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The Comparison of Bird Status on Migratory Stopover Sites in National Park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The Comparison of Bird Status on Migratory Stopover Sites in National Parks"

Copied!
6
0
0

Teks penuh

(1)

국립공원 내 철새중간기착지에서 철새 도래현황 비교 - 흑산도와 소매물도를 중심으로 -

홍길표

*

·빙기창·조숙영·박세영·김양모·권영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The Comparison of Bird Status on Migratory Stopover Sites in National Parks

- Mainly Heuksan-do Isl. and Somaemul-do Isl. -

Gil-Pyo Hong*, Gi-Chang Bing, Sook-Young Cho, Se-Young Park and Young-Soo Kwon

Migratory Birds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hinan-gun, Jeonnam 535-917, Korea

요 약 :국립공원내주요철새중간기착지의철새이동현황을비교하기위해동시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흑산도와한려해상국립공원의소매물도지역이며, 조사기간은 2013년 4월 29일~5월 2일까지 4일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개 지역에서 총 109종 2,537개체가기록되었으며, 지역별로는흑산도에서 96종 1,615 개체, 소매물도에서 45종 922개체가 조사되었다. 흑산도에서는 제비 Hirundo rustica가 최우점종이었으며, 소매물도 에서는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가 최우점종으로 조사되어, 지역별로 우점종의 구성이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내에위치한철새중간기착지에서의동시조사는본조사가처음이다.

주요어 :철새중간기착지, 우점종

Abstract :We performed simultaneous survey in order to compare the status of migratory birds at stopover sites in National Park. The study areas were Heuksan-do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Somaemul-do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29 April to 2 May in 2013. We observed total 109 species, 2,537 individual. In two regions, 96 species, 1,615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Heuksan-do and 45 species, 922 individuals observed in Somaemul-do. The dominant species was the Barn Swollow Hirundo rustica in Heukan-do and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in Somaemul-do. Domiant species differed between two reg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ime to monitor stopover sites simultaneously in Korea National Park.

Key words : Migratory bird, Stopover site, Dominant species

서 론

우리나라는 북반구 온대 지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월동 지, 번식지, 중간기착지 등 다양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

(Choi 2013). 이 중 한반도에 도래하는 겨울철새 집단에 대

한 조사는 겨울철새동시센서스를 통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국립생물자원관 2012). 이에 반해 철새중간기착지에 대 한 조사는 2005년 국립공원관리공단 철새연구센터가 설립되 면서본격적으로시작되었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철새들의 이동에 있어서 중간기착지에서의 휴식 및 취식

활동은 피로누적과 에너지 고갈 등으로 인해 필수적으로 발 생(Jenni and Schaub 2003; Fusani et al. 2009) 하기 때문에 중간기착지에서의 개체군 모니터링은 철새 이동생태 연구에 있어서 매우 기초적이며 중요한 조사이다. 특히 장기모니터 링 수행시 개체군의 증감, 도래시기의 변화, 기후조건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생태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때문에 외국의 경우 철새중간기착지에서의 모니터링 연구를 오랫동안 수행해오고 있다(Hppop & Hppop 2011).

우리나라의주요 철새중간기착지는한반도의 지리적특성 으로 인해 대부분 도서지역에 위치해 있으며(국립공원관리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도래 현황 비교를 통해 관리방안 도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 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 기간

본 조사는 봄철 이동시기인 2013년 4월 29일~5월 2일 까 지 4일간 오전 시간대를 이용하여 1일 1회 실시하였다.

2. 조사 지역

흑산도 지역(N34o 41', E125o25')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으로 행정구역은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한다. 육지에 서 약 90 Km 서쪽에 위치해 있다. 조사는 접근성이 용이하 고 조류의 관찰빈도가 높은 진리 마을과 배낭기미 습지 일 원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소매물도(N34o 37', E128o32')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행정구역상 경남 통영시 한산면에 속하는 곳이다. 거제도와 약 20 Km 떨어져 있으며, 중간 지점에 많 은 섬들이 위치해 있다.

조사 지역의 면적은 흑산도 지역 345,024m2, 소매물도 지 역 258,572m2였다.

3. 조사 방법

조사는 2인 1조로 정점조사법(point count)과 선형조사법 (line transect count)을 병행하였으며(Bibby & Burgess 1992), 조사 범위는 쌍안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전 지역을 대상으 로 하였다. 또한 종이 구분되는 경우 조류의 소리(song, call) 로 종과 개체수를 산정하였다.

또한지역별생태지수를비교하기 위해우점도(Brower et al. 1990)에 따른 우점종 순위와 종다양도지수(Shannon et al. 1949), 종풍부도(Margalef 1963), 균등도(Pielou 1966)를 분석하였으며, 각 지수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우점도(Relative species density) : RD=(ni/N)×100

○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 : H' =∑(ni/N)(logeni/N) (H' : 다양도, ni : 각 종의 개체수, N : 총개체수)

○종풍부도(Species Richness) : R' = (S-1)/ln(N) (R' : 풍부도, S : 전체종수, N : 총개체수)

○ 균등도(Evenness) : E' = H'/ln(S) (E' : 균등도, H' :다양도 S: 전체 종수)

조사 결과 1. 지역별 특징 및 우점종

조사기간 중 흑산도 지역과 소매물도 지역에서 관찰된 종 은 총 109종 2,537개체로 나타났다. 이 중 흑산도 지역에서

96종 1,615개체, 소매물도 지역에서 45종 922개체가 관찰되

었다(Fig. 2).

흑산도 지역의 우점종은 제비 Hirundo rustica, 붉은가슴 밭종다리 Anthus cervinus, 촉새 Emberiza spodocephala 순 으로 나타났고(Table 1), 소매물도의 경우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제비 Hirundo rustica 순이었다(Fig. 3).

지역간 종다양성의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종다양도와풍 부도, 균등도를 비교하였다(Fig. 4). 분석결과 종다양도와 풍 부도에서는 흑산도 지역이 각각 3.23과 11.81로 소매물도 지역(종다양도 2.76, 풍부도 6.59)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균등도의 경우 두 지역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2. 멸종위기종 출현 현황

조사 기간중관찰된법정보호종 현황은흑산도가 4종 24 개체, 소매물도가 5종 19개체가 관찰되었다(Table 1). 환경 부 지정 멸종위기종 1급은 매 Falco peregrinus 1종이 2개 조사지역에서 모두 기록되었으며, 벌매 Pernis ptilorhynchus, 알락개구리매 Circus melanoleucos, 조롱이 Accipiter gularis 등 이동중인 수리과 3종과 검은머리촉새 Emberiza aureola, 무당새 Emberiza sulphurata 등 멧새과 2종이 기록되었다. Figure 1. The location of Heuksan-do and Somaemul-do in National Park.

(3)

특징적으로 두 지역 모두 무당새 Emberiza sulphurata의 이 동이 많았다.

고 찰

현재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도서 지역 중 철새중간 기착지로 잘 알려진 지역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흑산도와 홍도,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소매물도 등이다.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봄철 철새 이동 현황을 비교한 결 과 흑산도와 소매물도는 종 및 개체수의 구성에서 많은차 이를나타내었다.

우점종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흑산도의 경우 1~5순위 우점종이 모두 참새목 조류로, 뚜렷한 철새인 반면, 소매물 Figure 3. The species of dominance on study areas.

Figure 4. The comparison ecological indices on study areas.

Figure 2.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n study areas.

Table 1. Protected species observed in study areas.

N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Heuksan-do Somaemul-do Total Level

1 Falco peregrinus 매 2 2 4 I

2 Pernis ptilorhynchus 벌매   8 8 II

3 Circus melanoleucos 알락개구리매 1   1 II

4 Accipiter gularis 조롱이   2 2 II

5 Emberiza aureola 검은머리촉새 6 1 7 II

6 Emberiza sulphurata 무당새 15 6 21 II

  No. of Species 4 5 6 II

  Individuals 24 19 43 II

(4)

경로상 차이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소매물도 지역에서 괭이갈매기가 우점종으로 나타 난 이유는 바로 인근에 국내최대 괭이갈매기번식지가 있 어두 지역을왕래하는개체들 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두 섬의 종다양도와 풍부도 비교에서 흑산도 지역이 다소 높게 나온 이유는 흑산도 지역에 배낭기미습지와 진리습지 등 담수생태계의 존재 때문으로 추정된다.

멸종위기종의 출현은 흑산도가 섬의 규모와 조사지역의 면적이 넓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소매물도에서 1종 더 많이 기록되었다. 특히,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2급 조류인 벌매 Pernis ptilorhynchus의 경우, 권 등(2006)이 1997년 부 터 3년간의 조사를 통해 이동시기에 벌매가 소매물도 상공 을 규칙적으로 통과한다고 밝혔는데, 이를 뒷받침 하는 결 과로 해석된다.

종합하면, 두 지역의 지리적 특성상 흑산도는 우리나라와 중국간의중간기착지이며, 소매물도는 우리나라와일본간을 잇는 중간기착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종의 구성에도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차후 좀 더 정밀한 실험 설계에 의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철새중간기착지의 서식 환경은 철새들의 이동과 분포에 큰 영향을 준다. 때문에 철새 보호 관리를 위한 꾸 준한 모니터링을필요로한다.

우리나라는 서남해안에 발달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인해 철새 중간기착지로서 좋은 조건을 가진 섬들이 산재해 있다.

이들 중 국립공원에 속한 지역은 보호 관리가 비교적 잘 이 루어지고 있지만, 그 외 무인도서의 경우 접근성 문제로 조 사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곳이 많다.

이러한 섬들중 철새중간기착지로서의 생태적가치가 높 아, 향후 국립공원으로 편입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여 선행조 사를 실시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의미가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권영수, 김미란, 유정칠. 2006. 국립공원소매물도의조류상. 한국 조류학회지 13(2): 137-143.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 2012년도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 국립생물자원관, 인천광역시.

Bibby CJ, ND Burgess, DA Hill. 1992.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ondon.

Fusani L, M Cardinale, C Carere, W Goymann. 2009. Stopover decision during migration:physiological conditions predict nocturnal restlessness in wild passerines. Bilogy Letters 5: 302- 305.

Hppop O, K Hppop. 2011. Bird migration on Helgonand: the yield from 100years of research. Journal of ornithology 152(Supplement 1): S25-S40.

Jenni L, M Schaub. 2003. Behavioural and physiological reaction to environmental variation in bird migration:a review. In:

Berthold P, E Gwinner, E. Sonnenschein. Bird Migration. Springer Berlin, Germany. Pp. 155-171.

Choi YS, SH Kim, JS Son, SG Kang, WH Hur, SH Han. 2013.

Seasonal Patterns of Bird Migration at a Stopover Site during the Migratory Period. Koream Journal of Ornithology 20(1):

49-65.

Shannon CE,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p. 117.

Marglef R. 1963. On certain unifying principles in ecology. The American Naturalist. 97: 357-374.

Brower J, J Zar, C von Ende. 1990.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Third Edition. Brown Publishers. p. 237.

Pielou EC.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diversity. The American Naturalist 100: 463-465.

(2013년 12월 9일 접수; 2013년 12월 17일 채택)

(5)

Appendix 1. The list of observed species in survey areas.

N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Heuksan-do Somaemul-do Total

1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32 32

2 Gavia stellata 아비 59 59

3 Gavia arctica 큰회색머리아비 16 16

4 Dupetor flavicollis 검은해오라기 1 1

5 Nycticorax nycticorax 해오라기 1 1

6 Ardeola bacchus 흰날개해오라기 15 15

7 Bubulcus ibis 황로 7 9 16

8 Ardea cinerea 왜가리 26 26

9 Ardea alba 중대백로 4 4

10 Egretta intermedia 중백로 17 17

11 Egretta garzetta 쇠백로 28 28

12 Phalacrocorax capillatus 가마우지 10 10

13 Falco peregrinus 매 2 2 4

14 Pernis ptilorhynchus 벌매 8 8

15 Circus melanoleucos 알락개구리매 1 1

16 Accipiter gularis 조롱이 2 2

17 Butastur indicus 왕새매 2 2

18 Amaurornis phoenicurus 흰배뜸부기 2 2

19 Porzana pusilla 쇠뜸부기 1 1

20 Pluvialis squatarola 개꿩 1 1

21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5 5

22 Gallinago stenura 바늘꼬리도요 1 1

23 Gallinago gallinago 꺅도요 5 5

24 Limosa limosa 흑꼬리도요 1 1

25 Numenius phaeopus 중부리도요 5 5

26 Tringa nebularia 청다리도요 10 10

27 Tringa glareola 알락도요 26 26

28 Actitis hypoleucos 깝작도요 5 5

29 Heteroscelus brevipes 노랑발도요 1 1

30 Calidris ruficollis 좀도요 2 2

31 Calidris acuminata 메추라기도요 4 4

32 Glareola maldivarum 제비물떼새 6 6

33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5 273 278

34 Larus vegae 재갈매기 4 4

35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16 7 23

36 Cuculus micropterus 검은등뻐꾸기 1 1

37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3 3

38 Ninox scutulata 솔부엉이 2 2

39 Aerodramus brevirostris 작은칼새 1 1

40 Apus pacificus 칼새 19 49 68

41 Eurystomus orientalis 파랑새 1 1

42 Alcedo atthis 물총새 6 6

43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7 7

44 Pericrocotus divaricatus 할미새사촌 1 1

45 Lanius cristatus 노랑때까치 1 1

46 Oriolus chinensis 꾀꼬리 1 1

47 Pica pica 까치 9 9

48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10 10

49 Parus major 박새 16 22 38

50 Parus varius 곤줄박이 11 12 23

51 Riparia riparia 갈색제비 4 4

52 Hirundo rustica 제비 133 88 221

53 Cecropis daurica 귀제비 18 16 34

54 Delichon dasypus 흰털발제비 2 2 4

55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2 10 12

56 Calandrella cheleensis 북방쇠종다리 1 1

57 Pycnonotus sinensis 검은이마직박구리 6 6

(6)

69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1 1

70 Zoothera sibirica 흰눈썹지빠귀 1 1

71 Zoothera aurea 호랑지빠귀 7 7

72 Turdus cardis 검은지빠귀 1 1

73 Turdus merula 대륙검은지빠귀 2 2

74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80 9 89

75 Turdus chrysolaus 붉은배지빠귀 1 1

76 Turdus eunomus 개똥지빠귀 7 7

77 Luscinia svecica 흰눈썹울새 1 1

78 Luscinia cyane 쇠유리새 1 1

79 Luscinia sibilans 울새 2 2

80 Saxicola torquatus 검은딱새 15 1 16

81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4 5 9

82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1 1 2

83 Muscicapa dauurica 쇠솔딱새 13 13 26

84 Ficedula zanthopygia 흰눈썹황금새 2 2

85 Ficedula narcissina 황금새 8 5 13

86 Ficedula albicilla 흰꼬리딱새 1 1

87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4 2 6

88 Passer montanus 참새 1 1

89 Motacilla flava 긴발톱할미새 53 53

90 Motacilla citreola 노랑머리할미새 5 1 6

91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27 3 30

92 Motacilla alba 알락할미새 13 13

93 Anthus richardi 큰밭종다리 1 1

94 Anthus hodgsoni 힝둥새 111 111

95 Anthus gustavi 흰등밭종다리 2 2

96 Anthus cervinus 붉은가슴밭종다리 129 1 130

97 Anthus rubescens 밭종다리 3 3

98 Fringilla montifringilla 되새 6 6

99 Carduelis spinus 검은머리방울새 116 116

100 Emberiza cioides 멧새 56 56

101 Emberiza tristrami 흰배멧새 8 8

102 Emberiza fucata 붉은뺨멧새 5 5

103 Emberiza pusilla 쇠붉은뺨멧새 88 88

104 Emberiza chrysophrys 노랑눈썹멧새 57 11 68

105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2 8 10

106 Emberiza aureola 검은머리촉새 6 1 7

107 Emberiza rutila 꼬까참새 13 13

108 Emberiza sulphurata 무당새 15 6 21

109 Emberiza spodocephala 촉새 127 8 135

110 Sylviidae sp. 미분류 휘파람새과 3 3

111 Motacillidae sp. 미분류 할미새과 1 1

112 Emberizidae sp. 미분류 멧새과 27 2 29

No. of species 96 45 109

Individuas 1,615 922 2,537

Referensi

Dokumen terkait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신용석*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Study on the National Park-centric National Ecological Network for the Enhancement of Biodiversity Yong Seok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