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초나라 강역과 칠예의 기원
Ⅲ. 옻칠의 재료적 특성
Ⅳ. 초나라 칠정
Ⅴ. 결론
楚나라 漆政 형성에 관한 硏究
權 純 燮 (東方大學院大學校)
Ⅰ. 서론
고대 중국의 기물 발달 과정에서 접착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 던 옻칠은 그 특성이 파악되어 역할의 범위가 확대되고 각기 다른 지 역과 민족에게 적합한 도구나 기물 등에 이용하게 되었다. 특히, 전쟁 이 빈번하던 전국시기 초나라에는 그 쓰임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는 데, 도자기나 청동기와는 달리 가볍고 견고하며 화려한 특징을 지닌 칠기 등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하나의 독립된 수공업으로 자리 잡게 되 었다.
전국시대는 천하 대란의 국면이 제후들의 분립으로 정리되어 秦ㆍ 楚ㆍ齊ㆍ燕ㆍ趙ㆍ魏ㆍ韓의 7대 강국으로 분할된 국면이었다. 당시 이 들 국가들은, 정치적으로 봉건제도로의 전환이 거의 완성 단계였으며 경제ㆍ상업ㆍ무역 등이 점차적으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교육 이나 학술 및 사상들도 각 나라 간에 교류가 활발하여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이 시기는 전쟁을 수행하려고, 각 나라마다 군비 증 강에 주력하여 영토 확장에 심혈을 기울이게 되었다.
生漆은 무기나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명도 연장시
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위정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전 국시기 楚나라는 이러한 옻칠을 이용, 병기는 물론 부장용품이나 연회 용 기물 및 악기 등의 다양한 髹物1)을 제작하여 옻칠 문화를 형성하 게 되었다.
전국시기의 각 국가는 생칠을 안정되게 확보하기 위하여 옻칠을 관 리하게 되는데 이를 漆政2)이라 명명한다. 이 과정에서 당시 사람들은 옻칠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이용방면에도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옻칠에 대한 관심은 당시 초나라에 있어서도 크게 작용하여 강력한 군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략적으로 옻칠이 절대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초나라는 주나라에게 일찍이 옻나무 자생지로 널리 알려진 호남성 형주 강릉일대를 봉토 받았는데, 여기서 채취한 옻칠과 이 지역의 고 온다습한 기후는 초나라가 북방의 한족과는 달리 옻칠 문화를 크게 발 전시키는 초석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조건은 초나라에서 국가가 직접 옻칠을 관리하고 무기에 이를 이용하여 군사 강대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현재 중국에서 발굴된 옻칠을 이용한 도구나 기물들의 대부분이 칠 기위주의 공예품인 것과는 달리 전국시대 초나라 지역의 출토 유물에 서는 옻칠을 한 병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병기의 특징적인 의미를 파악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어진 이 논문은, 초나라 지역의 고고 유물에서 확인된 내용을 통하여 당시 옻칠을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던 병기의 의의와 칠정의 형성을 고찰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칠예의 발생지와 1) 옻칠을 한 모든 기물의 통칭이다.
2) 국가의 존립이나 재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품목에 대하여 국가가 직접 관 리하는 것으로 고대부터 전통적으로 이어져 온 품목은 소금 철 등이다. 초나라 는 전국시대에 군사력 증강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무기제작에 소요되는 자원인 광산을 확보한 후, 무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옻칠을 국가가 직접 관 리하였다고 생각되므로 이것을 칠정이라고 명명하였다.
옻칠의 재료적인 특성이 초나라 옻칠 산지의 지역적인 특성과 초나라 만이 지닌 옻칠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칠정 형성 조건 과 의미를 살피어 초나라 칠예의 위치를 알아본다.
Ⅱ. 초나라 疆域과 漆藝의 기원
초나라 강역과 칠산지의 관계는 밀접하며, 칠산지는 칠예의 기원을 밝히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초나라 발상지인 형주 지역은 옻나무 자 생지로 지금까지 중요한 옻칠 산지이다. 초나라가 군사적인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배경에는 전략물질인 銅鑛과 옻칠 산지의 확보가 필수 적이었다. 이러한 전략 물질의 인식은 야금 기술과 칠예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옻칠 산지와 칠예의 기원에 한정하여 살펴보기 로 한다.
현재까지 중국 칠예의 기원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출토 유물과 고 문헌 등에 근거하여 발상지와 그 발달 시기를 추정하는데 고대 문헌 중 중국의 칠예에 관한 기원을 살펴보면,
韓非子
十過 에;“···舜임금은 나무로 食器를 제작하였다. 산의 나무로 그 재목을 삼 으려고 칼로 흔적을 내니, 그 위로 漆墨(생칠)이 흘렀다. 이를 거두어 궁 중의 식기에 이용 하였다. 시간이 지나며 제후들도 이를 이용하여 식기를 만들려고 하여 나라에서 금하였는데 불복하는 사람이 13인이었다. ···
우임금은 제기를 제작하였는데 제기의 밖은 흑칠을 하고 그 안쪽은 주칠 을 하였다. ···”3)
라고 하였다.
위의 내용을 통하여 우리는 중국의 칠예가 夏나라에서 시작되었고, 왕실과 신분이 높은 귀족층에 의해서 사용되어졌으며 禹 임금 시절에 3) “堯禪天下, 虞舜受之, 作以食器. 折山木而財之, 削鋸修之迹, 流漆墨其上, 輸之于 宮以爲食器, 諸侯以爲益侈, 國之不服者十三. 舜禪天下, 而傳之于禹, 禹作祭器, 墨染其外, 以朱繪其內.”
는 이미 칠기에 대한 장식적 개념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최근 중국 양자강 이남의 절강성 여요시 하 모도 유적지4)에서 고대 칠기가 출토되어 그 가치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칠예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하게 되었다.
칠기의 고고 유물을 근거로 칠예의 기원을 살펴보면, 이러한 이론들 은 대체로 3가지로 나뉘는데;
1) 많은 중국학자들이 제시한 이론으로, 칠예의 가장 이른 시기를 ‘ 浙江省餘姚市河姆渡新石器時代遺跡址’ ‘제3문화층’에서 출토된 ‘朱漆木 碗’5)을 근거로 이곳이 인류 최초로 옻칠을 사용한 곳으로 주장하였다.
2) 중국 최초의 칠예를 ‘晋漆’에서 시작되었다고 강조하고 있다.6) 3) 중국 칠공예의 역사를 정리한 王世襄의 이론으로 中國古代漆工藝
7)에서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천연칠을 언제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어느 때에 칠기가 처음 출 현 하였는가’ 등의 문제는 아직 풀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유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 하모도의 ‘목칠완’인데, 그 칠기에는 이미 주칠이 사 용되었다. 사물의 발전 과정상, 먼저 천연칠을 사용한 후 색상이 있는 주 칠을 사용하였을 것이므로, 이 ‘목칠완’보다 이전에 칠기가 존재하였을 것 은 당연한 일이다.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이후 새로운 유물의 발견을 기 다릴 수밖에 없다. 단지 자료에 의거하여 몇 가지 가능성을 제시하면;
a. 칠기는 중화 민족이 창조한 발명품이다.
b. 신석기시대에 칠공예는 채화와 상감 등의 기법을 사용할 만큼 발전 하였다.c. 고대에 칠기를 사용한 곳은 광범위하여, 어떤 특정의 한 지역이나 문화권으로 한정할 수 없다.
4) 1973년 절강성 여요시에서 신석기시대 하모도 유적지가 발굴되었다.
5) 절강성박물관 소장품.
6) 侯林輝/侯寶華, 試論“晋漆”在東方生漆文化發展中的歷史地位和作用 (中国生 漆 2001年 第2期). pp.21-27, “晋人叔向的远祖曾为尧帝经管过种树割漆···…
今太原北之漆祁山石洞中将舜帝供为东方生漆文化的开山鼻祖···根据 尧典 ‘日 水星火以正中天’的天文学分析,尧帝的活动时期至少在距今7000年左右,和浙江河 姆渡文化遗址校正年代(5005±130)相比较,多出将近2000年.”
7) 중국미술전집편집위원회, 中国美术全集 (北京: 文物出版社, 1989) 권8, pp.1-2.
<도1> 옻나무 분포의 조기 문명 발상지
라고 주장하였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왕세양의 이론에 동의하는데, 그러나 이러한 이 론들에는 아직 많은 의문점들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칠예의 발상지는 어느 특정 지역으로 한정하기에는 보편성을 상실하기가 쉽 다.
옻나무는 알타이산을 정점으로 양자강을 중심축으로 하여 남으로는 인도차이나반도, 북으로 황하강, 동으로는 일본열도까지 델타지역에서 만 존재하는 동아시아의 국지성 수종이다.8)
이러한 관계로 칠예는 多元發生的이라 볼 수 있으며, 칠예의 발상지 는 반드시 두 가지 전제 조건이 충족되어야 된다고 본다.
그 중 하나는 옻나무 자생지이 고, 다른 하나는 문명의 발상지이 다. 이 두 조건을 충족할 수 있으 면 어느 곳이라도 칠예의 발상지일 가능성이 있다. 유통이 발달되기 이전인 고대에는 칠산지가 아니면 옻칠을 접해 볼 기회가 없었을 것 이기 때문에 한 가지 조건만으로 칠예의 발상지라고 논하기가 불가 능 할 것이다. 그리고 옻칠 산지의 지리적 위치와 문명 발상지가 같은
곳이라면 그곳은 칠예의 발상지로서 충분한 요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중국 고고학계의 성과에 의해 이미 밝혀진바 있다.
<도1>9)은 이러한 이론을 밑받침해 주고 있다.
8) 옻나무 屬(Rhus)의 化石은 中生代 白堊期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白堊期는 被子植物이 아시아 대륙에 대량으로 출현한 시기이며, 지금까지 발견된 옻나무 屬 化石은 약 6,700만년-250만 년 전의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白堊期에 아시아에는 이미 대륙 동부에 옻나무가 분포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E. B.
吴鲁夫, 历史植物地理学 (北京: 科學出版社, 1964), pp.71-72, 309-310.
9) 위의 도판은 다음과 같이 구별하였다. 원 부분; 早期文明发祥地, 사선 부분; 옻
칠예의 발달은 도구의 발달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인류가 옻칠을 기물에 이용하게 된 것은 자연발생적으로 볼 수 있다.
인류는 씨족공동체로 발전하면서, 경제생활의 변화와 도구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기술이 발명되었고 그에 따른 심미 활동도 이루어져 장 식에 대한 감각을 지니게 된다. 이 시기에 인간은 집단생활과 정착생 활에 필요한 기구를 제작하기 위한 목재를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그리고 옻칠을 이용한 유물들도 대량으로 발견되었다10).
이렇게 나무를 잘 다루었던 고대 옻칠 산지인들이 목재의 채벌 과 정에서 그들의 도구에 옻나무에서 유출된 생칠이 묻었을 가능성은 우 연이라기보다는 필연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게다가 생칠이 피부에 닿은 후 생기는 과민 반응(옻오름)은 그들에게 옻나무를 더욱 쉽게 기 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또한, 당시 옻칠 산지인들은 공구 에 남아 있는 생칠의 흔적으로부터 생칠의 강한 접착력을 쉽게 발견하 였을 것이고 이로부터 생칠을 骨器나 石器의 나무자루를 고정시키는데 이용하기 시작한 것이, 필자는 인류가 생칠을 이용한 시초라고 추정한 다.
즉, 나무자루를 생칠로 고정한 후 그 부위가 쉽게 마모되지 않고 防 水ㆍ防腐ㆍ防蟲 등의 효과가 뚜렷하고 광택이 오래가는 점들을 자연히 알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생칠의 우수한 점을 목제 器皿에 칠하여 기명의 수명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장식성도 가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 후 기물의 형태는 다양하게 발달 하였고 그러한 기물의 장식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광물 안료를 생칠과 배합하여 색료로 사용하기 시작 하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이러한 예는, 하모도 신석기시대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로 살펴 볼 수 있다.
첫째는, 1977년 ‘T224’ 구역의 ‘제4문화층’(약 7,000년-6,500년전)에서 나무 生长地, 원과 사선 중첩 부분; 早期 漆艺의 发源 可能地.
10) 절강성 하모도 유적지. 항주 절강성 박물관 소장.
<도2> 骨耜
<도3> 목통 출토된 ‘骨耜(뼈 보습)’11) <도2>로서, 길이가
18cm, 날의 폭이 9.8cm, 상단부의 두께가 4.2cm이다. 뼈는 대형 포유동물의 어깨뼈로 되 어있고, 윗부분에 가로로 모난 구멍이 있으며, 등나무 줄기로 나무 자루의 목 부분을 동여매 어 구멍에 자루를 고정시켰다.12) 여기 등나무 줄기를 나무 자루 목에 감은 부분이, 검은 광 택이 나며, 아직 과학적인 검증을 하지는 않았 지만, 필자는 이 부분이 생칠로 처리한 것이라 고 믿는다. 왜냐하면 이 지역에서 동일 골사가 수천 점 출토되었지만 다른 것은 자루가 모두
부식되어 없고, 이 골사만 남은 점과 아직도 선명한 광택이 이를 증명 한다.
둘째는 1973년 ‘T17’ 구역에서 출토된 木筒13)으로서, 길이가 32.3cm, 직경 9.4cm, 두께 0.7cm인 흡사 붓통처럼 생긴
것이다(<도3>). 통의 상하 양단은 등나무 종류 의 끈으로 여러 줄 감겨있고 줄이 떨어진 부분 에 옻칠의 흔적이 뚜렷이 보인다.14) 이 통은 비 록 7,00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완벽하게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검은 옻칠의 광택이 우리의 눈을 매료시킨다.
셋째는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주칠 목완’이 다(<도4>). 이 ‘주칠 목완’은 1977년 ‘제3문화층’
(약 6,500-6,000년전) ‘T231’ 구역에서 출토되었 으며, 구경 10.6×9.2cm, 높이 5.7cm, 밑바닥
11) 항주 절강성박물관 소장.
12) 유휘·요중원, 中国河姆渡文化 (抗州: 절강인민출판사,1993), p.87.
13) 항주 절강성박물관 소장
14) 유휘·요중원, 中国河姆渡文化, p.116.
<도4> 하모도 유적지 漆碗 7.6×7.2cm이며, 木胎로 윗부분이
타원형의 참외 모양으로 안으로 모 여 있고, 통 다리는 약간 바깥으로 경사져 있으며, 외벽에는 주홍색 칠이 한 층 도포되어 있다. 주홍색 옻칠을 적외선 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마왕퇴’ 한묘에서 출토된 칠 편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15)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동일 문화권에서 출토된 세 점의 유물에서, 우리는 당시 옻칠을 이용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즉 고대인들의 칠 예 발달 초기 단계는 옻칠의 점력을 이용하여 접착제로 사용하였고, 그 후에는 옻칠의 특성인 방수ㆍ방부ㆍ방충ㆍ광택ㆍ耐耗 등의 우수한 기능을 이용하여 도료로 사용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유물을 통하여 우리는 중국의 옻칠 문화가 이미 신석기 시 대에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칠기 출토 지역이 초나 라 강역임을 알 수 있다. 유물에 나타난 주칠로 보면 그 당시에 이미 옻칠의 정제 능력과 색칠을 만들기 위한 부재료에 대한 지식이 발달되 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초기에 접착제로 이용되었던 옻칠은 그 시 기를 달리하며 다른 소지에 적용하여 독특한 옻칠 문화를 형성하게 되 었다. 또한, 일찍이 이렇게 발달된 초나라 강역의 원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칠기 제작 기술과 옻칠의 특성을 자연스럽게 병기에 이용하여 초 나라는 전력을 증강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Ⅲ. 옻칠의 재료적 특성
본문에서 논급하는 옻칠은 천연칠을 의미하며, 중국에서는 大漆, 國 15) 앞의 글,p.100.
漆, 혹은 生漆이라고도 한다.
중국의 고문자 중 漆을 “桼”이라고 표기하는데,
说文解字
에 ; 칠은 수액으로서 도료로 사용할 수 있다. 글자의 형태는 나무에서 물 방울이 떨어지는 형상을 비유한다.16)라고 하였다.
이러한 고대 문헌을 통하여 우리는 옻칠의 문자 구성과, 성분의 특 징을 알 수 있는데 칠액은 옻나무17)에서 분비된 천연 수액이며, 채취 초기에는 유백색이다. 이것을 生漆이라고 하며, 직접 도료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물인 옻칠은 칠기 제작과정에서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는데 칠기를 제작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그 특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즉, 옻칠 도막의 경화 과정에서 산화 반응이나, 옻칠과 옻칠에 첨가하는 부자재간의 화학적ㆍ물리적인 반응 등은 칠기에 사용되는 옻칠의 특징 을 분명히 이해하기 위한 선결 요구 조건들이다.
1.옻칠의 성분
생칠의 성분은 산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큰 차이는 없다. 만약 생칠의 성분18) 차이를 구체적으로 밝힌다면, 같은 나무에서도 채칠 부
16) “桼,木汁,可以髹物. 从木,象形,桼如水滴而下也.”
17) 옻나무는 낙엽교목으로 높이가 20m 정도까지 자랄 수 있다. 수피는 회백색 이며, 거칠고 불규칙적인 종열 상태이다. 가지는 조밀하지 않고, 종려나무 色의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단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의 수는 9-15 장이고, 단병 에 길이가 7-15cm이고, 폭은 2-6cm이고, 변전엽 엽맥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원추화서로 액생이고, 길이는 12-25cm이며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자웅 이주 혹은 동주로서 작고 조밀하게 피며, 직경 1mm 정도의 황록색이다. 열매 는 아래로 처지며, 편원형 혹은 심방형이고 직경 6-8mm의 종황색이고, 중과피 가 납질로 싸여있는 딱딱한 핵과이다. 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主编, 中国高等 植物图鉴 (北京: 科学出版社, 1972) 第2册, 漆树条,p.634.
18) 생칠의 성분은 옻진(urushiol) 55%-65%, 수분 25%-, 單糖ㆍ多糖類 5%-10%,
위에 따라 다를 수 있고 같은 부위라 할지라도 채칠 방법에 따라 차이 가 나므로, 칠 산지별 생칠의 구성 성분을 조사하여 품질의 양부를 논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생칠의 주성분은 옻진(학명은 우루시올)으로서 생칠 중에 함량이 제 일 많으며, 보통 옻진 함량이 많을수록 좋은 생칠이라고 불리어졌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생칠의 특성 일뿐 품질우열의 기준은 아니다.
옻칠의 고유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려면 옻진의 경화반응에 필수 적인 옻효소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옻효소의 활성도는, 생칠의 보존기 간, Ph, 온도 및 습도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생칠의 보존기간이 길수록 활성도는 낮아지며, 온도가 20°C 전후, 상대습도가 70%-80% 정도일 때 활성도가 높아진다.
초나라 강역의 대부분인 양자강 중류 일대 지역의 기후는 자연적으 로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져 칠기 제작의 적지라 할 수 있다.
2. 옻칠의 도막 형성 과정
생칠의 도막 형성 과정은 칠기의 생산과 품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 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 예로서, 옻칠 도막의 주름이나 옻칠이 흘러내 려 이슬이 맺히는 현상들 모두는 옻칠의 생화학적 반응들이 잘못된 것 이며, 이러한 과정의 양부는 대부분 옻효소 활성도의 고저에 의해 결 정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19), 옛날부터 중국에서는 칠기 제작에 필요한 ‘칠
함질소물질(glycoprotein) 3%-5%, 그 밖에 소량의 옻효소(laccase) 및 회분 등 의 무기물이다.
19) 옻칠 도막이 형성되면서, 표면에는 친수성이 강한 옻진-당단백의 결합 형태 가 많고, 내면으로 갈수록 옻진-다당-당단백의 과립 형태가 많아진다. 칠도막 내의 분자 결합구조가 불균일한 원인은, 도막 표면의 옻진-다당-당단백의 결 합 구조가 산소의 확산을 막아 칠 도막 내에 산소 농도가 희박해져 옻 효소의 활성도가 저하되고, 옻 진 및 측쇄의 다중 결합에 필요한 산소의 부족 때문이 다. 또한, 칠 도막 표면 가까운 곳에서 C—O 결합 형태의 분자 수가 많이 존
장(荫室)’을 만들게 되었다.
史記
에 의하면 二世20)와 優旃과의 대화에서;···二世가 등극한 후, 성벽을 옻으로 칠하고 싶었다. 優旃이 대답하 기를; 좋으신 생각입니다. 성벽을 옻으로 칠하려면, 백성들은 세금 때문에 걱정하겠지만 정말 아름다울 것입니다! 그리고 화려한 성벽에 적이 미끄 러워 올라오지 못할 것입니다. 원하신다면 옻을 조달하기는 어렵지 않지 만, 칠장 제작이 곤란합니다.21)
라고 하였다.
위의 내용에 의하면, 최소한 전국시대 말기부터는 황하 유역에서는 칠기를 제작할 때 칠장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칠장의 기능은 칠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켜 다음 공정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며, 칠의 강도 나 광택을 좋게 하고 칠장 내의 먼지를 가라앉히는 역할을 하여 도막 표면의 청결에도 유리한 조건을 갖게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양자강 중류 일대는 황하강 유역과는 기후 조건 이 달라 반드시 칠장이 필요한 것은 아니었다. 그 곳은 겨울 이외에는 기온과 강우량이 칠기 제작에 적합하였는데 특히, 봄에서 초여름 사이 의 기후조건은 칠기 제작에 가장 적절하여 오늘날에도 江漢 지역의 칠 장인들은 별도의 칠장을 구비하지 않고 작업을 한다.
초나라는 지리적으로 양자강 중류에 자리 잡고 있었기에 황하강 유 역의 다른 나라들에 비하여 칠기제작에 유리한 자연 조건을 갖추어 칠 장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고도 일년 내내 우수한 칠기를 생산할 수 있 었다. 바로 이러한 점이, 초나라에서 우수한 칠기가 대량 출토되는 원
재하고 내면으로 갈수록 C—C 결합 형태의 분자 수가 많은 것도 이러한 산소 분포 때문이다. 이러한 것이 칠 도막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내구성과 鲜映性(옻 칠 도막의 고유한 반사 능력으로 얇은 도막이 깊고 그윽한 느낌을 주는 광학 적 성질)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20) 秦國.
21) 史记 滑稽列传 (中华书局), p.3203, “二世立,又欲漆其城. 优旃曰:‘善……
漆城虽于百姓愁费,然佳哉! 漆城荡荡,寇来不能上. 即欲就之,易为漆耳,顾难 为荫室’.”
인 중 하나이다.
이렇듯 칠기 제작에 필요한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초나라의 장인 들은 오랜 세월동안 칠기제작의 풍부한 경험을 통하여 옻칠의 속성과 특징을 파악하여 아름답고 견고한 髹物 등을 제작하기에 이른다.
Ⅳ. 초나라 칠정의 형성
초나라 칠예는 전국시기로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성장하였는데 사회 는 경제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冶鐵業의 발달로 鐵製工具의 사용이 확대되어, 농업생산의 제고와 수공업 분야의 생산도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춘추시대 이전까지 신분의 상징이었던 禮器는 더 이상 그 상징성을 잃어 자유롭게 기물을 제작하는 풍토가 형성되었다. 초나 라에서는 이러한 현상과 일찍이 발달되었던 칠예 기술의 축적으로 기 물과 장식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결과를 낳았으며, 또한, 이러한 조건은 초나라의 자연조건과 부합되어 옻칠을 전략물질로 관리하는 칠정이 형 성되게 되었다.
1. 楚 나라의 옻나무 分布
초나라 건국 초기인 西周시기에는, 초나라 사람들은 荊山 일대에서 살고 있었는데, 이 지역은 중국의 중요한 漆産地 중 하나이다.22)
문헌에 의하면, 춘추전국 시기의 초나라는 生漆 자원이 풍부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예의 하나로,
莊子
人間世 에 의하면;楚 나라 昭王 재위시23) 공자가 遊說하며 초나라에 도착하였을 때, 隱 士 接輿가 孔子에게 말하기를 계수나무는 食用이어서 잘리고, 옻나무는 22) 현재 湖北省 西部.
23) B.C 512~B.C489 年 在位.
칠이 有用하여 긁히는데 사람들은 有用의 用만알지, 無用의 用을 알지 못 하는구나.24)
라고 하였다.
위 내용에서, 춘추전국시기에 초나라는 이미 옻나무가 많았으며, 채 칠 기술이 크게 발달하였고 대량 채칠이 시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 다. 이외에도 칠산지에 관한 고문헌의 기록은 산재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초나라의 옻칠 산지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尙書
禹貢 에 의하면 “豫州…공물은 漆, 枲, 絺,纻
···”25)라 하였 다. 여기에 칠은 생칠을 의미하며, 당시의 예주는 지금의 河南, 湖北, 陝西, 山東 등지이다.
史記
貨殖列傳 에 의하면 “陈夏26)에 천묘27)의 옻나무를 조림하였 다”라고 하여, 비록 서한 전기의 상황을 설명한 것이지만, 춘추전국시 기에 이미 이 일대에 대 단지의 옻나무 인공 조림이 시행되었음을 암 시하고 있다.이외에
山海經
에도 여러 곳에 칠산지가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 면;“京山에 옻나무가 많다.”
“虢山 위에 옻나무가 많다.”28)
“翼望山 아래에 옻나무와 가래나무가 많다.”
“熊耳山 아래에 옻나무가 많으며 북쪽 180리에 号山이라는 곳에 옻나무와 종려나무가 많고, 서쪽 120리에 刚山이라는 곳에 옻나무가 많고, 서쪽 350리 英鞮山에 옻나무가 많다.”29)
24) “桂可食,故伐之,漆可用,故割之. 人皆知有用之用,而莫知无用之用也.”
25) 豫州···厥贡漆, 枲, 絺, 纻. 中国古代地理概念中的“九州”之一.
26) 春秋战国 시기에 이곳은 초나라 강역임.
27) 1묘는 6,000평방척.
28) 山海经 北山经 (山海经全译,贵州人民出版社, 1991年12月 第1版), p.62.
29) 앞의책. p.128, p.168.
<도5> 초나라 강역도 등이 있다.
위 글의 지명의 정확한 위치를 고증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의 지역 이 현재의 하남, 호북, 섬서 일대이다. 이러한 기록은 우리에게 당시 초나라인들이 이미 옻나무를 중요한 자원으로 간주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당시 초나라의 강역을 살펴보면 <도5>와 같다.
옻나무는 일반적으로 해발 300m-2,300m간에 분포하며, 그 중 해발 400m-1,500m간의 구릉이나 낮은 산 혹은 계곡 등지에 많이 식생하고 있었다.
문헌에 자주 등장하는 호북 성 서부 일대는 옻나무의 생 육조건에 부합하는 곳으로, 특 히, 산칠량이 많은 利川30) 지 방은 약 해발 1,000m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호북 지방은 아열대 기후대로서 연평균 온 도는 15°C이고 연강우량은
1,200mm 정도로서 옻나무 생장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천 역시 연평균 온도가 13°C이고 연강우량이 1,300mm 정도로서 옻나무 생장에 유리한 곳이라 할 수 있다.31)
일반적으로 알려진 중국의 옻나무 분포 중심지는 秦岭, 大巴山, 武当 山, 巫山, 武陵山脈 일대로서, 이곳에는 옻나무 천연림이 넓게 자생하 고 있으며, 인공림도 일부분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이곳에서 채취되는 생칠이 바로 유명한 毛坝漆, 建始漆,32) 平利漆33) 등으로, 색상이나 품 30) 湖北西部,楚国发源地.
31) 后德俊, 楚国的矿冶髹漆和玻璃制造 (湖北教育出版社, 1995), p.203.
32) 两地 湖北 鄂西 自治州.
질이 모두 우수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이러한 옻나무 중심지가 전국시대에 는 대부분 초나라 강역 내에 있었으므로 초나라인들의 옻나무에 대한 관심이나 지식은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하여 당연히 높았을 것이다.
초나라가 이후 국력이 증대되어 영토를 확장한 곳도 지금의 호북 서 부, 섬서 남부 및 사천 동부 지역으로 역시 옻나무가 많이 자생하는 곳이다. 이러한 사실은 초나라가 생칠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었다 고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2. 産漆 및 漆器製作 管理
고대국가들은 일찍부터 옻나무와 칠기 제작을 관리 하여 왔는데, 하․상․서주 시기는 옻나무 관리와 채칠 및 칠기 제작의 주요한 부분 을 官府에서 경영하였다.
예기
에 의하면 “工, 商, 植을 관장하는 부 서가 있어서 ···시전에서 세금 검사와 소집을 하지 않았다”34)고 한 다.이 시기의 옻칠 관련 사업은 비교적 높은 이윤을 얻을 수 있기 때 문에 귀족들이 특수한 지위를 이용하여 옻칠을 거래 하였고 이를 통하 여 막대한 부를 축적하였다.
周禮
载师 편에는···주 왕실에서는 옻칠 생산을 중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제도 심하 게 하였는데 천리 이내에서 옻나무를 경영하면 세금을 징수한다.35)
33) 陕西 南部.
34) 禮記 (상해고적출판사,1987), p.73, “工商食官”···“市廛而不税,關譏而不 征.”
35) 심복문, 중국칠예미술사 (인민미술출판사, 1992), p.8; “漆林之征,二十有五”
(贾氏曰:漆林之税特重,以其非人力所能作. 郑锷曰:漆之为物,特为用文饰. 舜 造漆器,群臣咸谏;惧用漆以至金玉,富民之道,可不禁其奢乎? 植至成林,则 奢意无极,特重其税,非不仁也) (周禮 载师 ).
라 기록되어 있다.
위의 두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고대 왕실에서는 옻칠 생산을 중히 여기고 이를 관리하였으며, 사사로이 옻나무를 경영하는 자에겐 과중 한 세금을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옻나무에 대한 세금은 25%36) 이며 이것은 일반인이 감당하기에는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당시 이렇 게 높은 세율을 적용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은, 귀족들이 옻칠을 장식 용으로 사용하여 사치가 극에 달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율 은 중국 생칠 역사상 가장 높은 것이며 옻밭 경영에서 얻어지는 고 수 익의 경영자가 이미 관부의 범위를 벗어나 중ㆍ소상인까지 확대되었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칠의 産漆量이 증가하자 주나라 왕실은 제후국들에게 생 칠을 공납 받았는데,37) 그 시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매년 강제로 징수 하였다.
이러한 칠의 관리는 전국 시기에 이르러서는 생칠 경영과 칠기 제 조에 관한 통제가 더욱 엄격하게 되어 칠기 수공업은 국가에서 아주 민감한 업종이 되었다. 그 중 초나라의 칠기 공예와 병기의 발달이 가 장 두드러졌으며 그 응용범위도 확대되었다. 이 시기는 품질 좋은 생 칠과 품격 있는 칠기를 얻을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이 축적되어 대량생 산이 가능하였으며, 휴물의 기형ㆍ기법ㆍ문양ㆍ색상 등이 다양하게 발 달 하였다. 당시 상류층에서는 둔탁하고 무거운 청동기 대신 가볍고 견고하며 우아한 칠기를 경쟁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하 여 왕실이나 봉건 지주, 귀족들과 상공업자들이 옻나무 밭을 경영하거 나 옻칠을 생산하는 것이 이윤을 도모할 수 있는 일이라 여겨 크게 중 시하였다.38)
36) 조금주, 중국생칠세수사연구 (섬서생칠 1981년 제1기),p.4.
37) 서주 시기 공납 방식은 職貢 과 朝貢 두 종류가 있다. 직공은 제후가 봉국 내의 주요 특산품을 공물로 바치는 것으로 매년 일정한 양을 강제적으로 징수 하였다. 하남이나 산동 일대의 제후들이 주 왕실에 생칠을 공납하였을 가능성 이 높다. 조공은 제후국내에서나 아니면 다른 지역에서 수집한 진귀한 물품을 공납하는 것으로 매년 공납하지 않고 그 시기는 일정하지 않다.
이렇게 칠기의 수요량이 증가하자 국가에서는 옻나무 밭을 직영하 며 그 곳에 옻나무를 관리하는 전문적인 관리를 두어 관리하게 되었 다.
史记
에 의하면; “庄子는,蒙지방인이다. 이름은 周이고 蒙지방의 옻밭 관리를 지낸 일이 있다”39)라고 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장자가 송 나라의 옻밭 관리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러한 예로 볼 때, 옻나무 성장 조건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추어 대량의 칠을 생산하는 초나라의 경우는 옻밭 관리가 더욱 엄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생칠에 관한 시장 경영에 제재를 가하였던 제도는 漢대에도 계속되 었는데, 생칠은 시장에서 임의로 매매 활동은 가능하나 제사용 칠기 종류의 제작과 판매는 규제를 가하였다. 국가에서 관청에 칠기의 가격 을 평가하는 전문 관리인 贾师의 통제 하에 두었다. 이 제도는 옻칠 상품은 반드시 관리인인 가사의 품질 검사와 적정 가격의 동의를 얻은 다음 시장에 내놓을 수 있었으며, 이를 어기면 바로 처벌을 하였던 것 이다. 또한 관부에서 제작한 상품도 관리를 통해 가격의 통제를 받게 하였다. 40)
오늘날은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채칠 기술이 진보되었고 생산 력의 수준도 높은 조건이지만 산칠량은 아주 제한적이다.41) 하물며, 전 국시대는 생산력 수준에 비추어보면, 채칠 노동의 강도는 강하고 소요 되는 노동 시간도 더욱 많을 것이나 산칠량은 오늘날보다 제한적이었을 것이다.
전국 시기 초나라는 생칠을 전략 물질로 중시하였음에도 불과하고 귀족들은 옻칠로 장식한 기물을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삼아 과시하려
38) 조금주, 중국생칠경영사초심 (중국생칠 1983년 제2기),p.35.
39) 사기 노자한비열전 제3 (중화서국, 권7),p.2143, “庄子者,蒙人也,名周.
周尝为蒙漆园吏”
40) 앞의글,p.35.
41) 체칠 조건이 최적일 경우 6월부터 10월까지 1인 평균 체칠량이 80-100kg.
하였다. 당시 영토 확장에 심혈을 기울인 초나라의 위정자들로서는 당 연히 정치적으로 옻칠 생산과 칠기 제품 생산에 대한 엄격한 관리를 하였을 것이며, 일상 생활용품에 대한 옻칠 사용을 제한하는 법령을 제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은 칠기를 사용할 수 있는 계 급을 규정하여 생칠 생산에 대한 중과세를 부과하게 하고, 종국에는 국가가 생칠 생산을 직영하는 용단을 내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 이다.
이러한 예는 전국시기 초 분묘에서 출토되는 칠기가 청동기나 도자 기에 비해 많지 않은 것42)의 연유일 것이다. 즉, 다시 말하면, 일상용 품이나 공예품으로 제작된 칠기가 전쟁이 끝난 후인 초나라 지역의 漢 분묘에서는 대량으로 출토되는데 이러한 상황은 이를 그 원인으로 해 석하게 한다.
3. 髹物의 현황
明代 漆書인 휴식록43)의 揚明 서문에는, ‘우왕이 제기에 옻칠을 하 였다’는 내용을 “고대에 옻칠이 단순한 도료의 역활에서 장식으로 발 전하는 단계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하였다.”44)
또한 위의 내용으로 원시사회 말기의 칠기 발달과 그 의미에 대해 서 짐작할 수 있는데, 당시 칠기는 제기만을 제작하였으며 그 수량이 적고 귀중하여 신분이 높은 귀족들만이 사용하였다.45)
이렇게 시작된 髹物은 전국시기에 들어서는 양자강 이남 지역에 넓 게 확산되었다. 이 시기는 다양한 기물의 형태와 素地46)위에 옻칠을 42) <표1> 참조
43) 명나라 초기 황대성이 저술한 옻칠 관련 유일한 고전.
44) “漆之爲用也, 始於書竹簡, 而舜作食器, 黑漆之, 禹作祭器, 黑漆其外朱畵其內, 於此有其貢.”
45) 陳振裕, 我國夏商時期的漆器工藝 (초문화와 칠기 연구, 북경: 과학출판사.
2003), p.388.
46) 당시 칠기는 주로 銅器나 竹編등의 기물에 옻을 칠하였으며, 그밖에도 칠기
하고 색칠을 이용하여 장식하는 등의 彩繪漆器가 주종을 이루게 된다.
특히 초나라 지역에서는 목조각에 象嵌 및 針刻 등의 기법을 함께 사 용하여 옻칠을 실생활의 모든 기물에 응용하여 제작하는 등, 화려하고 섬세한 낭만적인 옻칠 문화가 펼쳐지게 되었다.
이용자의 신분 차이에 따라 칠기의 품질과 기형이 다양해지고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생산량이 급속히 증대되었다. 그리고 당시의 위정자 들이 옻칠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심을 가지게 되어 각종 병기에 칠을 응용하여 다른 제후국들 보다 강력한 무기를 소유할 수 있었다.
오늘날 칠기의 주요 출토지는 당시 초나라의 수도인 新陽ㆍ長沙ㆍ 江陵 및 隨縣 등이다. 그 중 강릉 지역에서 출토되는 칠기는 기본적으 로 전국시대 모든 칠기의 종류나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일상생활 용기(耳杯ㆍ豆盘ㆍ樽盒ㆍ匜ㆍ壶ㆍ勺), 가구 류(几ㆍ案ㆍ架ㆍ座屏), 악기류(鼓ㆍ 瑟ㆍ琴ㆍ笙ㆍ笛ㆍ排箫), 장례용품 (棺椁ㆍ镇墓兽)과 가장 많은 수를 점하는 병기(车马附件ㆍ盔甲ㆍ盾牌 ㆍ弓箭)류 등이다.47)
이상의 출토 유물을 근거로 그 특징을 살펴보면 ;
첫째, 그 내용면에서 춘추 시기에 비해 양적으로 禮器는 적어지고 일상생활용기가 많아졌으며, 제작 기법은 목태 위주에서 木ㆍ竹ㆍ骨ㆍ 角ㆍ銅ㆍ皮ㆍ夾苧48)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그리고 기물의 종류 도 다양해져 춘추시기에는 12종이었던 기물이 전국 시기에는 60여종이 나 되었다. 그밖에도 전국 시기에는 扣器기법49)과 협저기법50)이 광범 위하게 사용되었다.
의 소지는 나무, 대나무, 가죽, 삼배 및 도자기 등이 있다.
47) 湖北文物考古研究所 編, 江陵望山沙冢楚墓 (文物出版社, 1996年 4月, 제1 판), pp.19-25; 湖北省荆州地区博物馆 편, 江陵马山1号楚墓 (文物出版社, 1985 年 2月 第1版), pp.77-92; 湖北省博物馆, 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 编辑, 曾侯 乙墓 (文物出版社, 1989年 7月 第1版), pp.60-73.
48) 荆门包山楚墓出土漆器에 근거하였음.
49) 그릇 입구를 금속으로 태를 두르는 기법.
50) 모형 틀에 삼배나 마 종류의 배를 옻칠로 중첩되게 한 다음 모형을 제거하는 기법.
둘째. 초나라 칠기는 전반적인 생활 기물에 그 범위가 그친 것이 아 니라 병기에까지도 그 제작 범위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초나라 의 병기를 보면, 출토된 수량도 많고, 품질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그 예로 행군류의 차마용품, 방어류의 순패, 공격류의 궁노, 전시 등이 있 다.
병력이 수십만인 초나라가 전국 시대에 칠국을 재패할 때, 빈번한 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무기류의 수량이 얼마나 소요 되었는가는 상상하고도 남음이 있다. 또한 회수가 불가능한 소모품인 활촉에 사용된 칠의 양이 얼마나 되었을까도 능히 추정할 수 있다.51) 옻칠은 그 채취가 쉽지 않으며 제작 또한 간단하지 않기 때문에, 국가 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였을 것이며 그 통제가 엄격하였을 것으로 추 측이 된다. 바로 이러한 점이 당시 국가가 정책적으로 칠을 관리하는 목적이고 칠정을 하였을 만한 원인이라 생각한다.
4. 戰略物質로서의 漆
전국시기 초나라 분묘의 부장품 중 병기류는 대부분 칠을 사용하였 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초나라는 생칠을 중요한 전략 물질로 취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옻칠을 사용한 중요한 부장품의 출토 현황은 아래와 같다.
1) 湖南 常德 德山 楚墓52) (1) 铜剑; 조기 2점, 중기 4점.
(2) 木弓; 조기 1점, 만기 1점. 함께 출토된 残箭箙 1점, 铜镞 9점.
(3) 铜戈 및 戈鐏 ; 완기 묘장에서 戈 2점.
51) 『左傳』에 당시 무기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데 적궁 하나에 화살 100개, 흑궁에는 화살 1,00개를 화살통에 넣어 300인에게 무장시켰다 (彤弓一, 彤矢百, 玈弓 矢千, 秬鬯 一卣, 虎寬三百人).『左傳』(上海古籍出版社 1997年 12月 第1版). p.375.
52) 호남성박물관 편, 호남상덕덕산초묘발굴보고 (고고 1963년 제9기), p.461.
2) 江陵 溪峨山 楚墓53) (1) 剑 6점.
(2) 匕首 4점.
(3) 戈 19점.
(4) 矛 4점.
3) 湖南 慈利县 石板村 战国墓54) (1) 剑鞘 3점.
(2) 铍 2점.
(3) 匕首柄 1점.
(4) 戈柲 4점.
(5) 镞 19점.
(6) 弓 3점.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당시 대표적인 몇 기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 에서 칠을 사용한 병기의 종류는 剑鞘, 匕首, 戈柲, 戈杆, 弓, 镞, 铍, 矛杆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 이 밖에 長沙 지역 초나라 묘에서 출토된 유물들 중 칠을 사용한 병기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漆盾과 执手 4점.
(2) 漆戟과 戟夹 1벌.
(3) 矢箙 1벌.
지금까지 발견된 칠과 관련된 병기 중 단일 품목으로 수량이 제일 많은 것은 漆盾과 甲胄이다. 전국칠웅 중 초나라의 방패는 그 견고함 을 제일로 하는데, 그 예로서 ‘湖南 长沙 五里牌 406호묘’에서 출토된
‘彩绘龙凤纹漆盾’과 ‘湖北 江陵 李家台 4호묘’에서 出土된 ‘彩绘三角云 纹漆盾’<도6>55)은 칠을 사용한 병기 중 명품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발견된 ‘증후을묘’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살펴보면56), 옻칠을 53) 호북성박물관강릉공작참 편, 강릉계아산초묘 (고고 1984년 제6기), p.515.
54) 호북성문물고고연구소 편, 호남자리현석판촌전국묘 (고고학보 1995년 제 2기), p.173.
55) 호북성 박물관 소장.
56) 호북성 박물관 소장.
<도6> 髹漆皮甲胄 이용하여 제작된 갑옷이 출토되었는데 그 재질이 청동으로 된 것보다 훨씬 가볍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작하기도 쉬운 나무와 가죽 두 종 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표피에는 옻칠을 하여 방수 기능까지도 높여 놓았다.
이 가죽 갑옷은 투구ㆍ몸통ㆍ치마ㆍ소매가 한 조로 되어 있으며, 46 가지 청동 모형 틀로 눌러 만든 201 조각을 실로 연결하여 조성되어 있다. 이 갑옷의 크기는 전체길이 84cm, 소매길
이 40cm, 가슴둘레 119cm, 치마둘레 156cm인데 그 크기로 보아 당시 칠 사용량의 규모를 예상 할 수 있다.
초나라 군비에 관한 문헌은,
楚辞
,
左传
,
荀子
등에서 찾아 볼 수도 있다.
楚辞
九歌·国殇 편에손에는 예리한 오나라 창을 쥐고 몸에는 강인한 물소 가죽 갑옷을 입고, 적군과 아군의 전차가 부 딪치는 소리와 병사들의 칼 부딪치는 접전을 한 다.57)
라고 하여 당시 가죽갑옷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左传
襄公三年 에 보면···초나라 정요 장군이 组甲 300명과 被練 3,000명을 거느리고···58)
라고 되어 있는데 이를 杜预가 설명하기를 “组 甲은 漆甲成组文”이라고 하였다. 이는 초나라의 군사 300명이 옻칠을 한 갑옷을 입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57) “操吴戈兮披犀甲,车错毂兮短兵接.”
58) “使邓廖帅组甲三百,被练三千.”
荀子
议兵 에도, “초나라인들은 물소가죽으로 갑옷을 만들었는데 견고하기가 금석과 같다”59)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당시 초나라의 혁태 칠기가 중요한 군사 장비임을 입증하는 것으로서. 江陵ㆍ滕店ㆍ 拍马山ㆍ长沙 등지의 초나라 묘에서 대부분의 발견되고 있다.지금까지의 위의 문헌에서 살펴본 바로 옻칠을 이용한 초나라의 병 기는 단순한 부장품이 아닌 실제로 당시 전쟁에서 사용 되었던 무기이 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이동 수단에 사용된 수레도 출토 되었는데, 초나라 수레 의 대부분은 구조가 복잡한 전차로서 지휘관용과 일반용 두 종류로 나 눌 수 있다. 출토 지역은 淅川 下寺 车马坑60), 淮阳 马鞍冢 车马坑61), 宣城 罗岗 车马坑62) 등지이며 그 중 九店 楚墓 车马坑에서 출토된 수 레는 옻칠을 사용하여 현대에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기도 하였다. 지 붕이 있는 수레의 辕, 轴, 轮, 厢, 伞 등의 주요한 부속은 모두 목재로 되어 있는데 그 위에도 옻을 칠하였던 유흔이 남아 있다.
위의 문헌과 출토유물을 통하여 우리는 초나라의 대부분 병기들이 옻칠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화살에서 금속성인 촉과 화살대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로 옻칠을 사용하였으며, 일부 화살 대에도 옻칠의 유흔이 남아있다. 또한 칼집에도 옻칠을 이용하여 마모 와 부식을 방지했을 뿐만 아니라 미관도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전국 시기의 특수한 사회 환경을 고려하면, 다른 나라도 전 비 확충에 몰두하였을 것은 분명한 일이고, 군수물자의 물량 확보와 기술 혁신에 노력을 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옻칠은 전국 시기에 아 주 중요한 전략 물질로 취급되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은 옻칠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지 않고, 칠 59) “楚人鮫革, 犀兕以爲甲, 堅如金石.”
60) 하남성문물연구소 등편, 석천하사춘추초묘 (문물출판사, 1991), p.24.
61) 하남성문물연구소 등편, 하남회양마안총초묘발굴연시문고 (문물 1984년 제10기), p.1.
62) 호북성문물고고연구소 등편, 호북선성라강차마갱 (문물 1993년 제12기), p.1.
시기/유형 갑 을 병 정 계 1 0(0) 2(0) 27(0) 0(0) 29(0)
2 1(1) 5(1) 74(0) 0(0) 80(2)
3 5(2) 76(7) 207(4) 1(1) 289(14)
4 3(1) 373(50) 518(10) 15(3) 909(64)
5 1(0) 269(39) 444(6) 27(4) 741(49)
계 10(4) 725(97) 1271(20) 42(8) 2048(129)
*( )내의 숫자는 칠기가 출토된 묘이다.
을 단순한 도료로서만 취급하고 출토된 유물 중 칠기를 근거로 옻이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초나라의 옻 칠 문화를 잘못 이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는 옻칠이 초나라에서 전략 물질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 다는 전제하에서 다음과 같은 조사를 하였다.
전국시기 초나라 장사 지구에서 1952년부터 1994년까지 40여 년간 발굴한 2,048기의 초나라 묘를 집계 하여 칠기 출토 여부를 분석한 것 이다. 시기는 4기로 나누고, 마지막으로 시기를 추정하기 어려운 묘는 5기로 분류하였으며, 묘장의 규모에 따라 갑, 을, 병으로 나누고 규모 를 구분하기 어려운 묘는 정으로 분류하였다.63)
초나라 장사지구 분묘 출토품을 근거로 칠기 출토묘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아래 <표1>과 같다.
<표 1> 장사 지구 초묘 발굴 통계표
이 통계표에 의하면 초나라 분묘에서 칠기가 출토된 숫자는 실제로 많지 않았다. 출토된 칠기의 절대 수량은 많지만, 당시 주로 사용하던 63) 묘의 규모와 명기로 사용한 그릇의 숫자에 근거하여 초묘를 갑, 을, 병 3종류 로 구분하였다. 갑은 명기가 5정 이상으로 묘주의 지위가 대부급 이사에 해당 되고, 을은 명기가 2~4정으로 묘주가 사급으로 4정은 상사 3정은 중사 2정은 하사에 해당되고, 병은 명기가 1정이거나 일용 도기를 사용하였다.
청동기나 도자기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당시 초나 라 사회에서 칠기 사용이 보편화한 것이라 보기에는 미흡하다.
즉, 매년 제한된 생칠 생산량을 가지고 대량의 군수 물량을 충족하 려면 보편화된 일상 생활용품을 제작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어느 시 대를 막론하고 군수 물자는 정부가 관리하는 것이 상례이다. 이러한 연유로 초나라는 생칠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옻나무의 전반적인 관 리ㆍ채칠ㆍ유통ㆍ제작 및 용도까지 관리 감독하는 제도를 형성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도를 통하여 전략 물질을 확충하여 강대국의 면모를 갖추었을 것이고, 신분에 따른 칠기를 제작하여 옻칠 문화의 고봉인 ‘초나라 옻칠 문화’를 이루었던 것이다.
Ⅴ. 결 론
중국의 공예 미술품 중 漆器는 비교적 특수한 부문이라고 할 수 있 다. 이는 칠기가 재료적인 측면에서 다른 공예품과는 달리 유기물질인 옻칠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옻칠은 고대로부터 그 재료적인 특성으 로 인하여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이제까지 살펴본 바로는 전국 시기의 초나라는 옻칠을 이용하여 다 양한 옻칠 문화를 형성하였는데, 그 중에서 병기에 응용하여 전국 시 대의 7웅이라는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초나라가 정책적으로 옻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초나라가 옻칠 관리를 제도화 할 수 있었던 조건은; 첫째, 지리적으 로 초기 초나라 영토가 옻나무 자생지인 관계로 옻칠의 용도에 대한 지식을 일찍 파악하여 도구와 기물을 제작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고온 다습한 기후 조건은 옻나무 성장의 적합지로서 산칠량도 많고 품질 좋 은 칠을 생산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자연 조건으로 인하여 일찍 이 옻칠의 생화학적인 현상을 이해하였다는 점이다. 초나라는 칠기제
작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추어 칠장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고도 일 년 내내 우수한 칠기를 생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건은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넷째, 정치적으로는 영토의 확장으 로 인하여 칠산지를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전쟁의 승리로 인하여 기존 의 칠산지에 호북성 서부, 섬서성 남부, 사천성 동부를 강역으로 하는 칠산지를 획득하여 생칠 자원을 대량으로 확보하였다. 다섯째는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옻칠을 다루는 기술을 축적하고 응용하여 강력한 전략 물질인 병기를 제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속에서 전국 시기 이후 급속히 발달된 칠기 문 화는 생칠의 수요가 급증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에 국가는 생칠을 확보하기 위하여 직접 옻나무 밭을 조성하고 관리를 파견하여 옻밭을 관리하게 하였다. 또한, 생칠 확보를 위하여 옻밭을 경영하는 자에게 과중한 세금을 받았으며, 신분에 따라 칠기를 사용하게 하여, 개인의 칠기 제작과 매매 활동을 자유롭지 못하게 하 는 등, 옻칠 사용을 제재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게 되었다.
이른바 漆政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칠정의 의미는 국가에서 자연 조건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 여 국가를 발전시킨 예로서 초나라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The Study on Formation of Chu dynasty’s Ott-policy
Kwon, Soon Serb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a's ancient vessels, It has an important role that Ott(natural lacquer) has been used as an adhesive. Ott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came to enlarge the scope of that role was. The appropriate tools and utensils used in Ott became, to different regions and nations, due to its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war had frequently been widely us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Ottchil(liquid from Ott-tree) improve the quality of weapons and equipment were let, And to prolong the life of the attributes had.
Thus, politicians began to receive attention.
Because of the Ottchil, Chu dynasty to form a variety of cultures was Ott.
Ottchil unearthed in China are using the tools and utensils,
Ottchil-ware craft is the most intensive. However,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excavated Chu dynasty is weapon a large amount
This paper attempt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se features were.
Through more information, weapon at the time you've been making intensive use Ottchil Chu dynasty areas were identified in the archaeological remains. These Ott-policy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aspects are considered. Chu dynasty for the Ott-policy had been able to let the development conditions.
The information;
First, Geographical area, the initial Chu dynasty is Ott-tree(Rhus verniciflua. Stokes) habitat. They were made tools and utensils for Ottchill earl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econd, Hot and humid climatic conditions are capable of doing the Ott-tree growth, and good quality and quantity had been produced.
Third, Chu dynasty for a Ottchill-ware production was equipped with the natural climatic conditions, Was not limited to hardening.
It was able to produce year-round excellent Ottchill-ware. In addition, these conditions can cause the mass production system was functioning.
Fourth, Politically, the expansion of territory, whether due to a more secure Ottchill production area was. it were Eastern Sichuan, Western Hubei, southern Shaanxi. Because of the war to victory.
Coordinated effort Ottchil resources were secured in large quantities.
Fifth,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e accumulation of skills, was Ottchil. Coordinated effort to stage a strong strategy, the weapon was produced.
Above these conditions, Chu dynasty Ott culture with a variety of instruments was being developed. Ultimately, the nation's weapons industries, the application was valid. In other words, the viscous properties of Ott and robustness and is antiseptic and waterproof. Chu dynasty peoples which were used. Weapon in order
to create a robust, And it was based on creating a powerful army.
And won the war. However in the process, developed rapidly Ottchill-ware culture since the Warring States period, Ottchill has been a surge in demand that results.
To ensure this country Ottchil direct management in the country has become.
Identity with the Ott was used, Ott produc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of individuals were able to be free, dynasty to ensure that paint and Ottchil business tax to those who were more.
Administration officials came to the Ott-tree farm. There was dispatched to the Administration and officials was to manage the Ott-tree farm.
The so-called Ott-policy has begun. The meaning of these Ott-policy in the country by taking advantage of the natural conditions have developed the country-specific features as an example can be called Chu dynasty.
주제어: 초나라, 병기, 칠정, 옻, 옻칠, 옻나무.
關鍵詞: 楚國, 兵器, 漆政, 漆, 漆液, 漆樹.
Keywords: Chu dynasty. Ott-policy. Ott(natural lacquer). Weapon, Ottchil(liquid from Ott-tree). Ott-tree(Rhus verniciflua. Stokes).
(원고접수: 2010년 9월 10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10월 8일, 수정원고 접 수: 10월 19일, 게재 확정: 10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