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협약의 주제와 현대적 의미의 경계 문제. 그러나 일본은 간도에 거주하는 조선인을 “간도협약에 따른 지위”35)로 간주했는데, 이는 청나라의 영토가 된 간도 혼성취락에 거주하는 조선인의 관할권이 전례 없는 원권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나라와 강대국 사이. 이는 강대국들의 이런 반응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했다.36)
간도협약의 국제법적 효력 문제
조약 내용에는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하여 하늘과 땅을 둘로 나누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북중조약은 간도협약에 규정된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간도협약과 북·중 국경조약에서는 홍두수를 두만강의 원류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간도협약에는 산천지가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간도협약이건, 북중조약이건, 한국은 조약 당사국이 아니었습니다.
간도협약 체결로 본 일본의 책임
위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국경 문제를 어떻게 협상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협상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 신국가주권(주권)에 따른 국경조약 검토 결과가 당초 계획대로 결정되더라도, 부당한 주권침해에 대해서는 신국가기구에서 국경문제를 검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한 조약이 대한민국(대한민국)의 향후 법적 권한 행사를 제한할 이유가 없습니다.
따라서 간도협약으로 시작된 각종 국제법적 제한은 간도협약의 국제법적 효력에 대하여 여전히 논의되고 있는 바, 실제로는 그것을 제한하면서도 또 다른 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간도협약 체결까지의 일본의 역할
특히 1905년 3월 간도주둔 러시아군이 구창에서 철수하자 일본은 간도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이를 조사, 연구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의도는 간도가 한국 영토인지를 판단하려는 것이 아니라, 총독부 경찰서를 이용하여 러시아의 보복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간도에 교두보를 마련하려는 것이었다.69). 즉, 종성·간도 사람들 사이의 금전대부 문제와 각종 민사사건과 관련된 재판사건을 계속해서 수행하였다.
지난 1월 일본 정부는 간도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고 청나라와 간도 문제를 협상하는 정책을 결정했다. 일본은 일본의 이해관계나 정책에 따라 언제든지 간도협약의 내용을 재해석하여 필요하다면 새로운 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일본의 역사적 책임
태평양전쟁 전범재판 당시 포로수용소에 연루돼 전범이 된 한국인과 대만인들은 대신 일본으로부터 전쟁책임을 묻는 심문을 받았다. 도쿄재판의 조례, 구성, 재판 결과 등 자세한 내용은 국제문제연구회 극동군사재판(1949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소장자료) 참조 , 영문본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952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은 일본을 한국전쟁의 기지로 삼고 중국을 배제하고 일본을 침략한 한반도를 평화의 대상으로 삼겠다는 의도로 자유제국과 체결한 평화협정이었으므로, 일본이 자발적으로 전쟁피해를 확인하고 책임과 보상을 이행하는 임무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한국의 주권 침해나 아시아 침략의 현실이 제대로 이해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역사를 제2차 세계 대전이나 태평양 전쟁과 같은 모호하고 포괄적인 이름으로 설명하는 것은 관념을 확장시킬 뿐이다. 미국과의 전쟁에서 피해자가 된 것입니다. .94).
일본의 잘못된 외교권 행사로 인한 대한제국의 국권 침해와 한국인에 대한 법적 지위의 자의적 적용으로 인한 인권 침해는 명백히 을사조약이나 간도협약에 근거한 법적 행위가 아니다.96) 일본의 불법조약 체결로 주권과 시민권을 유린당한 조선과 한국인은 일본의 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적·역사적 확인을 위해서라도 과거를 청산해야 한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은 일반적으로 자기파괴적인 경험이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럽 문화에 기초한 미래지향적 관계 형성이 필요했다.97)
결 론
이는 간도협약에 그치지 않고, 1964년 북한과 중국이 국경을 획정하면서 다시 영향을 미쳐 지금도 한국(통일한국)의 영토를 획정하는 권한을 재협상해야 한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간도를 제외한 경계선 결정은 필연적으로 한국인의 법적 지위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논란에 실마리를 제공한 일본은 19세기 후반 다양한 방법으로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를 조사하고 이를 간도 사건과 직접 연관시켜 특혜를 받았다.
《间岛条约》的历史争论与日本的责任 接下来我们要考虑间岛地区朝鲜人的法律地位问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