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방파제(경사제) B.4 방파제(직립제)

C. 액상화 대체평가법

부록 A.

내진실태조사표

항만시설물 내진실태조사표

1. 일반사항

⑴ 구조물명 ⑵ 소유자(관리주체)

⑶ 소재지

⑷ 준공년월 ⑸ 용도 ⑹ 적용설계지침

⑺ 보존설계자료 위치도( ), 전경사진( ), 설계도면( ), 구조계산서( ), 지반조사보고서( ), 정밀 안전 진단보고서( ),

2. 내진설계

⑴ 구조물내진설계등급 ⑵ 지진구역

⑶ 원지반종류 ⑷ 내진설계여부

⑸ 적용지침 ⑹ 적용지반가속도

⑺ 적용방법 ⑻ 액상화 평가

3. 구조제원

⑴ 시설물종류

⑵* 접안톤수 ⑶ 설계표준단면개소

시설연장 ⑸ 상부구조형식

하부구조형식 ⑺* 배후호안 및

매립형태

⑻* 마루높이 ⑼* 박지수심

4. 구조물 상태평가

⑴ 상태평가등급 ⑵ 점검기간

⑶ 보수보강내용

⑷ 평가 및 보수․보강 관련자료

5. 종합평가

⑴ 내진설계 ⑵ 구조제원 ⑶ 구조물상태 ⑷ 종합검토

6. 조사기간 및 책임자

⑴ 조사기간 ⑵ 조사책임자 소 속 : 직책 : 성명 : 연락처 :

⑶ 조사참여자 소 속 : 직책 : 성명 : 연락처 :

* 구조형식이 안벽(부두)인 경우에만 해당

7. 대상구조물

⑴ 위치도(약도)

⑵ 전경사진

8. 구조형식 세부사항(설계단면별 작성)

⑴ 표준단면도

⑵ 상부구조형식 ⑶ 하부구조형식

⑷ 설계하중 ⑸ 콘크리트 압축강도

⑹ 철근 인장강도 ⑺ 원지반 조건

⑻ 기반암종 ⑼ 매립토사의 종류

⑽ 연약지반처리 유무

⑾ 설계지반조건

구분 층후

(m)

단위중량

(t/m3) SPT-N 내부마찰각 (도)

점착력

(t/m2) 통일분류 상대밀도 (%)

작성요령

1. 일반사항

1.1 구조물명

구조물의 명칭을 기록한다.

(기입예) 대상구조물의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인 경우

⑴ 구조물명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

1.2 소유자(관리주체)

구조물의 소유주의 이름을 기입하고 소유주와 관리기관이 다를 경우 구조물 관리주 체를 괄호 안에 기입한다.

(기입예) 대상구조물의 소유주가 정부이고 관리주체가 컨테이너 공단인 경우

⑵ 소유자(관리주체) 정부(컨테이너 공단)

1.3 소재지

구조물의 위치를 행정구역상으로 시도, 시군구, 읍면동, 번지 및 우편번호가 포함되 도록 상세히 기록한다.

(기입예) 대상구조물의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인 경우

⑶ 소재지 (608-741)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신선대 컨테이터공단

1.4 준공년월

구조물이 준공된 연월을 기입한다. 불분명한 경우에는 “불분명”이라 기입한다.

(기입예) 1985년 12월인 경우

⑷ 준공년월 1985. 12

1.5 용도

구조물의 주용도를 기입한다. 용도가 여러 개일 경우 모두 기입한다.

(기입예) 컨테이너 부두인 경우

⑸ 용도 컨테이너 부두

1.6 적용설계지침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시 적용한 지침 및 시방서명을 제정 연도를 포함하여 기입한 다.

(기입예) 2005년에 개정된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및 2000년 콘크리트 표준시방서를 적용한 경우

⑹ 적용설계지침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200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00)

1.7 보존설계자료

구조물과 관련된 준공도면, 구조계산서, 지반조사보고서, 준공보고서, 안전진단보고서 등의 자료의 보존 여부를 모두를 기입한다. 있는 경우는 ○, 없는 경우는 ×, 보존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는 △로 표시한다.

(기입예)

⑺ 보존설계자료 위치도(○), 전경사진(○), 설계도면(○), 구조계산서(○), 지반조사보고서(○), 정밀 안전 진단보고서(×),

2. 내진설계

2.1 구조물내진설계등급

2005년도에 개정한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서 규정한 구조물의 내진설계등급을 기입 한다. 설계기준에 따르면 내진등급분류는 다음과 같다.

(기입예) 내진 I 등급인 경우

⑴ 구조물내진설계등급 I 등급

(1) 내진 I 등급

① 시설물이 피해를 입으면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줄 염려가 있는 시설물 ② 시설물이 피해를 입으면 심각한 환경오염을 줄 염려가 있는 시설물

③ 지진재해 복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설물(지진재해 복구용 시설물) ④ 국방상 필요성에 의하여 분류에 시설물

⑤ 지진피해 발생시 구조물의 복구가 곤란한 시설

(2) 내진 II 등급: 내진 I 등급으로 분류되지 않은 항만시설물 ※ 내진 I 등급 시설물 예

① 유해물이나 위험물 부두시설로서 위의 ① 및 ②항에 해당되는 시설 ② 컨테이너 안벽 등 부두시설 중 ③항에 해당되는 시설

③ 군사목적용 시설로서 이용자의 판단에 따라 I 등급으로 분류된 시설 ④ 침매터널, 해저파이프라인 시설 중 ② 및 ⑤항에 해당되는 시설 ⑤ 갑문시설

2.2 지진구역

구조물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지진구역 I과 II로 구분하며 각 지진구역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은 다음 표 1과 같다. 참고로 그림 1에 등지반운동가속도 곡선을 기준으로 구분된 지진구역을 나타내었다.

(기입예) 대상구조물의 부산에 위치한 경우

⑵ 지진구역 I

지진구역 행정구역

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도 경기도, 강원도 남부,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

Ⅱ 도 강원도 북부, 전라남도 남서부, 제주도

※강원도 북부(군/시) : 홍천, 철원, 화천, 평창, 양구, 인제, 고성, 양양, 춘천시, 속초 강원도 남부(군/시) : 영월, 정선, 삼척시, 강릉시, 동해시, 원주시, 태백시

전라남도 북부(군/시) : 장성, 담양, 곡성, 구례, 장흥, 보성, 여천, 화순, 광양, 나주, 여천, 여수, 순천

전라남도 남부(군/시) : 무안, 신안, 완도, 영광, 진도, 해남, 영암, 강진, 고흥, 함평, 목포 표 1. 지진구역의 구분

그림 1 등지반운동가속도 곡선과 지진구역도

2.3 원지반종류

구조물이 위치하고 있는 대상부지의 지반종류를 설계도 등을 참조하여 기입하고 불 분명한 경우에는 “불분명”이라고 기입한다.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서 지반 종 류를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SA에서 SF까지 6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므로 이를 준 용하여 기입한다.

(기입예) 대상구조물이 연암지반에 위치한 경우

⑶ 원지반종류 SC

지반

분류 지반종류의 호칭

상부 30m 에 대한 평균 지반 특성 전단파 속도

(m/s)

표준관입시험(N) (blow/foot)

비배수전단강도(su) KPa(kgf/㎠) SA 경암지반 1500초과

- -

SB 보통암지반 760에서 1500 SC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또는 연암지반 360에서 760 > 50 > 100{1.0}

SD 단단한 토사지반 180에서 360 15에서 50 50~100{0.5~1.0}

SE 연약한 토사지반 180미만 < 15 < 50 {<0.5}

SF 부지 고유의 특성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부지특성조사가 요구되는 지반종류 SF는 다음 경우에 속하는 지반에 해당한다.

1) 액상화가 일어날 수 있는 흙, Quick Clay와 매우 민감한 점토, 붕괴될 정도로 결 합력이 약한 붕괴성 흙과 같이 지진하중 작용시 잠재적인 파괴나 붕괴에 취약한 지반

2) 이탄 또는 유기성이 매우 높은 점토지반 [지층의 두께, H >3.0m ] 3) 매우 높은 소성을 갖은 점토지반 [H >7.620m 이고 PI>75]

4) 층이 매우 두꺼우며 연약하거나 중간 정도로 단단한 점토[H >36.6m]

표 2. 지반의 분류

2.4 내진설계여부

구조물의 설계도서 등을 참조하여 내진설계가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적 용, 미적용”으로 구분하여 기입한다.

(기입예)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⑷ 내진설계여부 미적용

2.5 적용지침

내진설계가 적용된 경우 사용한 지침을 제정년도를 포함하여 기입한다.

(기입예) 2005년에 개정된 “항만 및 허항 설계기준”을 사용한 경우

⑸ 적용지침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2005)

2.6 적용지반가속도

내진설계에 적용한 설계지반가속도를 기입한다.

(기입예) 0.15g를 적용한 경우

⑹ 적용지반가속도 0.15g

2.7 해석방법

내진설계에 사용한 해석방법을 기입한다. 해석방법은 등가정적해석법, 응답스펙트럼 법, 시간이력해석법 등이 있으며 이들 방법 중 설계에 사용한 방법을 기입한다.

(기입예) 등가정적해석법을 적용한 경우

⑺ 해석방법 등가정적해석법

2.8 액상화 평가

지반의 액상화 안정성 검토 여부를 확인하여 “검토, 미검토”로 분류하여 기입한다.

(기입예) 검토를 한 경우

⑻ 액상화 평가 검토

3. 구조제원

3.1 시설물종류

항만구조물의 시설물종류를 기입한다.

(기입예) 안벽인 경우

⑴ 구조형식 안벽

3.2 접안톤수

접안톤수 및 선석을 기입한다.

(기입예) 부두의 접안톤수가 2만톤급이며 선석이 2개인 경우

⑺ 접안톤수 2만톤급 2선석

3.3 설계 표준단면 개소

설계 표준단면의 개소를 기입한다.

(기입예) 설계 표준단면의 수가 3개소인 경우

⑼ 설계표준단면개소 3

3.4 부두연장

표준단면개소에 따라 시설물을 (가), (나), (다)...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연장과 총연장을 기입한다. .

(기입예) 부두의 총길이가 1,146m이고, 설계표준단면의 수가 3개소이며, 설계표준단면별로 부두길이가 각각 300m, 500m, 346m인 경우

⑻ 부두연장

총 1,146m (가) 300m (나) 500m (다) 346m

3.5 상부구조형식

상부구조형식을 표준단면별 시설번호에 따라 구분하여 가급적 상세하게 기입한다.

(기입예) 상부구조형식이 (가)는 케이슨식, (나)는 중력식, (다)는 잔교식인 경우

⑵ 상부구조형식

(가) 케이슨식 (나) 중력식 (다) 잔교식

안벽(부두) 호안

․중력식안벽

․케이슨식압녁

․널말뚝식안벽

․선반식안벽

․강널말뚝식안벽

․강판셀식안벽

․잔교식안벽

․기타

․중력식호안

․널말뚝식호안

․셀식호안

․사석식호안

․소파블록피복호안

․기타 표 3. 상부구조형식의 종류

3.6 하부구조형식

하부구조형식을 표준단면별 시설번호에 따라 구분하여 가급적 상세하게 기입한다.

(기입예) 하부구조형식이 (가)는 모래와 사석으로 굴착치환한 경우이고, (나)는 심층혼합처리한 경우이고 (다)는 모래다짐말뚝인 경우

⑶ 하부구조형식

(가) 굴착치환 모래+사석 (나) 심층혼합처리 (다) 모래다짐말뚝

․치환모래 또는 치환사석(굴착 또는 강제)

․연직말뚝(콘크리트 또는 강관)

․연직+경사말뚝(콘크리트 또는 강관)

․심층혼합처리

․모래다짐말뚝(SCP)

․기타

표 4. 하부구조형식의 종류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