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존 시설물(항만) 내진성능 - 평가 및 향상요령(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기존 시설물(항만) 내진성능 - 평가 및 향상요령(안)"

Copied!
442
0
0

Teks penuh

이 지침은 기존 계류시설(안벽 및 교각) 및 방파제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와 관련된 최소한의 항목을 규정하고 있다. 내진 성능 평가 기준 지진 및 평가 절차 3.

용어의 정의

최대 게인은 두 사이클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제2장 내진성능 평가기준 지진 및 평가절차

일반사항

설계지반운동

  • 내진등급
  • 사용목표수명등급 및 지진세기
  • 가속도계수
  • 내진성능 평가기준지진 응답스펙트럼
  • 가속도 시간이력
  • 내진성능 평가 지진력 산정절차
  • 내진성능 평가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반물성조사

인공 지진 가속도 (2) 설계 응답 스펙트럼과의 비교. 인공 지진 가속도 (3) 설계된 응답 스펙트럼과의 비교.

표  2.2.1  사용목표수명/평가설계수명  비에  따른  내진성능  평가기준지진의  평균재현주기
표 2.2.1 사용목표수명/평가설계수명 비에 따른 내진성능 평가기준지진의 평균재현주기

이때 액상화 평가를 위한 추가 굴착은 내진 평가 대상 시설물의 10%로 할 수 있다. 액화안전성평가 필요성 판단 추가소심심사 NO.

일반사항

자료조사 및 정리 .1 자료조사.1 자료조사

자료정리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상세 조사항목을 작성하여 기록하고 부록 A와 같이 내진측량표로 정리하였다.

평가기준

평가방법

취약도

영향도

내진그룹화

방파제의 취약도는 내진에 둔감한 사면과 상대적으로 민감한 사면으로 나누어 인지와 토사인지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하이브리드 제품의 경우 직립부와 경사부의 표면 비율을 기준으로 대상물의 분류에 따라 평가한다.

일반사항

액상화 평가

일반사항

액상화 평가

지진력을 나타내는 주기전단응력비(τd/σ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주해] 액상화전단저항응력비는 실내 및 현장에서 다수의 시험을 바탕으로 한 표준관입시험(SPT) 결과인 N값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2) 유효부하압력을 이용하여 보정계수를 계산한다.

그림  4.2.1  액상화평가  순서
그림 4.2.1 액상화평가 순서

시설물별 구조적 안전성 평가방법

중력식 안벽

이때 V와 A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므로 기초의 종류에 따라 아래 표에서 V(m/sec)를 취한다. 2) 허용변위를 고려한 내진성능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④ 미끄러짐 가속도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 중력식 부두 구조물에 대한 해당 정적 해석을 수행합니다.

그림  4.3.1  중력식  안벽의  내진성능  상세1단계평가의  순서도
그림 4.3.1 중력식 안벽의 내진성능 상세1단계평가의 순서도

잔교

구조가 소성 거동을 겪을 때 부재력은 탄성 거동을 겪을 때보다 작아집니다. 말뚝 구조물의 경우 탄성해석으로 구한 철근력을 연성계수로 수정하여 이를 설명할 수 있다.

그림  4.3.3  잔교의  내진성능  상세  1단계평가의  순서도
그림 4.3.3 잔교의 내진성능 상세 1단계평가의 순서도

방파제(직립제)

MP : 수평력에 의한 직선부재의 굽에 대한 비틀림모멘트 F : 안전계수. 6) 기초 마운드의 지지력 산정은 비숍법에 따른 보호활동 분석법으로 산정하며, '항구 및 어항 설계 기준'을 참조한다.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하는 방법으로는 수정된 Fellenius법을 이용한 아치작용해석이나 Bishop아치작용해석법을 사용한다. 기초 토양이 느슨한 모래 토양인 경우 액상화를 고려하십시오.

이 경우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을 참조한다.

방파제(경사제)

하중조합

문장 및 보고서의 작성

문장

보고서

편집

현황보고서의 형식

예비평가 보고서

상세평가 보고서

  • 잔교
  • 방파제(경사제) B.4 방파제(직립제)
  • 안벽 B.2 잔교
  • 방파제 ( 직립제 ) B.4 방파제 ( 경사제 ) B.4 방파제(경사제)
  • 안벽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해석방법을 입력합니다. 포트 구조의 시설 유형을 입력합니다. 각 설계기준 단면의 상부구조 유형을 입력합니다.

각 설계 표준 섹션의 하위 구조 유형을 입력합니다.

그림  1  등지반운동가속도  곡선과  지진구역도
그림 1 등지반운동가속도 곡선과 지진구역도

인천항 국제여객부두 (15,000G.T)

내진성능 예비평가

이때, 피트 번호의 토양 컬럼 맵. 3개 우물 중 토질이 가장 나쁜 2번 우물. 단위 중량 및 재료 마찰각에 대한 현장 및 실험실 값이 없기 때문에 항만 및 어항 설계 기준(1999)에서 제시된 값을 추정하여 적용하였다. 위 지침에 따라 내진성능 예비평가는 내진규모에 의해 결정되는 충격평가와 구조적 특성을 반영한 취약도 평가로 구분된다.

기존 계류시설의 내진군은 취약성과 영향도에 따라 그림과 같이 4등급으로 나뉘는데, 즉 2등급 내진시설, 즉 "지진강화 예비시설"에 해당한다.

내진성능 상세평가

설계응답스펙트럼은 설계지진에 대한 시간 및 가속도이력으로 기초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사용한다. 인공 지진 가속도 (1) ​​설계 응답 스펙트럼과의 비교.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의 초기 가정값으로부터 각 층의 지반응답 및 변형률 이력곡선을 계산한다.

각 층의 토양 응답 및 변형 이력 곡선은 다음을 사용하여 다시 계산됩니다.

결론

항목에 작용하는 횡방향 지면 반력 계수(지진력 작용 방향의 (+) 각도). 기존 항만시설물의 내진성능평가는 붕괴방지등급을 기준으로 한다. 표준 설계 응답 스펙트럼의 완전한 결정을 위해 지진 계수 Ca 및 Cv를 적용하여 토양 유형 및 면적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Ca 및 Cv는 각 토양 유형 및 지진대에 대해 계산됩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인공지진기록은 부산지역 붕괴방지 1등급에 대한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작성하였다. 이때 생성된 인공지진기록은 설계 당시 암반 노두에 작용해야 하므로 SC지반에 대한 스펙트럼으로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였다.

방파제 ( 직립제 )

상기 기준에 따라 구조물이 방파제이므로 내진성능 보강이 필요한 내진 2급으로 분류된다. 기존 항만시설물의 내진성능 평가는 붕괴방지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 지령에 따라 목표수명/평가설계수명비를 1/2 이상으로 적용할 경우 내진 2급 구조물의 붕괴방지 수준에서의 평균 지진재발주기를 500년 주기로 적용한다.

위에서 구한 지반가속도는 원래 기초(정상암)에서 구한 값이므로 하부기초를 통한 응답가속도는 지진응답해석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1) 표준 응답 설계 스펙트럼을 만든다.

Gambar

표  2.2.1  사용목표수명/평가설계수명  비에  따른  내진성능  평가기준지진의  평균재현주기
그림  2.2.1    평균재현주기  50년  지진지반운동
그림  2.2.2  평균재현주기  100년  지진지반운동
그림  2.2.3  평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지반운동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