은 익세보 ‘종 교총담’에 소개된 서적이 모두 57건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그 중에는 이중 혹은 삼중으로 소개된 책들이 있다. 그래서 실제로 소개된 서적 의 종류는 이보다 적다. 57건 가운데 두 차례 소개된 책은 眞道解疑

(1, 11번); 墨井集 (2, 49번); 答問錄存 (4, 53번); 辯學遺牘

(8, 23번); 明浙西李之藻傳 (9, 27번); 眞道自證 (12, 44번); 三 山論學紀 (32, 48번); 代疑編 (41, 57번)이다. 그리고 增訂徐文定 公集 (3, 29, 38번)은 세 차례에 걸쳐 소개되었다. 따라서 두 번에 걸쳐 소개된 8종은 같은 책이 16번 소개된 것이므로 반을 감해야 하

곱 가지 승리의 길 (전주: 전주대학교출판부, 1996).

12) 마테오 리치 저작, 宋榮培 譯註, 교우론; 스물다섯 마디 잠언; 기인십편: 연 구와 번역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 pp.73-383.

13) 마테오 리치 저작, 宋榮培 譯註, 위의 책, pp.387-398.

14) 마테오 리치 저작, 宋榮培 譯註, 위의 책, pp.447-461.

15) 양광선ㆍ이류사ㆍ남회인 지음, 안경덕ㆍ김상근ㆍ하경심 옮김, 부득이: 17세 기 중국의 반기독교 논쟁 (서울: 일조각, 2013).

16) 마테오 리치 저작, 宋榮培 譯註, 위의 책, pp.37-72.

17) 프란체스코 삼비아시 지음, 서광계 기록, 김철범ㆍ신창석 옮김, 영언여작

(서울: 일조각, 2007); 프란체스코 저, 박완식 역, 영언여작 (전주: 전주대 학교출판부, 1999).

18) 「Han Lin 韓霖」, The Ricci Institute Libary Online Catalog(利瑪竇硏究所 藏書樓目錄) [전자자료]. http://riccilibrary.usfca.edu/listAuthor.aspx?autho rID=3584 (2015년 10월 12일 검색).

19) ‘종교총담’에 게재된 宗敎與科學은 Sir Bertram C. A. Windle이 지은 The Church and science(London: Catholic Truth Society, 1917)를 張劍初 가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20) “Sir Bertram Coghill Alan Windle, M.A., M.D., Sc.D., Ph.D., LL.D., F.R.S., F.S.A., K.S.G., (8 May 1858–14 February 1929) was a British anatomist, administrator, archaeologist, scientist, educationalist and writer.”(Bertram Windl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전자자 료]. https://en.wikipedia.org/wiki/Bertram_Windle (2015년 10월 2일 검색).

21) 1927년 4월 12일부터 7월 16일까지 총 92회 연재, 그 중 1-35회까지는 섹 션의 이름이 없이 연재되다가 36-92회까지는 ‘공교총담’ 섹션에 연재.

22) 마테오 리치 지음, 송영배ㆍ임금자ㆍ장정란ㆍ정인재ㆍ조광ㆍ최소자 옮김, 천주실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9).

23) 샤바낙 지음, 유은희 옮김, 진도자증 (서울: 순교의 맥, 2013).

<표 2> 익세보 ‘종교총담’에 轉載된 서적의 연도별, 주제별 명칭, 게재일수

  敎理  護敎 歷史 文集 傳記 倫理 哲學 通牒 합계

1918 眞 道 解 疑 (32); 答問錄 存(80)

安 老 會 25)(44) 墨 井 集

(8); 增訂 徐文定公集(72)

5 (236)

1919 口鐸日抄

(68) 辯 學 遺 牘

(31) 高麗致命

事略(127)   明浙西李 之 藻 傳 (3)

    4

(229) 1920 七

(180); 眞 道 自 證 (60)

眞 道 解 疑

(25)           3

(265)

1921 盛世芻蕘

(138) 畸 人 十 篇 (74); 不得已 辯(45); 辯惑 扈言(28); 萬 物眞原(35)

        5

(320)

고, 세 번 소개된 1종은 두 번을 감해야 한다. 또 七克과 七克眞訓

, 盛世芻蕘와 盛世芻蕘節錄, 鐸書와 鐸書節錄, 集說詮眞과

集說詮眞提要는 원본과 요약본의 관계이므로 역시 반수를 감해야 한 다. 이렇게 계산해 보면 익세보 ‘종교총담’에 소개된 서적은 실제로 약 43종24)이 된다.

소개된 서적의 종류가 몇 가지인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서적이 얼마 나 오래 동안 연재되었는지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이러한 내용 을 좀 더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위의 <표 1>을 손질하여 연 도별, 주제별로 나누어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재된 서적의 명칭과 게재일수(표에서 괄호 안의 수)를 다시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24) 그런데 원래 전재된 서적은 아마도 이것보다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 면 서적으로 추정되나, 필자의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원래 서명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은 통계에서 제외했기 때문이다. 확인은 못했으나 서적으로 생각되는 것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明朝中國公敎略史(1917.8.26-10.18, 50회); 淸 朝中國公敎史略(1917.10.21-1918.4.6, 116회); 眞宗敎(1922.1.21-3.17, 44 회); 尋求眞光(1922.3.18-4.28, 40회); 邁謝樞機主敎事略(1922.7.1-15, 14회);

愛國心與忍耐性(1922.7.16-8.10, 26회); 社會學大綱(1922.8.11-9.18, 39회);

世道人心由於同化力說(1924.4.27-6.22, 53회); 天民說(1930.4.21-5.5, 14회).

(6)

1922 公敎社會 學說要理問答(89)

天演論駁義

(30)   重刊二

十五言(14) 靈言蠡勺 (60)

  4

(193) 1923 主 制 群 徵

(35); 辯學遺 牘(20); 鐸書 (74)

元也里可溫考(48);

開封一賜樂業敎考 (13); 摩 尼敎入中國考(13)

增訂徐文定 公 集 (30)

大西利先生 行 蹟 (15); 明 浙西李之藻傳(8)

      9

(256)

1924 三山論學紀

(20); The Church and Science(123 ); 集說詮眞 提要(191)

火祅敎入中 國 考 (21); 五 十年來之世界宗敎 (14)

        敎宗通

牒(25) 6 (394)26)

1925-26 集 說 詮 眞

(474)             1

(474) 1927 眞道自證

(31) 天 主 實 義 (92); 續理窟 (118); 代疑 編(30)

正敎奉褒(89) 增訂徐文 定 公 集 (158)

楊淇園先生超性事 蹟(6)

      7

(524)

1928 七克眞訓

(49) 三山論學紀 (13); 哲學提 綱(135)

  墨 井 集

(35)     敎宗良

十三世勞工問 題通諭(22)

5 (254)

1929 盛世芻蕘

節錄(69) 答客問(30);

客 問 條 答 (21); 答問錄 存(39); 眞福 直指(6); 鐸 書節錄(67);

詶 眞 辨 妄 (112)

            7

(344)

1930 代疑編(42)             1

(42) 합계 8

(684) 28 (2022)

8 (369)

5 (303)

4 (32)

1 (14)

1 (60)

2 (47)

57 (3531)

25) 安老會記는 1918년 11월 22일부터 연재가 시작되어 1919년 1월 23일까 지 이어졌다. 이런 경우에는 연재가 시작되는 해인 1918년에 속하는 서적으로 계산했다. 아래도 같다.

26) 게재일수의 합이 1년을 넘는 것은 같은 날 두 종류의 서적 혹은 세 종류의 서적을 동시에 소개했기 때문이다.

<표 2>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서적 중에 서 가장 많이 소개된 것은 護敎書이다. 서적의 수량이나 게재일수 어 느 면에서나 호교서는 단연 압도적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은 敎理 書와 歷史書이다. ‘護敎’란 대체로 말해서 천주교의 수용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제기하는 반론과 의문에 대하여 천주교를 방어하고 옹호하는 것이다. 기왕에 ‘종교총담’의 개설 목적이 중국의 복음화라고 한다면, 호교서와 교리서를 중시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로 생각된다. 그러면 역 사서를 많이 소개한 것은 무슨 의미일까?

‘종교총담’을 설치한 후 뱅상 레브 신부는 익세보 독자들과 주고 받은 문답을 통해 “독자들 가운데 교우가 아닌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문제는 바로 각각의 종교가 서로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이라는 것을 알고 “이 궁금증을 풀어주려면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종교의 역 사를 확실히 알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27) 게다가 레브 신부는 “천 주교는 매우 강한 역사 의식을 지닌 종교”라는 사실과 “중국 사람들은 역사를 매우 중시하는 민족”이라는 “이 두 가지 사실을 접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중국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고자 했다.”28) 이런 점에서 볼 때 역사 관련 서적이 많이 소개된 것 역시 당연한 일로 여겨진다.

둘째, 43종의 서적 가운데 가장 오래 동안 연재된 것은 바로 黃伯祿 (1830-1909)이 쓴 集說詮眞 (474일)과 集說詮眞提要 (191일)이 고 그 뒤를 잇는 것은 판토하의 七克 (180일)이다. 이 셋을 제외한 나머지 서적들의 평균 게재일수가 67일인 것과 비교하면 세 서적의 평균 게재일수는 그 열배도 넘는다. 가장 오래 동안 연재된 책을 쓴

“黃伯祿은 江蘇 海門人이다. 1851년 上海 徐家滙 依納爵公學(Collège Saint Ignace)의 설립과 敎學에 참여하였고 불어와 영어를 잘했다.

1860년 사제가 되었고 1875년 徐家滙公學校 교장에 임명되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줄곧 徐家滙에서 교육 사업에 종사했다. 저서로는 詶眞 27) 신태갑, 「益世報의 ‘宗敎叢談’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

(1916-1928)[續]」 (中國史硏究 93, 2014), p.378.

28) 신태갑, 위의 논문, p.381.

(7)

<표 3> 集說詮眞 원서의 목록,익세보에 소개된 集說詮眞의 篇名, 게재일수, 게재년월일

集說詮眞원서 목록 익세보에 소개된

集說詮眞의 篇名 게재

일수 게재년월일

1 太極 太極 14 1925.06.07-22

2 孔子 孔子 44 1925.06.23-08.10

3 老君 老君 5 1925.07.21-25

4 釋迦佛 釋迦佛 20 1925.08.11-30

5 元始天尊 익세보미게재

6 三淸 三淸 2 1925.09.01-02

7 玉皇上帝 玉皇上帝 3 1925.09.03-05

8 金闕上帝, 玉闕上帝 金闕上帝 1 1925.09.06

9 玄天上帝, 眞武, 北極佑聖

眞君 玄天上帝, 眞武, 北

極佑聖眞君 6 1925.09.07-12

10 關帝 關帝 12 1925.09.13-24

11 文昌帝君, 梓潼帝君 文昌帝君, 梓潼帝君 33 1925.09.24-10.30

12 魁星 魁星 5 1925.10.31-11.05

13 社稷 社稷 13 1925.11.06-18

14 后土 后土 9 1925.11.19-27

15 城隍 城隍 37 1925.11.28-1926.01.09

16 土地 土地 8 1926.01.10-17

17 十殿閻王, 閻羅王 十殿閻王, 閻羅王 20 1926.01.18-02.06

18 地藏王 地藏王 5 1926.02.07-22

辯妄, 集說詮眞, 集說詮眞續編, 正敎奉褒, 正敎奉傳 등이 있 다. 그는 중국 천주교회에서 학술이 깊고 해박하며 저작이 풍부하기로 유명한 중국 국적의 예수회 신부였다.”29) 또 그는 “청나라 말기 강남 교구의 서양인, 중국인 신부를 통틀어 가장 탁월했던 인물로 평가된 다.”30) 참고로 集說詮眞 원서의 목록과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재 된 集說詮眞의 편명과 각 편의 게재일수, 게재년월일은 <표 3>과 같다.

29) 黎志添 主編, 華人學術處境中的宗教硏究: 本土方法的探索 (香港: 三聯書店 [香港]有限公司, 2012), p.322.

30) 한국가톨릭대사전 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10 (서울: 한국교회사 연구소, 2006), p.7516.

19 竈君 竈君 18 1926.02.23-03.12

20 觀音 觀音 22 1926.03.12-04.03

21 天妃, 天后 天妃, 天后 8 1926.04.04-13

22 蠶女, 靑衣神 蠶女, 靑衣神 4 1926.04.14-17

23 坑三姑娘 坑三姑娘 2 1926.04.18-19

24 紫姑神31) 紫姑神, 三姑 2 1926.04.20-21

25 張天師 張天師 28 1926.04.22-06.10

26 仙人, 東王公, 西王母, 李

八百32) 仙人 11 1926.06.11-23

27 八仙 八仙 19 1926.06.24-07.13

28 劉海 劉海 4 1926.07.13-16

29 和合 和合 2 1926.07.17-18

30 劉猛將軍, 劉太尉 劉猛將軍, 劉太尉 4 1926.07.19-22 31 三茅君, 佑聖眞君 三茅君, 佑聖眞君 4 1926.07.23-26

32 蕭公 蕭公 1 1926.07.27

33 晏公 晏公 4 1926.07.28-31

34 許眞君 許眞君 12 1926.08.01-12

35 三官, 三元 三官, 三元 3 1926.08.13-15

36 五聖 五聖 10 1926.08.15-24

37 五嶽 五嶽 5 1926.08.25-29

38 龍王 龍王 19 1926.08.30-09.17

39 福神 福神 2 1926.09.18-19

40 財神 財神, 接路頭 5 1926.09.20-26

41 開路神 開路神 3 1926.09.27-29

42 神茶鬱壘, 桃符 神茶鬱壘, 桃符 2 1926.09.30-10.01

43 門神將軍 門神將軍 5 1926.10.01-05

44 鍾馗 鍾馗 11 1926.10.05-17

45 痘神 痘神 2 1926.10.17-18

46 哈二將 哈二將 2 1926.10.19-20

47 天王 天王 3 1926.10.20-22

48 羅漢 羅漢 6 1926.10.22-27

49 魯班, 公輸子 魯班, 公輸子 3 1926.10.27-29

50 張仙 張仙 7 1926.10.29-11.05

51 灌口神, 二郞神 灌口神, 二郞神 3 1926.11.04-06 52 王靈官眞君, 薩守堅眞君

33) 天將王靈官隆恩眞君,

薩守堅崇恩眞君 6 1926.11.06-15

53 祠山張大帝 祠山張大帝 9 1926.11.15-24

54 太一 익세보미게재

55 太歲

(8)

56 壽星

57 火神

58 水神, 河伯, 海神, 四海神, 波濤神, 江神, 川澤神, 池神, 漢神, 洛神, 太湖水神, 淮渦 水神, 水仙 34)

59 風伯, 雨師

60 雷公, 雷母

셋째, 총 43종의 서적 중에서 외국인의 저서가 20종이고 중국인의 저서가 22종이며 미상이 1종이다. 외국인 가운데는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利瑪竇, 1552-1610)와 알레니(Juliano Aleni, 艾儒略, 1582-1649)의 저서가 각각 4종이다. 중국인 가운데는 李杕 (1840-1911)와 陳垣(1880-1971)의 저서가 각각 5종, 黃伯祿 (1830-1909)의 저서가 3종이다. 이것을 보면 당시 ‘종교총담’의 운영 자가 중국 천주교 서적의 저자 가운데 어떤 이들에게 관심을 두었는지 알 수 있다.

넷째, 43종의 서적 가운데 유일하게 3차례에 걸쳐 소개된 책이 있 다. 그것은 增訂徐文定公集이다. 특히 3차 때는 ‘徐光啓之學說’이라 는 제목 아래 관련 글이 158회 연재되었다(<표 1> 38번 참고). 徐光 啓(호 玄扈, 1562-1633) 외에도 소개의 대상이 되었던 사람들이 있 다. 그들은 吳歷(호 漁山, 1632-1718), 李之藻(호 涼庵居士, 1565-1630), 楊廷筠(호 淇園, 1562-1627)이다. 이들 중에서 徐光啓, 李之藻, 楊廷筠은 중국 천주교의 ‘삼대 지주’[三大柱石]로 일컬어지는

31) 集說詮眞 원서의 목록은 ‘紫姑神’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본문을 보면 ‘紫 姑神, 三姑’가 맞다.

32) 集說詮眞 원서의 목록은 ‘仙人, 東王公, 西王母, 李八百’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본문을 보면 ‘仙人’이 맞다.

33) 集說詮眞 원서의 목록은 ‘王靈官眞君, 薩守堅眞君’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본문을 보면 ‘天將王靈官隆恩眞君, 薩守堅崇恩眞君’이 맞다.

34) 集說詮眞 원서의 목록은 ‘水神, 河伯, 海神, 四海神, 波濤神, 江神, 川澤神, 池神, 漢神, 洛神, 太湖水神, 淮渦水神, 水仙’으로 되어 있으나 본문을 보면 ‘水 神’으로 되어 있다.

<표 4>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재된 서적의 분류, 수량 및 명칭

번호 분류 수량 서 명

1 교리 5

1)口鐸日抄 2)七克,七克眞訓 3)眞道自證

4)盛世芻蕘,盛世芻蕘節錄 5)宗敎社會學說要理問答

2 호교 21

1)眞道解疑 2)答問錄存 3)辯學遺牘 4)畸人十篇 5)不得已辯 6)辯惑扈言 7)萬物眞原 8)天演論駁義 9)主制群徵 10)鐸書, 鐸書節錄 11)三山論學記

12)集說詮眞,集說詮眞提要 13)天主實義

14)續理窟 15)代疑編 16)哲學提綱 17)答客問 18)客問條答 19)眞福直指 20)詶眞辨妄

21) The Church and Science

3 역사 8

1)安老會記 2)高麗致命事略 3)元也里可溫考 4)開封一賜樂業敎考

5)摩尼敎入中國考 6)火祅敎入中國考 7)五十年來之世界宗敎 8)正敎奉褒

4 문집 2 1)墨井集 2)增訂徐文定公集 5 전기 3 1)明浙西李之藻傳

2)大西利先生行蹟

3)楊淇園先生超性事蹟 6 윤리 1 1)重刊二十五言

7 철학 1 1)靈言蠡勺

8 통첩 2 1)敎宗通牒 2)敎宗良十三世勞工問題通諭

인물이다.

Ⅲ.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재된 천주교 서적의 내용

먼저 익세보 ‘종교총담’에 전재된 서적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정리 하면 <표 4>와 같다.

(9)

위의 표에 나열된 서적을 주제별로 나누어 그 각각의 내용을 차례 대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리서

(1) 口鐸日抄

“口鐸日抄에서 ‘鐸’은 두 가지 뜻이 있다. 첫째는 司鐸을 가리킨 다. 중국 신도 嚴謨가 쓴 天帝考에는 ‘鐸德’이라고 했다. 이것은 ‘撒 責爾鐸德’(라틴어 sacerdote)의 약칭이며 神父 혹은 司祭라는 뜻이다.

둘째는 고대에 政敎 法令을 선포하거나 혹은 戰事를 만났을 때 사용했 던 ‘큰 방울’(大鈴)을 가리킨다. 저자는 司鐸을 ‘방울’(鐸)에 비유하여

‘사탁은 두드리면 바로 울리는 큰 종(洪鐘)과 같다’고 생각했다. ‘口鐸 日抄’는 곧 서양 신부가 천주교를 전파하는 ‘세상을 깨우는 큰 소리’

(覺世洪音)의 기록이라는 뜻이다.”35)

“이 책은 崇禎 3년(1630)에 시작하여 13년(1640)에 멈춘 일기체의 대화록이다. 기록한 것은 중국에 온 예수회 선교사 艾儒略(Giulio Aleni), 盧安德(Andrius Rudamina), 林本篤(Bento de Matos), 瞿西滿 (Simão da Cunha) 네 명의 사탁이 평소에 행한 설교 및 사람들과 나 눈 대화이다.”

이 책을 보면 “선교사들은 전통적 儒彿道 및 민간신앙에 대하여 현 저히 다른 태도를 취했다. 첫째, 유학에 대하여 선교사들은 기본적으 로 긍정적인 태도를 취했다.……둘째, 불교와 도교에 대해서는 왕왕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셋째, 중국의 민간신앙과 전통 예절에 대 해서도 이의가 많았다.” 그런데 “口鐸日抄에서 더욱 많은 내용은 천 주교의 기본 교리에 관한 문답이다.” 예를 들면 “「答降生救贖」 (1:10)

35) 鄭安德 編輯, 明末清初耶穌會思想文獻彙編 第一卷 (北京: 北京大學宗教研 究所, 2003), p.379.

편과 「答奉敎之人終有依歸」 (2:32)편은 구원에 관한 교리를 소개하고 있다.”36)

“이 책은 사탁이 위로는 재상으로부터 아래로는 일반 ‘慕道友’에 이 르기까지 사람들과 문답 형식으로 나눈 대화를 기록했다. 때로 ‘慕道 友’가 가르침을 구하기도 하고, 때로는 불신자가 질의를 하였다. 대부 분의 경우 몇 명의 사탁이 천주교의 각종 절기를 빌려 임의로 이야기 를 끌어내어 천주교의 도리를 선양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깊이 생각하 게 하며, 신도들을 인도하여 신앙과 덕행이 증진되도록 하였다. 이런 대화는 임기응변으로 신앙과 생활을 완전히 하나로 결합하는 그야말로

‘매우 위대하고 고명한 경지에 도달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중용과 평 범의 도리를 따르는(極高名而道中庸)’37)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38)

(2) 七克, 七克眞訓

이 책은 총 7권으로 출간되었다. 그 내용을 보면 권1에서는 오만은 겸손으로 없애야 한다는 것을, 권2에서는 질투는 용서로 평정해야 한 다는 것을, 권3에서는 탐욕은 베풂으로써 풀어야 한다는 것을, 권4에 서는 분노는 참음으로 꺼뜨려야 한다는 것을, 권5에서는 식탐은 절제 로써 막아야 한다는 것을, 권6에서는 음욕은 정결로써 막아야 한다는 것을, 권7에서는 나태는 근면으로 채찍질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 다.39)

이 책의 “각 권은 모두 그 전반부에서는 죄의 근원인 사악(邪惡)의 본질을 밝히고, 후반부에서는 그 악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덕성(德性)을 제시하였다. 특히 판토하는 성서의 성인들, 동서양 인물 들의 사상과 교훈을 풍부하고 흥미롭게 인용하여 유교 용어로 해석하 였다. 이를 통해 그는 당시 유학자들에게 그리스도교적 수양론을 이해

36) 鄭安德 編輯, 앞의 책, p.381.

37) 夏劍欽 主編, 十三經今注今譯 上冊 (長沙: 嶽麓書社, 1994), p.965.

38) 鄭安德 編輯, 앞의 책, p.382.

39) 한국가톨릭대사전 11, pp.8347-8348.

(10)

시키고, 나아가 그 보유론적(補儒論的) 역할을 강조하려 한 것이다.”40)

七克眞訓은 七克을 상ㆍ하 2권으로 요약하여 간행한 것이다.41)

(3) 眞道自證

“이 책은 주된 내용으로 주요 교리의 해설과 불교에 대한 비판 그 리고 천주교에 대해 중국인들이 갖고 있는 의문점의 규명 등을 싣고 있다. 먼저 1권에서는 천주, 삼위 일체, 천지 신인 만물 조화설 등 성 리(性理), 즉 천성(天性)을 다루고 있으며, 2권에서는 원죄, 구세 등 사 도(事道)를, 3권에서는 증거로써 의심을 풀어주는 박의인거(駁疑引據) 를, 그리고 4권에서는 교(敎)를 설명하고 있다.”42)

(4) 盛世芻蕘, 盛世芻蕘節錄

“‘추요’의 본래 의미는 고루하고 진부하다는 뜻이지만 여기에서는 하층민들도 일상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어투와 문체로 쓰여진 교리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43) 이 책은 5권으로 간행되었다. 그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권 소원 편에서는 하느님의 존재와 천지 만물의 창조를 설명하 면서 세상에 한 사람도 천주를 의지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는 점과 일 생 동안 천주를 의지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제 2권 구속 편에서는 원죄와 구속에 대해 논하면서 천주께서 강생ㆍ구 속하신 내력을 모두 15장(張)에 걸쳐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는데, 특히 예수 그리스도가 수난을 받고 못박혀 죽음으로써 그 인(仁)과 의(義)가 지극하고 덕(德)과 공(功)이 온전하여 그 존귀하심에 상대가 없음을 밝 히고 있다.

40) 한국가톨릭대사전 11, p.8348.

41) 「칠극」, 가톨릭대사전 [전자자료].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dic _view.asp?ctxtIdNum=3573 (2015년 10월 13일 검색).

42) 한국가톨릭대사전 7, p.4711.

43) 한국가톨릭대사전 10, pp.7998-7999.

제3권 영혼 편에서는 영혼의 불멸성을 강조하기 위해 생기(生氣)는 영혼이 아님을 지적하고, 그 불멸성을 다시 일곱 장으로 나누어 자세 히 설명하였으며, 제4권 상벌 편에서는 선행ㆍ악행과 이에 따르는 상 벌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제5권의 이단 편에서는 미신 을 금지하고 불교와 도교 및 풍수설을 배척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 였다.”44)

盛世芻蕘節錄은 盛世芻蕘의 요점을 정리한 것이다.

(5) 公敎社會學說要理問答

이 책은 노동 문제에 대한 천주교의 입장을 총 124조목으로 나누고 그 요점을 문답식으로 풀이하였다. 그 중 노동 문제의 역사에 관한 내 용이 21조목이고, 학설에 관한 내용이 71조목이며, 실제상의 응용에 관한 내용이 31조목이다. 학설에 관한 조목 중에서 33번 조목을 예로 들면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 그러면 교황이 설정한 고용주가 노동자를 대하는 공정한 책임 은 무엇인가? 답: 보라. 교황이 열거한 책임은 이런 것들이다. 노동자 에게 공정한 대가를 지불한다. 그들의 공정한 餘資를 빼앗지 않는다.

폭력을 사용하지 않는다. 속이지 않는다. 그들이 종교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자유를 준다. 도덕적인 타락에 빠지고, 위험하고 악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쉽게 주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들 각 가정의 정신 과 부부간의 애정을 파괴하지 않는다. 체력이 감당하지 못할 일이나 혹은 나이와 ‘種性’(Characteristics)에 유해한 일을 시키지 않는다(Pio

Ⅹ, Motu proprio, 1903).”45)

2. 호교서

44) 한국가톨릭대사전 7, p.4711.

45) 「公敎社會學說要理問答」 (익세보 1922년 10월 29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游稚晴 張尚彬 劉庭芸 王右鈞 都柏叡 黃子娟 勵湘寧 邱柏融 盛寶容 張茹喻 陳郁心 洪昭瑜 李羽娸 徐妙華 曹瑋彤 楊傑 王珮甄 陳育廷 劉其蕙 陳良愛 蕭育慈 洪敏茹 王恩琪 周雅雯 陳法融.. 賴雨璇 呂琇文 高巧燕 陳憲霆 謝沛玲 朱垍霖 廖建溢 林依雯 楊淳皓 林廷諭 黃煜杰 林子庭 呂邵君 温之楷 詹渟羽 于涵宸 林麗晴 簡新哲 李祥瑋 王景瓏 余明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