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變法運動 時期 陳熾*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變法運動 時期 陳熾*"

Copied!
26
0
0

Teks penuh

(1)

Ⅰ. 서 론

Ⅱ. 陳熾의 생애

Ⅲ. 陳熾의 정치 사상

Ⅳ. 陳熾의 경제 사상

Ⅴ. 陳熾의 교육 사상

Ⅵ. 결 론

變法運動 時期 陳熾

1)

金 慶 惠 (弘益大)

Ⅰ. 서 론

陳熾(1855-1900)는 중국 근대 저명한 변법사상가이자 帝黨과 변법파 간의 연결자로서 1895년 翁同龢, 康有爲와 함께 변법대강의 초안을 작 성하였으며

萬國公報

1)를 창간하고, 强學會를 설립하는 등 변법운동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인물이다.

청일전쟁 패배 이후 瓜分·亡國·滅種의 위기상황에 직면한 중국 지식 인들은 국가의 존망과 관련하여 변화를 도모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여 전히 보수의 노선을 걸었던 전통적 지식인들이 많았지만, 康有爲·梁啓 超처럼 적극적으로 정치적 활동에 종사하였던 인물들도 있었고, 何啓 와 胡禮垣처럼 정치 활동보다 저술 활동을 통해 變法을 선전하고 지지 하였던 이들도 있었다. 또 양무파와 정치적으로 연계가 긴밀한 陳寶箴 같은 이들도 있었고, 翁同龢와 같은 중앙의 고관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글은 2013년 홍익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1) 陳熾는 “일에는 先後가 있다. 먼저 신문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열게 한 이후에 학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신문의 중요성을 설명하면서 학회 설립에 앞서

萬國公報를 창간하였다.

(2)

이처럼 하나의 정치적 파벌로서 변법파는 구성원이 매우 복잡한 혼합 체였다.2)

당시 중국 지식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법을 지지하거나 참여하 였기 때문에 변법운동에 대한 연구 역시 康․梁만의 입장에서가 아닌, 다양한 인물들의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변법운동 관 련 연구는 여전히 康․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 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부족한 인물인 陳熾에 대 한 연구를 통해 변법운동 시기 인물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 변법운동 의 다양한 면모를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 였다.

그렇다면 왜 陳熾인가? 陳熾는 변법운동 시기 中學에 깊은 바탕을 두고 西學을 접촉하면서 사상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전형적 인 인물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는 전통 사대부 가문 출신으로 과거를 통해 관직에 올랐지만 동시대인들로부터 ‘通才, 異才, 通西法 者’3) 등으로 평가받을 만큼 西學에도 능통하였던 인물이었다. 그가 겪 었던 문화적 충격과 그로 인해 나타났던 급진적 태도, 그러나 결국엔 극복하지 못했던 한계와 좌절을 통해 변법운동 당시 전통적 중국 지식 인이 겪는 내면의 다양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陳熾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1990년 그의 고향인 江西 瑞金에서 ‘陳 熾와 戊戌維新’이라는 학술대회가 개최되면서 활기를 띄기 시작하였고, 1997년에는

陳熾集

이 정리, 발표되면서 陳熾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 대되었다4) 그러나 여전히 변법운동 시기 陳熾와 교류하였던 인물들과 2) 리쩌허우, 임춘성 옮김,중국근대사상사론(한길사, 2005), pp.168-170. 리쩌 허우는 변법파를 첫째, 康梁과 이론과 사상 면에서 일정정도 거리가 있었지만 기본관점, 특히 개혁 주장이 일치하였던 그룹(黃遵憲, 楊深秀 등), 둘째, 변법운 동을 지지했지만 다른 목적을 가지고 정부기관에서 특수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그룹(翁同龢, 文廷式 등), 셋째, 허위적으로 변법운동에 찬조하여 혼란 한 틈을 타 이익을 취하려 했던 그룹(張之洞, 袁世凱 등)으로 구별하였다.

3) 張登德,尋求近代富國之道的思想先驅 -陳熾硏究(齊魯書社, 2005), p.2.

4) 張登德, 百年陳熾硏究的回顧與展望 (江西社會科學(歷史硏究)2002-7), pp.57-59. 지금까지 진치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趙樹貴, 有關維新

(3)

의 관계, 다른 초기 변법파 인물들과의 사상적 차별점, 변법시기 유행 하였던 民權에 대한 입장 등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국내에서는 주로 陳熾 개인의 생애와 사상 및 변법운동 시기의 활동까지 전반적으로 다룬 전문 연구는 거의 드문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陳熾의 생애를 통해 변법운동 시기 그의 활동 및 인적 교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陳熾의 사상은 정치, 경 제, 교육의 세 방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여 봄으로써 변법운동 시기 그 의 활동과 사상이 다른 인물들과 어떠한 차별점이 있는지, 변법운동의 과정 중에서 그의 사상은 어떤 과정을 거쳐 변화 및 발전하였는지 등 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Ⅱ. 陳熾의 생애

陳熾(1855-1900)는 江西 瑞金 전통 사대부 집안의 출신으로 原名이 家瑤였으나 후에 熾로 개명하였다. 字는 克昌, 호는 次凉이다. 어려서 부터 총명하여 신동이라는 소리를 들으면서 자랐고, 19세에 생원의 신 분으로 省試에 응시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保送되어 북경으로 올라가게 되었다. 이듬에 朝考에서는 1등 제4명으로 선발되어 7품 京官으로 戶 志士陳熾幾個問題的考辨 (江西社會科學1987-1); 萬振凡, 陳熾農業思想初 探 (籟南社會科學1991-3); 周晋, 陳熾與戊戌維新運動 (南昌職業技術師 院學報1992-2); 張良俊, 陳熾農業思想述論 (中國農史1997-3); 蔡曉榮, 陳熾保險思想探略 (江西社會科學2001-6); 孔祥吉, 晩淸改革家的困境 -陳 熾<上淸帝萬言書>的發現及其意義 (廣東社會科學2000-2); 劉君, 陳熾維新 思想散論 (歷史敎學問題, 2001-4); 張登德,尋求近代富國之道的思想先驅 - 陳熾硏究(齊魯書社, 2005)

국내에서 陳熾를 다룬 주요 연구 성과로는 張義植,청말 교육개혁에 대한 일고찰 -국민교육론의 정책화 과정을 중심으로(사총30); 신우철,근대 입헌주의 성립사 연구: 청말 입헌운동을 중심으로(법제학연구35); 김경혜,

양무운동 후기 중국 지식인의 서구 의원제에 대한 인식 -早期維新派를 중심 으로(中韓人文科學硏究, 2000); 신승하, 유장근, 장의식 공저,19세기 중국 사회(신서원, 2000) 등이 있다.

(4)

部에 들어가게 된다. 陳熾의 고향인 강서 서금은 아편전쟁 이후 점차 서양의 영향을 받던 동남 연해 지역의 개항장과는 다르게 전통의 영향 이 강하게 남아있는 곳이었다. 陳熾의 부친 역시 과거를 통해 출세하 는 것만이 성공하는 지식인의 삶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엄격하게 자녀들을 교육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陳熾는 유가 경전을 인용하거나 유가적 이념에 입각하여 글을 썼고, 서양을 이해할 때에도 유가적 입장을 버리지 않았다.5)

이후 1886년에는 軍機章京이 되면서 개혁의 의지를 가진 지식인들 과 교류할 수 있었고, 홍콩과 마카오 등지를 돌아보고 난 후 다양한 서양 서적을 접하면서 陳熾의 사상적 경향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 였다. 그는 李鴻章, 翁同龢에게 상서를 올려 조선에 관계된 문제와 철 도 건설, 수군의 훈련 등의 문제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며, 1893 년에는 자신의 개혁사상을 정리한

庸書

를 펴냈다. 이 책은 ‘번역된 서양 서적을 광범위하게 참고하고, 서양에서 遊力·出使한 이들의 경험 을 통해’ 지어진 것으로서 정치, 경제, 군사, 문화, 외교, 교육 등 각 부 문에서 나타나는 중국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혁의 방안을 제시 함으로써 陳熾 자신의 변법사상의 틀을 세우게 되었다. 훗날 이 책은 馮桂芬의

校邠慮抗議

, 鄭觀應의

盛世危言

과 더불어 광서 황제에게 바쳐진, 변법운동의 교과서와도 같은 책으로 평가되었다.

청일전쟁 후, 변법의 여론이 점차 거세어질 때 陳熾는 황제에게 萬 言書帝를 올려 議院의 설립, 학부의 설립, 농상업의 육성 등 변법 자강 의 구호를 공개적으로 주장하였다. 이후 帝黨과 변법파간의 연결자로 서 1895년 翁同龢, 康有爲와 함께 변법대강의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변 법을 선전하는 신문인

萬國公報

를 창간하고, 같은 해 8월에는 强學 會를 설립하면서 提調로 선출되었다.

萬國公報

는 상해 廣學會에서

5) 蕭公權은中國政治思想史에서 “당시에는 西法을 중국의 고서에 회부하여 중 국 고유의 것이라는 언론이 있었다. 그 가장 황당무계한 것이 陳熾의庸書 라고 평가하였다. 미이시 젠키치 지음, 최진규 옮김,중국의 천년왕국, (고려 원,1993년), p.216.

(5)

영·미 선교사들이 출판한 동일한 이름의 신문이 청 정부 관료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점을 고려하여 같은 이름을 선택하였다. 이 신문에는 매 冊마다 변법을 논하는 문장이 실렸는데, 필명으로 실린 글들의 대 부분은 梁啓超의 손을 거친 것이었다. 신문의 창간으로 여론이 형성되 고, 뜻을 같이 하는 인사들이 모여들자 학회의 설립을 의논하게 되었 고, 이에 따라 강학회가 설립되었다. 강학회는 3일에 한번 모여 ‘정치 와 학문을 함께 논하는’ 정치단체였다. 강학회 설립 이후

萬國公報

中外紀聞

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陳熾가 활발하게 변법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戶部와 軍機章京으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인사들과 교류하였기에 가능한 것이 었다. 그와 가까이 교류하던 인물로는 文廷植, 康有爲, 翁同龢, 鄭觀應, 宋育仁, 黃遵憲 등이 있다. 이들의 공통적 특징은 비교적 빠른 시기에 서양의 문화를 접했다는 점이다. 宋育仁과 黃遵憲은 각각 유럽 및 일 본에서 외교관원으로 근무한 경험을 통해 서양 문화를 중국에 소개하 였고, 메이지 유신 이후 발전하는 일본에 대하여 널리 알린 바가 있다.

陳熾는 宋育仁의 대표서인

時務論

을 읽고 그의 안목을 크게 칭찬하 였으며, 이후 그의 또 다른 저서인

泰西各國采風記

의 교정을 맡기도 하였다.

鄭觀應과의 관계는 각별하였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鄭觀應은 買 辦출신으로 양무기업을 직접 운영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양무기업의 경영방식의 문제, 비효율적인 관리 등을 직접 목도할 수 있었고, 이는 그의 개혁 사상이 체계적으로 형성되는데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 측된다. 1892년 鄭觀應이 쓴

盛世危言

에는 그의 변법 사상이 체계적 으로 정리되어 있는데, 陳熾는 이 책으로부터 자극을 받아

庸書

를 완성하였다고 이야기한 바가 있었고, 이 두 책의 상당 부분은 내용과 기술방법이 유사하다.6)

陳熾와 翁同龢의 관계 역시 매우 특별하였다. 翁同龢는 陳熾를 매 6) 庸書와 盛世危言에서 보이는 유사한 서술과 주장은 張登德, 尋求近代

富國之道的思想先驅 - 陳熾硏究, pp.78-80.

(6)

우 신뢰하였으며, 陳熾 역시 翁同龢 영향력에 기대어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 변법운동의 대표적 인물인 康有爲와의 관계도 매우 밀접하였다. 康有爲는 지식인 계층을 결집하여 변법을 추진하고 자 하였으나, 신문을 먼저 창간하여 이목을 열고 난 후에 학회를 결성 할 것을 주장한 陳熾의 뜻에 따라 북경에서

萬國公報

를 창간하였다.

신문의 창간이 어느 정도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켰다고 생각한 후에 强 學會를 창립하였다. 康有爲는 1895년 9월 “臺灣의 할양이 결정된 후에 陳熾와 함께 북경에 强學會를 창립한 것이 政黨의 효시”라고 평가하였 다.7)

이처럼 陳熾와 교류하였던 이들은 모두 변법의 개혁적 성향을 띤 인물들이었기 때문에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陳熾는 자연스럽게 변법의 기운을 전달받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8)

11월에는 京師强學會書局이 성립되었고, 陳熾는 總董이 되었다. 强學 會가 ‘당파를 만들어 私利를 취하고, 사사로이 결사를 만들어 정부를 비판할’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封禁되고, 官西局으로 바뀐 후에도 자리 를 지켰다. 1897년에는 不纏足會의 이사직을 맡기도 하였다. 그러나 戊 戌政變 이후 그는 더 이상 강렬하게 변법을 주장하지 않았고, 위축된 태도를 보였다.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더 이상 議院과 民權을 논 할 수 없다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변법의 뒤로 물러나게 되었 다.

陳熾의 이와 같은 태도 변화는 무슨 이유 때문이었을까? 그것은 아 마도 변법운동이 진행되면서 議院을 설립하여 지식인의 정치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던 수준에서 더 나아가 민권과 평등을 주장하는 방향 으로 과격화 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瓜分·亡國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유일한 출로로서 변법을 주장하였지만 민권과 평등을 과격한 주장이라고 여길 수밖에 없는 전통 지식인으로서의 한 계를 넘어서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7) 앞의 책, pp.33-35.

8) 陳熾의 인적교류에 관하여는 앞의 책, pp.24-50.

(7)

Ⅲ. 陳熾의 정치사상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1870년대부터 중국 지식인들 사이에서 君民 共主의 주장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君民隔阂”와 “上下之情”의 소통을 강조한 馮桂芬을 시작으로 하여 최초로 君民共主를 주장한 것으로 알 려진 鄭觀應과 王韜 등이 대표적이며, 뒤를 이어 “君民이 한 몸이 되 게 하고, 上下가 일심으로 통하게 하는 君民共主의 정체가 부국강병의 근원임을 역설한 陳熾가 등장하였다.9) 이들은 세계 각국의 政體를 君 主專制, 君民公主制, 民主制로 구분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소개하면서, 중국에 가장 적절한 제도는 군민공주제로 民意를 반영할 수 있는 議會 를 운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陳熾는 議院 편에서 다음과 같 이 설명하였다.

지금 각 국에는 君主, 民主, 君民共主의 정치 체제가 있다. 君主(國)에 는 上議院은 있으나, 下議院은 없다. 軍國大事는 모두 官에 의해 장악되 고 民은 간여할 수 없다. 民主(國)에는 下議院은 있지만 上議院이 없어서 朝章 國政 및 예산 등은 모두 民이 결정하며, 군주는 父祖의 업을 지킬 뿐이다. 오직 君民共主만이 국가의 爵名의 官로 구성되는 上議院과 紳民 의 선출의원으로 구성되는 下議院이 있다. 의원의 開會, 散會에는 정해진 기한이 있고, 일을 행할 것인지의 여부는 의논하여 결정한다.10)

陳熾는 작위와 지위를 부여받은 官으로 이루어진 上院이 있고, 紳 民의 公擧에 의한 의원으로 이루어진 下院을 통해 ‘君民이 한 몸을 이 루고 하고, 上下가 한 마음이 되게 하는’11) 점을 君民公主의 장점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중국에서 君, 官과 民의 삼자간의 긴장관계에 주목하 면서 君民共主의 장점을 설명하였다. 그에 따르면, 君權은 관리들의 지

9) 신우철, 근대 입헌주의 성립사 연구: 청말 입헌운동을 중심으로 (법제학연 35), pp.273-274.

10) 陳熾, 議院 (陳熾集, 北京: 中華書局, 1997), pp.107-108.

11) 陳熾, 議院 (陳熾集), p.107.

(8)

방 사회에 대한 통제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君과 民의 연결고리로서 官의 지위와 작용은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중국에서 君의 지위와 권 력이 존엄해질수록 상대적으로 官의 지위와 권력은 더욱 낮아졌다. 君 權이 커질수록 官權은 상대적으로 더욱 약해기 때문에 군주는 독단적 으로 권력을 행사하고, 관리는 그에 대해 제한을 가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더욱 심각한 문제는 군주 앞에서 관리가 비천한 것과 마찬가지 로 일반 백성들 앞에서 관리는 또 다른 황제라는 점이다. 관리들은 자 신이 담당하는 향촌 사회 내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면서 또 다른 황제로 군림한다. 陳熾는 “천하만국에 가장 탐욕스러운 것이 중국의 官”12)이기 때문에 “民이 官을 天帝와 같이 여기고, 官이 民을 土芥와 같이 보며”13) “윗사람은 아래 사람을 가축처럼 여기고, 아랫사람들은 윗사람을 원수처럼 여기는” 비정상적인 관계가 형성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처럼 君民간, 官民간의 관계가 단절되면 소통이 불가능해진다.

陳熾는 1897년 <時務報>에 발표한 글에서 “하늘이 백성을 만들고 난 후에 임금을 세운 것”14)으로 “군주는 群이니 천하를 公으로 다스려 야한다. 그러나 秦 이후 중국의 역대 군주는 온 천하를 자신의 사적인 천하로 생각하여 한 나라가 한 사람의 나라가 되었다. 관리들은 한 省, 郡, 邑을 자신 한 사람의 省, 郡, 邑으로 만들었다. 또 온 천하의 인민 을 자신의 사적인 노예로 삼아 착취하면서 자기 한 몸의 이익만을 위 하는 가장 이기적인 사람으로 변하였으니 民은 감히 두려워 불만을 말 하지 못하게 되었다.15) 따라서 지금 중국은 가장 이기적인 군주 한 사 람만을 위해 官과 民이 움직이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는 점을 설명하였다.

陳熾는 서양과 중국의 차이점을 議院의 유무에서 찾았다. 서양이 부 국강병을 이루고 세계를 누빌 수 있는 까닭은 兩議院을 통해 君權을

12) 張登德,尋求近代富國之道的思想先驅 -陳熾硏究, p.109.

13) 陳熾, 鄕官 (陳熾集), p.18.

14) 陳熾, 鄕官 , p.19.

15) 張登德,尋求近代富國之道的思想先驅 -陳熾硏究, p.109.

(9)

견제하고, 권력의 균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陳熾는 중국 각 府, 州, 縣에 전통적 鄕官제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의원 을 설립할 것을 주장하였다. 鄕紳, 紳士로 불리는 鄕官은 현역관료 및 퇴직관료, 또는 秀才, 擧人과 같은 과거출신자들로서 향촌사회에서 백 성의 교화를 담당하며 여론을 형성하는 유가적 지식인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지역사회에서 조세의 할당과 징수, 요역 분담 등과 같은 對民 통치의 일부를 담당하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 지역사회에 대한 해 박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지방관의 조언자 및 협력자로서의 역할 을 수행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民의 문제를 지방관에게 알려 해결하 도록 돕는 民의 대리인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는 半官半民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16) 陳熾는 議員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가 구상한 議院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중앙에는 작위와 직위를 부여받은 官으로 이루어진 上院 및 紳民의 公擧에 의한 의원으로 이루 어진 下院을 둔다. 下院 의원은 縣 단위에서 관위가 있는 薦紳을 투표 에 의해 선출하고 이를 府, 省 단위로 확대하여 중앙의 下院을 구성한 다. 지방에서는 鄕마다 나이 30 세 이상, 재산이 천금에 달하는 명망 높은 인사들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여론을 수렴하여 다수의 지지 를 받은 자가 鄕官으로 선출된다. 각 향에 2명씩, 임기는 2년이며 邑의 大政疑獄, 사회복지, 교육 등 다양한 민생사업을 돕는다.17) 이와 같이 鄕官으로 구성된 하의원을 운영하면 民의 문제들을 속속들이 알 수 있 고, 진심을 다해 民事를 돌보게 될 것이므로 ‘君民이 한 몸을 이루고 하고, 上下가 한 마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陳熾는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질 수 있는 이들의 사회적 지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民-비록 지역사회의 엘리트로 그 자격이 제 한되지만-을 정치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陳熾가 16) 김경혜, 양무운동 후기 중국 지식인의 서구 의원제에 대한 인식 -早期維新

派를 중심으로 (中韓人文科學硏究4, 2000), pp.342-343.

17) 陳熾, 鄕官 (陳熾集), p.17.

(10)

주장한 하원에서의 鄕官은 선출직이라는 점에서 전통적 鄕官과는 근본 적으로 다르며, 입법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는 서양 의회제도 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는 의원제도를 부국강병을 달성하기 위한 도 구 내지는 수단으로 여겼기 때문에 중국의 상황에 따라 그 외형을 바 꾼 것이다. 서양의 의회와 같은 입법기관이 아니라 청 정부의 감독 및 자문기관의 성격을 띤 의원제를 구상하였기 때문에 서양 정치제도가 추구하는 근본적 가치인 민권, 자유 등은 자연히 뒤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한계는 진치가 民權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 가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청일전쟁 이후 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변법 개혁을 주장한 바 있으며, 광서 21년

庸書

를 지어 翁同龢에 의해 광 서황제에게 進呈, 御覽된 바 있는 陳熾는 康有爲에게 “먼저 신문을 간 행하여 사대부의 이목을 열고 난 후 회를 결성하자”고 주장하면서

萬 國公報

를 창간하였고, 翁同龢가 개혁을 지지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후원하였으며, 翁同龢의 지시에 따라 변법을 위한 12條의 草案을 기초하는 등 翁同龢와 康有爲 사이를 왕래하면서 서로 연결시 키는 일을 담당하였다. 광서21년 10월에는 북경에서 변법단체인 强學 會가 창립될 당시 提調로 선출되면서 학회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활동 하였다. 이처럼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던 陳熾는 ‘당파를 만들어 사리를 취하고, 사사로이 결사를 만들어 정부를 비판’할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强學會가 封禁된 후 위축되기 시작한다. 그는 강유위와 연락하여 封禁 이후의 후속 대책을 마련하지도 않았고, 자신을 지지하였던 翁同龢와 의 관계도 소원해졌다. 汪康年에게 보낸 편지에는 强學會의 封禁이 변 법파가 민권을 논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議院과 民權은 다시 거론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으며, 梁啓超가 말하는 民權을 따를 수 없다고 말하였다.18)

陳熾의 이러한 태도는 양무운동 후기부터 변법운동 전후까지 활동 18) 湯志鈞,戊戌變法人物傳稿(上冊)(北京: 中華書局), pp. 158-159.

(11)

하였던 많은 중국 지식인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중국인 최초로 民 權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郭嵩燾, 일본의 정치적 상황을 소개하면서 민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던 黃遵憲, 외교사절로서 서양을 직접 경험하였던 薛福成과 宋育仁 등은 君權과 대립되는 개념 으로서의 民權을 소개하면서 다소 부정적인 뉘앙스를 풍겼다. 절대적 군권을 제약할 필요는 있지만 民權이 강해지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하 는 태도를 보인다.19) 이들은 서양의 君民共主에 무한한 동경을 품으면 서 중국에서 군주 전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회 설립이 절실하다 고 주장하였지만, 사실 이들이 이해한 君民共主란 서양 정치의 기초인 민권보장 및 평등선거, 헌법 제정 등은 고려하지 않은 채, 의회(議院) 라는 부분만을 중국의 전통제도에 결합시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요컨대 그들의 君民共主란 군주 전제 정체 자체를 개혁하고자 하는 것 이 아니었다.20)

Ⅲ. 陳熾의 경제사상

陳熾는 오랫동안 戶部에 재직하였는데, 고위관직은 아니었지만 전국 의 토지와 戶口 등을 주관하는 부서이기 때문에 민생 문제와 관련된 여러 상황들을 직접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다. 이러한 경험은 그 의 경제사상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陳熾의 경제 사상은 1896년 그가 저술한

續富國策

을 통해 볼 수 있다. 중국의 서구 경제 사상의 유입은

富國策

의 번역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부국 책이라는 용어는 1867년 同文館의 교육과정 개편 당시 청 정부가 서양

19) 김경혜, 변법운동 시기 하계 호례원의 민권론 (中韓人文科學硏究6, 2002), p.263.

20) 신승하, 유장근, 장의식 공저,19세기 중국사회(신서원, 2000), p.255. 서구 의회제가 입법기관이 아니라 군주의 자문기관으로 수용되는 것은 서구식의 政 體가 본래의 성격을 상실하고 중국화되는 한 사례라고 설명한다.

(12)

의 학제에 따라 설치한 경제학과의 호칭으로서 사용되었다. 陳熾는 신 식학당의 설립을 주장하면서 서구 각국의 과정을 모방하였는데, 소학 에서부터 중학, 대학에 이르기까지 전체 학과를 총괄하는 總學을 부국 책이라고 설명하였다.21) 또한, 同文館에서 사용하던 교재는 영국의 경 제학자 Henry Fawcett의

Manual of Political Economy

로, 1880년 번 역본이 출판되면서

富國策

이라 이름 지었다. 즉 중국 근대에서 ‘富國 策’이란 경제학 관련 학과의 명칭인 동시에 책의 이름이었던 것이다.

陳熾는 戶部에 재직 당시 이 책을 접한 후 심취하였으며, 후에 번역본 과

續富國策

을 지어 자신의 경제사상을 피력하였다.

農書

,

鑛書

,

工書

,

商書

등 4권, 6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農書

에서는 다양한 경제적 작물의 생산이 가져올 수 있는 이익을 다루고 있다.

鑛書

에 는 금·은·동 등 광물 및 광산 개발 등과 관련된 내용을,

工書

에서는 자연과학 지식과 공업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商書

에서는 통상, 회사 설립, 세제 개혁 등 상업 관련 내용을 서술한 것으로 이 책은 중국인 최초의 전문 경제서라는 평가를 받는다.22)

제1, 2차 아편전쟁에서의 패배를 통해 중국인들은 세계는 약육강식 의 논리가 지배하는 생존경쟁의 장이며, 이 경쟁에서 뒤떨어진 중국은 서구 열강의 침탈 앞에 놓이게 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중국이 이 굴욕적인 패망에서 벗어나 부강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떻게 변해야 할 것인가? 陳熾는 지금 洋務를 말하는 사람들은 “公法, 海防, 制器練兵, 증기선의 구매와 함포의 제작 등을 말하지만 ··· 中外의 국면은 和 와 戰, 通商과 用兵일 뿐”23)이라면서 다음의 두 측면에서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였다. 첫째, 서양 각국이 商務로써 부강을 이룬 것과 마찬가지로 중국 역시 적극적으로 상무를 증진시킬 것과 둘째, 서양 각국과의 경제적 경쟁 속에서 중국의 경제적 利權을 보호할 것이었다.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萬國通商’의 시대란 서양 각국이 중국과 체결 21) 張登德,尋求近代富國之道的思想先驅 -陳熾硏究, p.139.

22) 張登德,尋求近代富國之道的思想先驅 -陳熾硏究, p.128.

23) 陳熾, 商部 (陳熾集), p.79.

(13)

한 조약에 근거하여 중국 내 경제 활동을 증대하고, 이에 따라 중국의 경제적 이권이 침탈당하는 시대였다. 제2차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천 진조약과 북경조약을 통해 서양 각국은 중국 내지에서의 통상권 및 海 關을 통제할 수 있는 특권을 획득하였다. 또한 청일전쟁 이전까지 개 방된 34개의 개항장에서 거주권 및 자유로운 통상권도 인정받았다. 이 제 서양 각국의 對 중국 상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이른 바 ‘洋産’이 중 국 시장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이에 따라 중국은 백은의 유출이 증가 하면서 손실이 커졌고, 중국 국가 재정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었 다. 이러한 상황을 陳熾는 “중국의 財富가 위(청 정부), 아래(民), 가운 데(관, 탐관오리의 수중) 어디에도 없이 모두 밖으로 흘러”24)나가고 있 다고 표현하였다. 陳熾는 通商이야말로 전쟁, 영토의 할양, 배상금보다 도 더욱 치명적인 위협이라고 생각하면서 서양의 경제적 침탈에 대응 하기 위해서는 서양과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商務를 진흥시켜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그가 말하는 ‘商務’란 단지 상업방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농업에 있어서의 생산기술의 개량, 신식 공상업의 창설, 輪船 · 철로· 광산 등 근대화 산업을 모두 포함하며, 나아가 商律의 제정 및 민간기업의 창설 등을 포함하는 것이었다.25) 陳熾는 서양 각국의 강함 은 모두 富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바탕은 商務에 있다고 인식하였다.

陳熾의 말처럼 서양은 오로지 商務로써 立國하며, 대외무역을 통해 국 내 생산을 촉진하고, 취업의 기회를 창출하여 국민의 생활수준을 향상 시켜 왔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상업을 천시하는 사회적 분 위기가 매우 강하여 상품의 생산과 소통에 관심을 두지 않았으므로 상 업이 부진하고 빈곤을 면치 못하였다.

陳熾는 상품의 생산 과정보다 상품의 유통과정에 더욱 큰 관심을 보였다. 서양과의 교류가 확대될수록 入超 현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이 다. 陳熾와 동시대에 활동하였던 인물들의 경우를 살펴보면, 王韜에서 24) 陳熾, 考工 (陳熾集), p.83.

25) 김경혜, 19세기 후반 중국지식인의 세계인식과 商戰 사상 (中韓人文科學 硏究12, 2004), p. 311.

(14)

부터 馬建忠, 薛福成, 鄭觀應 등은 모두 생산과정보다 상품의 무역 유 통과정을 중시하였다. 그 까닭은 당시 심각한 수입초과와 백은의 대외 유출이 국가 재정의 위기상황을 초래하였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

1875-1894년 사이의 매년 평균 수출액을 100으로 잡았을 때, 1885년 -1894년에는 134정도로 증가하였고, 1895-1904년에는 251.8로, 1905년 -1911년에는 422.6으로 증가하여, 시간이 흐를수록 入超현상이 심화되 었음을 알 수 있다.26) 이와 같은 심각한 수입 초과와 은의 해외유출을 우려하면서 陳熾는 “오늘날의 큰 환란은 먹을 것이 부족한 것이 아니 라 화폐가 부족한 것”27)이므로 지금과 같은 만국 경쟁의 시대에는 상 품 수출을 확산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상품 수출을 확산하여 서구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상인 계층이 확대되어야 한다. 중국 개항장에서 洋商은 洋貨의 수입 및 판 매는 물론 土貨의 운반과 판매까지 관여하면서 적극적으로 활동하였 다. 각 개항장에서 활동하는 이들 중 열의 아홉이 洋商이라는 기록이 있을 정도였다. 또 다른 자료에 따르면, 아편전쟁이 끝나갈 무렵 중국 에는 40여 개 미만의 洋行이 있었는데 1872년에는 洋行이 343곳으로 증가하고, 3,673명의 洋商이 활동하였다고 한다.28) 陳熾는 상인이 활발 하게 활동하기 위해서는 상공업을 관리가 운영하지 말고, 상인이 운영 하도록 장려하여 官의 관리 및 감독으로부터 벗어날 것을 주장하였다.

官督商辦의 양무기업들은 官이 기업의 실권을 장악하고, 免稅와 減稅 등의 특권과 혜택을 독점하여 사적인 이익을 만족시키고 있음을 지적 하면서 이는 官이 사리사욕을 버리지 못하고 商民과 이익을 다투기 때 문이며 이것이 국가의 商務를 진흥시키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비 판하였다.29) 따라서 商民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는 商部를 설립 하고, 商律을 제정할 것을 주장하였다.30) 그는 “商部를 설치하지 않고

26) 신승하, 유장근, 장의식 공저,19세기 중국사회, pp.130-131.

27) 陳熾, 維持鑛政說 (陳熾集), p.178.

28) 馬敏,官商之間 -社會劇變中的近代紳商(天津: 天津人民出版社, 1995), p.68.

29) 陳熾, 鄕官 ,陳熾集, p.262.

(15)

어떻게 상업을 보호할 것인가? 商法을 제정하지 않고 어떻게 상인을 보호할 것인가?”31)라고 물으면서 상인의 보호가 국내 상업 발전의 출 발임을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한편, 중국이 대외무역에서 적자를 보는 주요 원인을 관세 자주권의 상실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陳熾는 관세는 한 국가의 자주권이 며 사적인 권한임을 주장하였다. 그는 “稅則은 국가의 자주적인 권리 이다. 다른 나라가 끼어들어 좌지우지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은 道光 연간 마지못해 화친을 맺었는데 사정을 잘 알지 못하여 세칙을 조약에 명기하는 실수를 범하였다”32)면서 당시 중국인들의 외교지식이 부족하여 국제관계에 대한 상식이 없었기 때문에 관세 자주권을 잃게 되었음을 안타까워하면서 서양은 아무리 작은 국가라 하여도 세칙의 경중은 스스로 결정하여 자국의 상인을 보호한다고 소개하였다.

1842년 남경조약 체결 당시 영국은 중국의 수출입 관세는 영국과의 상의를 통해 결정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중국에서 최대한의 이윤을 약탈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이어 1843년의 中英五口通商章程에서는 중 국의 수입 관세를 수입가격의 5%로 규정함으로써 ‘지구상에서 가장 가벼운 세율’을 적용하였으며, 1858년의 中英天津條約에서는 수입품에 대해 시장 가격의 2.5%인 自口稅를 한 번 부과하는 것으로 내지 통관 세인 이금세를 면제받았다. 세율에 있어서의 특권을 통해 洋貨는 土貨 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조건을 차지할 수 있었다.33) 이와 같은 상황을 陳熾는 “같은 물건이라도 우리의 세가 무겁고, 저들의 세가 가볍다면 우리의 원가는 비싸지고, 저들의 원가는 싸게 된다. 가격이 같으면 저 들의 이익은 커지고, 우리 이익은 적게 된다. 가격이 다르다면 저들의 판로는 넓어지고, 우리 판로는 막히게 된다. 이는 모두 자연스러운 이

30) 陳熾, 商部 (陳熾集), p.80.

31) 陳熾, 創立商部說 (陳熾集), p.233.

32) 陳熾, 稅則 (陳熾集), p.81.

33) 김경혜, 19세기 후반 중국지식인의 세계인식과 商戰 사상 (中韓人文科學 硏究12), p.315.

(16)

치이며 당연한 정황으로 어찌할 수 없는 흐름”34)이라고 설명하면서 세 관회수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陳熾는 상무진흥을 강조하면서 공업을 발전시키고, 농업의 근대화를 주장하였지만 그의 착안점은 주로 상품의 무역, 유통과정에 있었다. 이 것은 그의 경제 사상의 출발점이 서양 열강의 침탈 앞에 놓인 국가의 위기상황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국제 경쟁의 무대에서 자국을 지켜야 한다는 강렬한 위기의식과 책임감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다.

Ⅳ. 陳熾의 교육사상

서구 열강의 침략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自强 과 富强의 구호를 내걸고 실시된 양무운동 시기에 군사적, 기술적 인 재를 양성하기 위한 신식 교육기관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국가의 부 강이 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된다는 의식이 생겨나면서 교육을 통해 중 국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는 더욱 커져갔다.

그러나 양무교육기관들은 특정 부문에서의 전문적, 기술적 인재의 양 성을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마련하지 못하였 다. 또한 전문성을 띤 중국인 교사가 부족하여 어쩔 수 없이 서양교사 를 고용하게 되면서 서양에 예속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드러냈다. 陳 熾는 “서학을 수용해야만 고금의 변국에 더 이상 서양에 의해 농락당 하지 않을 수 있고, 중국인만을 고용해야 중국의 이권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각 부문에서 전문 인재를 양성하 여 임용하면 수십 년 내에 양무기업은 서양인을 고용하지 않고, 전적 으로 중국인이 경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확신하였다.35) 陳熾의 지 적대로 대다수 양무 교육기관에서는 중국인 교사가 부족하여 외국인 34) 陳熾, 稅則 (陳熾集), p.81.

35) 김경혜, 淸末 初期 變法派의 敎育改革論 (中國史硏究60, 2009), p.168.

(17)

교사를 초빙하였는데, 사실 이들 중에는 필요한 자격을 갖추지는 못한 이들이 많았을 뿐 아니라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중국인 교사의 수배에 달하는 급여를 요구하였기 때문에 그들을 고용한 양무기업에도 큰 부 담이었다.

陳熾는 양무교육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 교 육방식의 문제점도 비판하였다. 특히 비현실적이며 공리공담에 빠진 과거제도는 신식 교육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하 였다. 과거제는 그 실시 이후로 여러 측면에서 수많은 비판을 받아 왔 고, 과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끊임없이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응 시자격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는 매력 탓에 응시생의 수는 날로 증가하 였다. 오직 과거만을 입신양명의 유일한 방법으로 여기는 사회적 분위 기는 더 많은 이들로 하여금 과거에 몰두하도록 만들었다. 明淸代에 들어오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져 生員에서 擧人이 되기 위해서는 100 대 1의 경쟁률을, 擧人에서 進士에 오르기기 위해서는 30대1의 경쟁률 을 넘어서야만 했다.36) 치열한 경쟁도 문제였지만 과거가 진실로 유용 한 인재를 선발하기에 불충분하다는 점은 더 심각한 문제였다. 경서의 암기, 시나 문장을 짓는 것이 과연 실제 정치에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할 수 있었을까? 관리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품행을 과거로 시험할 수 없다는 지적과 비판은 늘 있었지만 과거가 전통사회에서 다양한 기능 을 수행해왔고, 특히 과거를 통해 기득권층으로 진입한 대다수 지식인 들은 과거의 존속을 강렬하게 요구하였기 때문에 과거 개혁에 대한 본 격적인 논의는 ‘만국통상’의 시대에 들어와서야 가능해졌다. 陳熾 역시 가난한 중국, 우매한 중국, 약한 중국의 운명은 교육 개혁에 달려있다 고 생각하였다.37)

陳熾는 여러 부문으로 교육개혁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째, 서원을 학당으로 개조할 것을 주장하였다. 유명무실해진 전통 서원 36)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 박근칠 이근명 지음,중국의 시험지옥 -科擧(청

년사, 2001), p.125.

37) 陳熾, 敎養 (陳熾集), p.20.

(18)

을 신식 학교로 개조한다는 구상은 당시 많은 변법 사상가들의 공통적 견해였다. 그는 서원을 학교로 개조하여 중국인 교사는 中學을 가르치 고, 서양인 교사를 초빙하여 서학을 가르쳐 중학과 서학을 겸비한 인 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38)

둘째, 전문학교의 설립을 주장하였다. 그는 서양은 개항장에 ‘商學’을 설립하여 초보적인 수준에서는 본국의 언어문자, 외국 언어문자, 산수 와 회계 등을 가르치며, 수준이 높아지면 天文地輿, 測量繪畫, 文事武 備, 光重化電學 등을 가르친다. 후에 어떠한 부문이든 전문 학당을 두 어 특정 분야의 전문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輪車는 鐵路학당, 電報는 電報학당, 絲業은 蠶桑학당 등의 전문 학당에서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교육이 가능해지므로 각 분야에서 인재를 배출할 수 있다’ 고 소개하면서 중국도 이런 방식으로 교육하지 않는다면 머지않아 모든 부문에서 서양인의 관리를 받을 수밖에 없는 속수무책의 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陳熾는 서원의 개조와 학당의 설립, 전문학당 의 설립 등을 주장하였지만 재원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 학생과 교 사에게는 어떤 자격이 필요한지, 어떤 과목을 체계적으로 수업할 것인 지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히 언급하지 못하였 다. 국가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개혁이 절실함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천방안에 대해서는 확실히 제안하지 못했던 것이 그의 교 육 사상의 한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留學을 교육개혁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겼다. 양무운동 시기 유 학생 파견은 주요한 사업으로서 동문관과 같은 양무교육기관에서 양성 한 인재들이 강의와 책으로만 공부하여 현실 감각이 떨어지고, 외교 사무에서 실수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된 사업이었다. 1872년 최초의 유학생들이 미국으로 출발하 였지만 어린 아동들을 이역만리로 보내는 사업은 시작부터 쉽지 않았 을 뿐 아니라 어렵게 파견된 학생들이 서구화되는 것을 극도로 혐오하 38) 陳熾, 學校 (陳熾集), p.30.

(19)

였던 지도층 인사들의 격렬한 반대로 인해 유학생 전원이 철수되면서 청의 유학생 파견 사업은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陳熾는 일본과 중국 이 비슷한 시기에 유학생을 파견하였는데, 일본의 유학생은 2천 여 명에 달하며 그들이 행정부문에서 인재로 성장한 것과는 다르게 중국 은 중도에서 포기하게 되었음을 안타까워하였다. 따라서 중단된 유학 사업을 다시 추진하여 20세 미만의 古今에 밝고 건강한 학생들을 선발 하여 서구 각국 대학당으로 파견하여 십년을 기한으로 삼아 학문을 이 루게 한 후 귀국하여 합당한 관직을 부여하여 재능을 펼 수 있도록 할 것을 주장하였다.39)

넷째, 변법운동 시기 다수의 중국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陳熾 역시 여성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재주가 없는 것이 덕’

이라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중국은 오랫동안 여성을 교육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아름다운 여성이나 능력이 있는 여성은 남성에게 순종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여 집안과 나라를 망치는 위험한 인물 로 여겨졌기 때문에 여성에게는 婦德, 婦言, 婦容, 婦工의 이른바 ‘四 德’으로서 여성의 ‘덕’만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재능’을 부정하여 왔다.

그러나 陳熾의 눈에 무지하고 무능한 중국 여성이 가정을 불행하게 만드는 가장 심각한 문제로 비추어졌다. “중국 4억 인구 중 절반을 차 지하는 여성은 집안에서 편안하게 지내면서 아무 일에도 관심을 두지 않으니 온 천하에 빈둥거리며 노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한 집안으 로 말하자면 절반이 棄民인 셈”이라고 지적하였다. 한 국가가 부강하 기 위해서 국민 개개인이 모두 경제적으로 자립해야 하는데 중국 여성 들은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것은 물론 자기 능력으로 생계조차 유지하기 힘든 경제적 무능력자이고, 인구의 반이 무능력자라는 점은 국가적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가 된다. 반면 서양의 경우, 남녀가 동등 하게 교육받으므로 결혼 후에 남편을 내조하고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 할 수 있으며, 가정의 운영과 국가 경영에 도움이 되니 이것이야말로 39) 陳熾, 育才 (陳熾集), p.77.

(20)

부국강병의 근원이라고 설명하였다.40) 서양 여성이 사회에서 활약하고 봉급을 받아 가계에 도움이 되는 것을 보면서 중국인들은 딸의 교육이 결코 사치나 낭비가 아니라고 여기게 되었다.41)

陳熾는 여성에게 讀書識字가 금지된 것과 함께 여성의 신체를 억압 하는 전족이 중국 여성의 性情을 변화시켰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南宋 이래 전족이 온 천하에 펴지면서 4,5세의 어린 여자아이들의 발을 옭 아매어 평생 약한 신체를 갖게 만든다고 하였다. 전족 폐지 주장은 변 법운동 시기 중국 지식인들의 공통적인 견해였다 陳熾와 사상적으로 각별하였던 鄭觀應도 전족의 폐해를 격렬하게 비판하는 글을 남겼으 며, 康有爲와 梁啓超 등은 일찍부터 전족을 금지하는 모임을 결성하기 도 하였다. 陳熾 역시 1897년 不纏足會의 이사직을 맡으면서 전족 금 지 운동에 동참하였다. 부전족회는 본래 여성들이 전족을 하지 않거나 전족을 풀었을 경우 혼인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 진 단체였으나 점차 전족의 폐해를 널리 알리고, 여성을 전족의 고통 으로부터 해방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陳熾는 중국 사억 인구의 반을 차지하는 여성들이 폐인처럼 살아가도록 만드는 전족을 폐지할 것과 각 성, 군, 현에 여학교를 증설하고, 여교사를 초빙하여 4-12세까지의 여자아이들을 부문별로 나누어 가르칠 것을 주장하였다. 재능이 있는 학생들은 상을 주어 표창하고 종신토록 이를 지니도록 하고, 가난한 학생들은 현명한 배우자를 선택하도록 돕는다.42) 결국 陳熾는 가정에 서의 내조와 자녀교육이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여성의 교육이 필 요하며, 이는 곧 여성의 교육이 국가의 부강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는 시대적 상황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陳熾는 인재의 육성을 통해 국가의 운 명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각 부문에서의 신식교육을 주

40) 김경혜, 淸末 初期 變法派의 敎育改革論 (中國史硏究60, 2009), p.183.

41) 천성림, 민국시기 중국 여자 사범교육과 여교사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국 근현대사연구59, 2013), p.174.

42) 陳熾, 婦學 (陳熾集), p.129.

(21)

장하였다. 그러나 그가 남긴 기록들은 대부분 단편적이고 산만하여 구 체적이며 체계적인 실천 방안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Ⅵ. 결 론

이상으로 陳熾의 생애 및 사상을 살펴보았다. 그는 제 2차 아편전쟁 발발 직전 태어나 8국 연합군이 중국을 유린하던 해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수천 년 동안 세계의 중심이고, 유일하게 문화가 발달된 나라로 자부하던 중국의 지식인들이 서양 앞에 굴복하는 치욕의 시대를 살았 다. 특히 청일전쟁 이후 중국은 내우외환이 날로 극심해지면서 瓜分·

亡國의 국가적 위기상황에 직면하였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陳熾를 행동하는 지식인으로 변모시켰다. 그는 정치적으로는 議院을 설립하여 상하 간에 소통이 되지 않는 중국 정치의 가장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 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질 수 있는 이들의 재산 및 사회적 지위를 엄격하게 제한하였고, 議院에 입법권을 부여하 지 않았다는 점에서 서양 의회제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중국식의 議 院제도를 구상하였다. 그러나 한편 그가 구상하였던 下院에서의 鄕官 은 선출직이라는 점에서는 중국의 전통적 향관제도와도 근본적으로 달 랐다. 즉, 그가 주장한 議院은 완전한 서양의 것도, 중국의 것도 아닌 것이었다. 그는 議院제도를 부국강병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 내지는 수 단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에 중국의 상황에 따라 그 외형을 바꿀 수 있 었다. 따라서 입법기관으로서의 의원이 아닌 청 정부의 감독 및 자문 기관의 성격을 띤 의원제를 구상하였기 때문에 서양 정치제도가 추구 하는 근본적 가치인 민권, 자유 등은 자연히 뒤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 다.

경제적으로는 通商을 가장 중시하였다. 그는 通商이 전쟁, 영토의 할 양, 배상금보다도 더욱 치명적인 위협이라고 생각하면서 서양의 경제

(22)

적 침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서양과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商務를 진흥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서양과의 교류가 확대될수록 入超 현 상이 두드러지면서 상업 강국인 서양과 중국의 격차가 더욱 커질 수밖 에 없었다. 상업은 물론 농업 생산기술의 개량, 신식 공상업의 창설, 輪船 ·철로· 광산 등 모든 근대화 산업과 나아가 商律의 제정 및 민간 기업의 창설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통상은 서양과의 경쟁에 필 수 부분이었기 때문에 陳熾는 상품의 생산과 유통에 큰 관심을 두었 다.

교육면에서는 書院을 학당으로 개조할 것과 전문교육의 실시를 주 장하였고, 유학 및 여성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는 가난한 중국, 우매한 중국, 약한 중국의 운명은 교육 개혁에 달려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처럼 정치, 경제, 교육면에서 진치 사상의 출발점은 국가의 위기상황이었음 을 알 수 있었다 陳熾는 변법운동 시기 황제에게 萬言書帝를 올려 議 院의 설립, 학부의 설립, 농상업의 육성 등 변법 자강의 구호를 공개적 으로 주장하였다. 이후 帝黨과 변법파간의 연결자로서 1895년 翁同龢, 康有爲와 함께 변법대강의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변법을 선전하는 신문 인

萬國公報

를 창간하고, 같은 해 8월에는 强學會를 설립하면서 提調 로 선출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그러나 “

庸書

富國策

을 읽으면 행할 만한 것이 많다. 그러나 전체 국면을 통일적으로 계획하고, 그 선후와 완급의 순서를 하나하나 손바닥처럼 헤아린 것으로는 南海의 네 편의 상소문이 가장 뛰어나 다”43)는 후대의 평가처럼 陳熾는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였다.

본래 인물 연구자는 자신이 연구하는 인물에게 애정이 생기게 마련 이다. 필자는 논문을 작성하면서 지금까지 陳熾의 활동이나 사상이 저 평가되어 왔음을 밝히고 싶었으며, 연구되어야 할 공백이 너무나 많은 매력적인 주제임을 밝히고 싶었다. 그러나 자료를 읽고, 논문을 작성하 는 과정 중에 필자의 목표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었다. 陳 43) 리쩌허우, 임춘성 옮김,중국근대사상사론(한길사, 2005), p.157.

(23)

熾는 전통 사대부 가문 출신으로 과거를 통해 관직에 올랐고, 동시대 인들로부터 ‘通才, 異才, 通西法者’ 등으로 평가받을 만큼 西學에도 능 통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 서양에 대한 그의 이해는 중국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그의 주장도 현실적인 방안을 실천방안을 제시 하지 못한 이상에 불과하였다. 그는 서양의 침탈이 더욱 심화되는 시 대적 상황 속에서 서양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고, 서양 문화에 대한 이해와 동경으로 인해 급진적인 개혁적 태도를 보였지만 유가 경전에 뿌리내린 전통적 지식인, 청조의 관리로서의 한계와 좌절을 넘어서지 못했다.

<參考文獻目錄>

湯志鈞,戊戌變法人物傳稿(上冊)(中華書局, 1980) 陳熾,陳熾集(北京: 中華書局, 1997)

미이시 젠키치 지음, 최진규 옮김,중국의 천년왕국(고려원, 1993) 馬敏,官商之間 -社會劇變中的近代紳商(天津人民出版社, 1995) 신승하, 유장근, 장의식 공저,19세기 중국사회(신서원, 2000)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 박근칠 이근명 지음,중국의 시험지옥 -科擧(청년사, 2001)

리쩌허우, 임춘성 옮김,중국근대사상사론(한길사, 2005) 張登德,尋求近代富國之道的思想先驅 -陳熾硏究(齊魯書社, 2005) 趙樹貴, 有關維新志士陳熾幾個問題的考辨 (江西社會科學1987-1) 萬振凡, 陳熾農業思想初探 (籟南社會科學1991-3)

周晋, 陳熾與戊戌維新運動 (南昌職業技術師院學報1992-2) 張良俊, 陳熾農業思想述論 (中國農史1997-3)

孔祥吉, 晩淸改革家的困境 -陳熾<上淸帝萬言書>的發現及其意義 (廣東社會科 2000-2)

蔡曉榮, 陳熾保險思想探略 (江西社會科學2001-6) 劉君, 陳熾維新思想散論 (歷史敎學問題2001-4)

張義植, 청말 교육개혁에 대한 일고찰 -국민교육론의 정책화 과정을 중심으로 (사총30)

신우철, 근대 입헌주의 성립사 연구: 청말 입헌운동을 중심으로 (법제학연구35)

김경혜, 양무운동 후기 중국 지식인의 서구 의원제에 대한 인식 -早期維新派를 중심으로 (中韓人文科學硏究, 2000)

김경혜, 19세기 후반 중국지식인의 세계인식과 商戰 사상 (中韓人文科學硏究

(24)

12, 2004)

김경혜, 淸末 初期 變法派의 敎育改革論 (中國史硏究60, 2009)

천성림, 민국시기 중국 여자 사범교육과 여교사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국근현 대사연구59, 2013)

(25)

(Abstract)

Chenchi(陳熾) during Reform Movement

Kim, Kyeong Hye

Chenchi(陳熾) was born just before the Second Opium War and was deceased when the Eight Allied Powers infringed upon Chinese.

He was the center of the world for several thousand years, living through disgraceful period when Chinese Scholars, with a strong pride to be the only country with cultural development, had to surrender to Westerners. Furthermore, after the Sino-Japanese War, China faced a national crisis triggering Chenchi to become an active scholar. He established Parliament in order to resolve a serious Chinese political issue; lack of and failur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mperor and his people. He managed to institute fundamentally different Parliament from Westerner’s, implementing firm restrictions of property and social standing for people with rights to vote and eligibility to run an election. It was different from Western Parliaments since Westerner’s could not administer legislative power in its Parliament.

Moreover, he thought of trades as economically most important factor. He believed trade relation was a bigger critical threat than war, cession of territories and indemnities. Therefore, he asserted aggressive development in Chinese commerce in order to counteract to possible Westerner’s economical pillage. As foreign exchange expands, remarkably unfavorable balances of trades exceeded and

(26)

therefore would eventually lead to enlargement of gap between China and Western nations with powerful commerce.

In terms of education, he suggested lecture halls, traditional Chinese education facilities, to be remodeled to modern school system and emphasize the study abroad options as well as women’s education. He believed educational reformation is the key to clear the China’s disgrace as impoverished, ignorant and underprivileged nation. Such ideology of Chenchi in political, economical and educational fields represented that China was under national crisis.

However, although Chenchi illustrated radical reformation, he could not surpass the limitation as scholar with Confucian influences.

주제어: 진치, 변법운동 시기, 의원, 상무진흥, 교육개혁 關鍵詞: 陳熾, 變法運動 時期, 議院, 商務振興, 敎育改革

Keywords: Chenchi, Reform Movement, parliament, trade, educational reformation

(원고접수: 2013년 10월 31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013년 12월 16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23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醣類的補充 肝醣是運動時的主要能量來源之一, 存在於肌肉和肝臟中。肌肉中的肝醣只能 供給肌肉細胞所用,而肝臟中的肝醣可以 以葡萄糖的形式釋放到血液中,供給肌肉 以及身體其他器官所需。體內肝醣存量不 足以應付運動所需是造成疲勞、運動表現 降低、無法持續運動的原因之一,運動後 體內的肝醣存量顯著的降低,若是沒有積 極的補充,下次運動時的表現會受到肝醣

某位領袖評價五四運動:「五四運動成為文化革新運動,不過是中國反帝反封建的資產階 級民主革命的一種表現形式……中國的民主革命運動中,知識分子是首先覺悟的成分。… …而五四運動時期的知識分子則比辛亥革命時期的知識分子更廣大和更覺悟。然而知識分 子如果不和工農民眾相結合,則將一事無成。」請問這位領袖的身分應為下列何者? 服膺自由主義的胡適 反帝國主義的孫中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