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제비의 도래현황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제비의 도래현황 분석"

Copied!
4
0
0

Teks penuh

(1)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4, No. 4, pp. 127-130 (20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제비의 도래현황 분석

이승연*·서슬기·박창욱·조숙영·박세영·빙기창·홍길표·권영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Migration Status of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in Heuksan-do,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Seung-yeon Lee*, Seul-Gi Seo, Chang-uk Park, Sook-Young Cho, Se-Young Park, Gi-Chang Bing, Gil Pyo Hong and Young-Soo Kwon

Migratory Birds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hinan-gun, Jeonnam 535-917, Korea

요 약 :본연구는소형산새류의중간기착지로이용되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흑산도의위치적·환경적특성이제

비 (Hirundo rustica)의 모니터링 효율에미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예비적 연구로 2012년 센서스와 가락지부착조

사를 통한모니터링을실시하여 도래현황 및도래시기를 분석하였다. 조류모니터링 결과제비는봄철(4~5월)과 가 을철(8~9월)에 집중적으로 도래하였으며, 가을철에 비해봄철에 2배 이상 많은개체수가 관찰되었다. 가락지부착조

사 결과제비는 4월에전체포획 개체수의 86.4%가 포획되었으며가을철에는 3.8%만이포획되었다. 이로서제비는

흑산도를봄·가을철에이동경로상의중간기착지로이용하는것으로보이며, 계절별도래개체수의차이는이동전 략의다양성, 두가지방법의조사결과차이는계절별서식지이용에서기인한결과로판단된다.

주요어 :제비, 이동, 모니터링, 중간기착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Abstract :We monitored migration status and timing of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in Heuksan-do, which belongs to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is a stopover site for migratory passerines. Daily bird census by count and bird banding during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 were carried out in 2012. Barn Swallows were observed mainly during Apr~May and Aug~Sep, where the number of birds in spring were more than twice than in autumn. Most of swallows were banded in April (86.4%), and only 3.8% of swallows were banded in the autumn season. The monitoring results confirmed that Barn Swallows use Heuksan-do as a stopover site in both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 and the difference of monitoring results by the two methods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migration strategies and in habitat use between the two seasons.

Key words :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Migration, Monitoring, Stopover sit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서 론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제비(Hirundo rustica)는 한반도 전역의 인가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다(Turner 2012; 이 등

2000). 분류학 상 제비는 8개의 아종으로 나뉘며 그 중

gutturalis가 주로 우리나라에 도래한다(Howard and Moore

1980; 원과 김 2012). 히말라야 동부, 중국 남부·중부·동부,

대만, 일본, 한국, 쿠릴 열도, 아무르 강 하류까지 번식을 하 고, 월동지역은 아시아 남부·남동부에서 호주 북부까지 이

른다(Dickinson and Dekker 2001).

인간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귀소성이 강한 제비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조류 가운데서도 가장 활발하게 연구 가 이루어진 종 중 하나이다(Turner 2012). 하지만 최근 제 비의 개체수 감소 우려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언급되고 있 으며(Møller 2001; Moore 2001), 충북산림환경연구소(1998) 의 미발표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또한 제비 개체수는 10년 전에 비해 5%만이 도래한 것으로 나타났다(이 2009). 제비 개체수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개체군 역학과 분포를 밝히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128 국립공원연구지 제 4 권 제 4 호 (2013)

기 위한 연구가 세계 여러 곳에서 진행 중이며(BTO 2003), 우리나라 또한환경부를 비롯한 서울시와 여러 지방자치단 체에서 제비를 생태지표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이 2009).

국내의 제비에 관한 연구로는 가락지부착조사에 의한 계 절적 분포(원 등 1969)와 집단형성과 이동에 의한 연구(최 1998), 번식생태에 관한 연구(김과 함 2001; 한 2009), 먹이 자원의연구(이 2009)가있으나, 도래현황 및시기, 특히도 서지역에서 본 종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대양주철새이동경로를 이용하는 소형 산새류의 중간기착지로 알려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흑산 도의 위치적·환경적 특성이 제비의 모니터링 효율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예비적 연구로서 도래현황 및 도래시 기를 분석하였으며, 급감하는 개체수 보전 측면에서 향후 서식지질적향상을위한 기초자료를수립할목적으로수행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기간 및 지역

본 연구는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다 도해해상국립공원 내에 있는 신안군 흑산도(N 34o 41', E

125o 25')의 진리와 배낭기미습지에서 수행하였다(Fig. 1). 배

낭기미 습지는 흑산도 북서쪽에 위치한 14,300m2의 작은 습 지이며, 진리 습지는 흑산도 철새연구센터 인근에 위치한

3,000m2의 작은 습지이다. 두 습지간의 거리는 약 400m이며,

소형산새류뿐만아니라 일부물새류도서식한다. 2. 연구방법

1) 조류 센서스

접근성이 용이하고 비교적 조류밀도가 높은 지역인 진리

와 배낭기미 두 지역을 매일 모니터링 하였다. 군집 전체를 한 눈에불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는 정점관찰법 (point count method)과 도보로 시속 1.5~2.0 km의 속도로 걸 어가면서 그 양쪽의 일정한 범위를 조사하는 선 조사법(line transect method) (Bibby et al., 1997)을 병행하였다. 육안 또 는 망원경(Swarovski 20~60x), 쌍안경(Swarovski 10×25)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울음소리도 함께 동정하였다. 센서 스 자료의합산은매일의 개체수를 합산하여산정하였다.

2) 가락지부착조사

조사는 봄철 통과시기(3월 1일~5월 31일)와 가을철 통과 시기(8월 15일~11월 30일) 동안에 다양한 종이 중간기착하 여 취식하는 배낭기미 습지와 진리 습지에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에는 국립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에서 장기 생태 연구를목적으로상시설치한새그물을이용하여조사 하였다. 배낭기미 습지에는 그물 10개(30 mm×2.6m×12m: 6 개, 36 mm×2.6m×12m: 4개)를 설치하였으며, 진리 습지에는 그물(30 mm×2.6m×12m) 4개를 설치하였다. 자료의 합산은 일일 포획개체수의 누적 값으로 결과에 제시하였다.

3) 통계분석

흑산도에 도래하는 제비를 대상으로 계절별 도래 개체수 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해 평균값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 였다.

결 과

조류 센서스 결과, 2012년 흑산도에 도래한 제비는 총

2,435개체이었다. 월별 도래현황을 살펴보면 제비는 3월부터

10월까지 도래하였으나 4~5월과 8~9월에 집중되었으며 그

밖의 기간에는 1% 미만의 적은 개체수만이 관찰되었다. 특

Figure 1. Study area.

(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제비의 도래현황 분석 129

히 4월에는 1년 동안 관찰된 개체수의 48.6%가 기록되었다 (Fig. 2). 봄철(3~5월)이 가을철(8~10월)보다 많은 개체수가 도래하였다(Z =4.551, P < 0.001).

가락지부착조사는 봄철·가을철 통과시기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2012년 흑산도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제비는 총 264개체이었다. 센서스 결과와 마찬가지로 제비는 주로 봄 철(3~5월)에 집중되었으며(Z =5.249, P<0.001), 특히 4월에 는 연간 포획 개체수의 86.4%를 기록하였다. 가을철(8~10월) 에는 매우 적은 개체수(3.8%)만이 포획되었다(Fig. 3).

고 찰

제비의 산란기는 4월 하순에서 7월 하순까지이며, 우리나 라에는 주로 4월에 도래하여 여름내 관찰된다(원과 김 2012).

하지만 본 연구 결과, 제비는 봄·가을철에 양분되어 도래하 여 국내의 일반적인 도래현황과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흑산도에서 제비는 번식 전과 이후에 일시적으로 거쳐 가는 나그네새로 판단되며, 본 연구지역은 중간기착지로서의 역 할을담당한다고생각된다.

두 조사를 비교하였을 때 조류 센서스 시 봄철(3~5월)이 67.9%로 가을철(8~10월) 30.9%에 비해 2배 이상의 개체수 가 관찰된 반면, 가락지부착조사 결과 봄철이 97.6%로 가을 철에 비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방법에 따른 결과 값에서 차이가 생기는 원인으로 철새들의 이동 패턴과 취식 습성에대해고려해 볼수 있다. 일반적으로번식지와 월동 지를 오가는 철새들은 봄철에는 번식지에서 생태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가을철에 비해 중간기착지에 상대적으로 단 기간에 걸쳐 집중적으로 도래한다(Berthold 2001). 제비 도 래 개체수가 많은 봄철에는 먹이에 대한 경쟁으로 중간기착 지 내에서 취식을 위한 비행 빈도가 높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주로 4월부터 시작하여 봄철에 물가 주변에서 우화하 는 파리목, 딱정벌레목, 하루살이목 등의 먹이(배 2002; 원 과 김 2012) 섭식을 위해 습지 주위로의 낮은 비행이 잦을 것으로 생각된다. 먹이 분포량의 변화에 따라 비행고도를 달리하는 황금새 (Ficedula narcissina)에 관한 유사 연구 (Murakami 2002) 사례로 비추어 보아 봄철에는 도래한 개체 에 비해서 그물에 포획된 개체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번식 이후인 가을철 이동시기에 봄 철보다 많은 개체수가 도래하는 것과는 달리, 봄철에 편중 된 본결과는 봄·가을이동경로 차이가주원인으로 예상되 지만철새의이동경로와 규모는계절·시기·위도·기상조 건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Larsson et al. 1988; Newton 2008), 앞으로 장기 개체군변동 연구를 통한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장거리 이동 철새의 경우 많은 환경과 접하게 되고 그만 큼 환경변화의 위험에 수시로 노출된다(Hedenstrm and Alerstam 1997; Newton 2006). 특히 봄철에는 휴식을 취할 만한 공간이 마땅치 않는 동아시아-대양주철새이동경로를 이용하는 제비에게 중간기착지는 번식성공률과 분포, 풍부 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Alerstam and Lindstrm 1990). 일반 적으로 중간기착지(주로 갯벌과 습지)의 먹이자원은 불규칙 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그리고 채취와 지역개발에 의해 감 소할 수 있다(Hughes 2004). 그러므로 중간기착지에서 제비 의 장기적인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개체수 보전적차원에서 서식환경과 먹이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관리가 필요 하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에서 실시하는

2012 조류 조사·연구에 의해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12. 2012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 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Pp. 1-153.

김인규, 함규황. 2001. 제비(Hirundo rustica)의번식생태에관한연 구. 한국조류학회회지 8(1): 1-9.

배연재. 2002. 한국곤충생태도감 I. 고려대학교한국곤충연구소.

Pp. 1-260.

원병오, 우한정, 구태회, 윤무부. 1969. 표식방조에의한한국산철

새집단의계절적분포와그의생태 (II). 경희대학교논문집 6:

305-346.

원병오, 김화정. 2012. 한반도의 조류.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659-663.

이상돈. 2009. 우리나라에번식하는제비의먹이자원에관한생태

학적연구. 환경영향평가 18(3): 123-129.

Figure 3. No. of individuals of Barn Swallows captured by mist net at Heuksan-do in 2012.

Figure 2. Monthly census result of Barn Swallows at Heuksan-do in 2012.

(4)

130 국립공원연구지 제 4 권 제 4 호 (2013)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한국의새. LG 상록재단. Pp. 200- 201.

최인숙. 1998. 제비 Hirundo rustica의번식및이동전집단형성행 동에관한연구.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한현진. 2009. 제비 Hirundo rustica의영소지선택과번식생태. 경

희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Alerstam T, Lindstrm. 1990. Optimal bird migra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ime, energy, and safety. In Bird migration: the physiology and ecophysiology (Gwinner E, eds.). Berlin. Pp.

331-351.

Berthold P. 2001. Bird migration: a general survey (2nd ed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1-253.

Bibby CJ, ND Burgess, DA Hill. 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ondon.

BTO. 2003. Swallow roost project newsletter No1. BTO. Pp. 8.

http://www.bto.org/volunteer-surveys/ringing/surveys/swallow- roost-project

Dickinson EC, RWRJ Dekker. 2001. Systematic notes on Asian birds. 13. A preliminary review of the Hirundinidae. Zoologische Verhandelingen Leiden 335: 127-144.

Hedenstrm A, T Alerstam. 1997. Optimum fuel loads in migratory birds: Distinguishing between time and energy minimization.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89: 227-234.

Howard R, A Moore. 1980.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349-353.

Hughes RG. 2004. Climate change and loss of saltmarshes: con- sequences for birds. Ibis 146: 21-28.

Larsson K, P Forslund, L Gustafsson, BS Ebbinge. 1988. From the high Arctic to the Baltic: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Barnacle Goose Branta leucopsis population on Gotland, Sweden.

Ornis Scandinavica 19: 182-189.

Møller AP. 2001. The effect of dairy farming on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abundanc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Journal of Applied Ecology 38: 378-389.

Moore PD. 2001. Dairy declines hard to swallow. Nature 411: 904- 905.

Murakami M. 2002. Foraging mode shifts of four insectivorous bird species under temporally varying resource distribution in a Japanese deciduous forest. Ornithological Science 1: 63-69.

Newton I. 2006. Can conditions experienced during migration limit the population levels of birds? Journal of Ornithology 147:

146-166.

Newton I. 2008. The migration ecology of birds. Academic Press.

London. Pp. 1-976.

Turner A. 2012. The Barn Swallow. T&AD Poyser, London. Pp. 1- 256.

(2013년 12월 6일 접수; 2013년 12월 13일 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Of these, 15,224 4,719 households from the DRC, 1,620 478 households from Zambia and 182 79 households from the Republic of Congo.9 In May 2013, following a Cabinet decision, the S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