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제적 불평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경제적 불평등"

Copied!
4
0
0

Teks penuh

(1)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이해>

사용폰트 출처 : 나눔글꼴

- 1 -

경제적 불평등

◎ 학습목표

1.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이주민이 느끼는 경제적 불평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

◎ 학습목차

1.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2. 이주민과 경제적 불평등

I.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1. 경제적 불평등: 계급과 계층

-계급: 경제적 자원을 기준으로 한 집단 구분 경제적 차이에 따라 구조화되는 불평등

-계층: 경제적 부 외에도 성, 연령, 학력, 출신지, 종교, 인종 등 사회적 자원, 문화적 배경 등의 영향을 받아 구조화되는 불평등

2.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국내 소득 상위 10%가 전체 부(富)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

※ 참고: “한국 소득 불평등 세계 2위…상위층 10%에 전체 富 45%”, 한국일보, 2016. 09. 04

*세계 주요국 중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특히 상위층에 소득이 쏠리는 속 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남

*국회입법조사처가 국제통화기금(IMF)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상위 10% 소득 집중 도(2012년 기준)는 44.9%로 나타났다. 주요국 중 미국(47.8%)에 이어 두 번째, 아시아 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

(2)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이해>

사용폰트 출처 : 나눔글꼴

- 2 -

*소득집중도

: 소득 상위권 구간의 사람들의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소득불평등 정 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소득 불평등의 급속한 성장

-외환위기 이전인 1995년: 상위 10%의 소득집중도가 29.2%

-2000년 35.8%, 2008년 43.4%, 2012년 44.9%

-1995년~2012년 상위 10%의 소득집중도 상승폭: 한국(15.7%), 싱가포르(11.7%포인 트), 미국(7.3%포인트), 일본(6.5%포인트), 호주(1.9%포인트)

==>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의 과실 대부분이 상위 10%에 집중적으로 배분됨

3. 경제적 불평등 심화의 원인

-노동 시장에서의 불평등 심화

*가계 소득의 70%를 차지하는 노동 소득의 불평등은 1990년대 이후 다른 어느 경제협 력개발기구(OECD) 국가들보다도 크게 악화

*수출 주도 성장 체제 하에서의 대중소기업 간 불공정 원, 하청 거래에 따른 임금격차

-2015년 8월 현재 300인 이상 사업체의 시간당 임금 대비, 1~4인 사업체의 시간당 임금 은 39.3%에 불과

-100~299인 규모의 중견 사업체의 시간당 임금도 76.4%에 불과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일반적으로 종업원 규모 300인 이하)의 임금은 대기업 임금이 50

∼60% 수준 (일본: 82.1%, 독일: 73.9%, 프랑스: 90.0% 수준)

-하청 기업의 임금 수준은 원청 기업의 50% 수준에 불과

※ 참고: 전병유, “심각한 한국의 불평등, 두 가지가 필요하다”, 프레시안, 2016. 11. 22,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44598

*외환위기를 계기로 도입된 노동 시장의 유연화 조치에 따른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격 차 심화

*노동조합 활동의 위축: 노동자들의 임금교섭권 약화

(3)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이해>

사용폰트 출처 : 나눔글꼴

- 3 -

II. 이주민과 경제적 불평등

1. 노동자 계급의 분화

- 원청기업 노동자 : 하청기업 노동자 - 기존노동자 : 신입노동자

- 정규직 : 비정규직

- 취업자 : 실업자 (청년실업)

- 핵심 노동자 : 주변 노동자 (예: 택배, 배달)

==>노동자의 지위불안 – 사회양극화

2. 이주민의 경제적 불평등

1) 임금격차 -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과 불안정한 고용정책

※ 참고: “내, 외국인 임금격차, OECD 1위”, 경향신문, 2015. 09. 09.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509092201135

-한국의 내국인·외국인 노동자의 임금 격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남

*한국이 외국인에 대해 배타성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OECD의 ‘2015 고용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서 내국인 노동자의 임금은 외국인의 1.55배 수준으로 조사 대상 22개국 중 가장 높았음

*한국 다음으로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각각 1.32배, 1.31배

(4)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이해>

사용폰트 출처 : 나눔글꼴

- 4 -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외국인 고용 조사’에 의하면 외국인 노동자 60% 이상이 월 200만원 미만의 급여를 받고, 50% 이상이 1주일에 50시간 이상 일하는 것으로 나타남

※ 참고 https://www.huffingtonpost.kr/2017/12/14/story_n_18813872.html

2) 저임금 노동

-외국인 노동자의 상당수가 내국인이 기피하는 '질 낮은 일자리'를 담당: 저임금 업종

*외국인 노동자의 90% 정도가 저임금, 단순 업무에 종사

-2014년 기준 외국인력의 50%가 제조업에 분포하고 있으며, 도소매 및 숙박·음식점업 (18%), 사업·개인·공공서비스(17%), 건설업(10%)이 그 뒤를 이음.

3. 다문화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

-여성가족부가 '2015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 조사' 결과, 월 평균 소득 200만원 이하의 다문화 가족이 전체의 41.9%에 달함

-단, 가구 소득과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이에는 한국어 실력이 향상된 영향이 컸음

*월평균 가구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은 10.3%포인트 감소한 반면 400만 원 이상 비율은 5.6%포인트 증가

*고용률도 58.5%에서 63.9%로 높아졌음

-한국 생활의 어려움으로 '자녀 양육과 교육'을 꼽은 응답자는 2012년 22.0%에서 23.2%

로, '외로움'을 꼽은 비율은 31.4%에서 33.6%로 다소 증가

==>경제적 상황은 다소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

Referensi

Dokumen terkait

다시 말해, 중국의 교육상황은 현대적인 직업구조를 뒷받 침하기에는 매우 뒤쳐져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래에서는 중국의 직업구조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공급측면의 기능을 담당하 고 있는 중국의 교육구조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나는 어린이집의 근무조건이 좋은 편이라 생각한다 [7]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조건 및 환경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교사들의 자질 향상을 위하여 강습회나 교육에 참가할 수 있다 [7]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조건 및 환경에 대해 알아보고자

고용 불안정성이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욕구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낮 을 때보다 서반트 리더십이 높을 때 심리적 욕구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이 높을수록 심리적 욕구 만족이 높아진 다고 해석할 수

귀하가 현재 근무하는 구ㆍ군을 기준으로 다음의 드림스타트사업의 효과성에 관련한 내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드림스타트사업은 아동이 빈곤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잠재적인 능력을 키워주고

귀하가 가정위탁보호를 하면서 느끼는 아래의 요구사항에 대해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5-1 가정위탁에 대한 가족과 지역사회의 이해와 협조

사업주가 안전보건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있을 경우, 안전보건관리를 위탁한 직 원들이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 우 이에 대한 개선을 추진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자 및 일반 직원들과 안전보건 에 대해 원활한 소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안전보건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그러나 남북관계의 긴장이 고조될 것으로 예상될 뿐만 아니라 천안함사건 으로 인한 북한의 대외적 이미지가 나빠질 것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남한을 대체할 교역 상대를 모색 하는 작업이 그리 용이할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이 경우 북한의 경제적 부담은 장기화될 수도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특히 북한의 경우에는 투자환경이 열악하여

벤트렐 부대변인은 또 시진핑習 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보낸 데 대해 "우리 는 중국 측에 북한에 대해 도발적 언사와 위협을 중단하도록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의무를 준수하도록 만들기 위해 중국, 러시 아 등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 - 그는 특히 "중국은 북한과 경제적, 외교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