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야영장 밀키트 안심배달 서비스
지역 명물 음식(달기약수 백숙 등)을 내일 아침 텐트 앞으로 직접 가져다 드립니다!
부서 담당자
1. 추진 배경 및 목적
□ ①탐방객 도시락 준비 불편 해소, ②일회용품 쓰레기 저감, ③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시행한『국립공원 산행 도시락 서비스』의 서비스 장소와 내용(야영장 – 밀키트 배송)을 확대하고,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로 전환
○ 탐방객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침체된 인근 지역 음식점의 신규 수입 및 간접 일자리 창출
※ 최근 3년간 탐방객 수: (‘17년) 1,1312천명 ➡ (‘18년) 1,155천명 ➡ (‘19년) 1,064천명
2. 추진내용
□ (과제 개요) ‘19년 사업 결과 분석
Ü
도시락 서비스 고도화 ○ 지역사회 협업 강화를 통한 기존 친환경 산행 도시락 서비스 확대 ○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맞춘『야영장 밀키트 안심배달 서비스』추가□ (주요 추진사항)
○ (운영기간) 2020. 5. ~ 11. / 7개월
○ (운영내용) 기존 참여업체와의 지속적인 업무협의를 통해 우리 지역만의 특색 있는 메뉴 개발 및 도시락(밀키트) 배달서비스 시행
➊ 아침 사과 도시락 ➋ 청송 달기약수 백숙 ➌ 영덕 복숭아 샌드위치
○ (운영성과) 청송
․영덕 지역의 특산물을 밀키트 메뉴로 개발, 특히 사과,
복숭아와 같이 가볍게 먹을 수 있는 과일을 도시락 시스템에 접목하여 코로나 이후 급증한 2030 젊은 혼산족1)(구매층) 공략Ü
전체 매출액의 73.5%가 30대 이하(아침 사과 도시락 구매 93.8% 이상)1) “나 혼자 등산 간다” 2030 혼산 열풍, ‘혼산’관련 키워드 게시물이 약 3만 건 이상 올라, 아웃도어 브랜드 매출이 전년 같은 달보다 50%증가
□ (어려움 극복) 신메뉴 개발 및 야영장 배달서비스에 대해 초창기 업체의 부정적 반응(성수기 인력부족 등)
○ 기존 업체 평가 및 공정한 절차를 통한 업체 재선정
Ü (업무협의 및 설명회 진행)
밀키트(도시락) 사업수행 의지 및 능력, 조리환경, 배달가능 여부 등을 포함한 선정 적합성 평가 실시. 3개 업체 선정
○ 사이트까지 직접 배달이 어려운 메뉴의 경우, 야영장 입구의 공용 냉장고(잠금기능 탑재) 활용
Ü
냉장고 배달 후, 주문자에게 즉시 도착 알림문자 발송, 밀키트 변질 및 분실 위험 최소화○ (무인자판기 도입) 포스트 코로나시대 언택트 소비문화 확산과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한 야영장 배달서비스 문제 극복
야영장 입구 공용냉장고 아침 사과 도시락 무인자판기 밀키트(도시락) 이용모습
3. 추진성과
□ 메뉴 다양화로 서비스 매출 및 만족도 상승(판매실적 122% 상승)
2019년 2020년
2019년 판매실적
Þ
481개(3,848천원)
2020년 판매실적
Þ
1,071개(4,020천원)
□ 계량 및 비계량성과
구 분 내 용
계량성과 ∙ (매출액) 금4,020,000원(판매기간: 2020.5.~11.) 전년대비 4.5% 상승
∙ (만족도) 2019년: 93.25%, 2020년: 95.34% 전년대비 2.3% 상승
비계량성과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국립공원으로 상생의 사회적 가치 실현)
Ü
비대면 방식의 배달을 통해 감염병을 예방하고 인근 상가의 직접적인매출 증가를 유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 야영에 필요한 짐을 줄이고 장보기와 재료 손질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등 새로운 탐방서비스 제공으로 탐방객 만족도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