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23일 [단독] '욱일기'가 주일 미군 공식 엠블럼? | Daum 미디어다음
http://media.daum.net/news/view/print?newsId=20140923045904162 1/3
기사 인쇄 하기
[단독] '욱일기'가 주일 미군 공식 엠블럼?
항공대대 등 일부 부대 군국주의 상징을 사용… 외교부는 못 쓰게 할 어떠한 노력도 안해
국민일보
|
김동우 기자|
입력2014.09.23 04:59유사시 한반도에 전개하는 일부 주일 미군부대가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욱일기를 부 대 공식 엠블럼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전범기나 다름없는 욱일기가 퍼져 있지만 외교부는 일본 정부에 욱일기 사용에 대한 항의 한 번 하지 않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최재천 의원실의 조사결과 주일 미육군 항공대대, 나가사키현 사세보 (佐世保) 함대기지, 아오모리현 미사와(三澤) 해군항공시설, 야마구치현 이와쿠니(岩國) 미해병대 항공기지 본부 및 본부대대, 전투군수 제36중대 등이 욱일기를 활용한 부대 공식 엠블럼을 사용하는 것으로 22일 확인됐다.
↑ 주일 이와쿠니 미해병대 항공기지 전투군수 제36중대, 사세보 함대기지, 미사와 해군항공시설, 주일 이와쿠니 미해병대 항공기지 본부 및 본부대대 의 공식 엠블럼(사진 왼쪽부터). 유사시 한반도에 전개되는 이들 부대 엠블 럼에 욱일승천기 상징이 들어 있다. 최재천 의원실 제공
2014년 9월 23일 [단독] '욱일기'가 주일 미군 공식 엠블럼? | Daum 미디어다음
http://media.daum.net/news/view/print?newsId=20140923045904162 2/3
↑ 지난 7월 31일 주일 미육군 항공대대 부대 내 사무실에서 부저 소장이 무어 준 위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두 사람의 모습 뒤로 사무실 벽면에 ‘욱일승천기’가 사용 된 부대 공식 엠블럼이 걸려 있다. 주일미 육군항공대대 페이스북 캡처
욱일기는 1870년 5월12일 메이지 정부에 의해 일본 육군의 정식 깃발인 육군국기로 채 택된 후 1889년 일본 해군 군항기로도 채택됐다. 이후 일본의 침략행위의 상징으로 이 용돼 일제 피해국인 한국과 중국 및 아시아 국민들에게 침략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욱일기는 나치를 상징하는 갈고리 십자 문양인 '하켄크로이츠'와 같은 전범기로 인식되 고 있다. 독일은 형법 제86조에서 "하켄크로이츠를 배포하거나 표식이 그려져 있는 물 건을 제조·보관·반입 시 3년 이하의 금고나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 다. 그러나 일본 욱일기의 경우 전범기라는 인식이 부족한 데다 사용제한이 없다 보니 이를 모티브로 채용한 각종 상품 등이 판매되는 실정이다.
미국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인 이베이(E-Bay)에서는 SR-71 블랙버드 오키나와 제1 파 견대 욱일 패치, 미해군 VFA-97 전투비행대대 항공 견장(2008년), 미공군 제27 원정전 투 비행대대 F-22랩터 기지 견장(2013년) 등 욱일기가 연상되는 문양을 사용한 미군 패치를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월드컵 등 주요 스포츠 경기에서 욱일기가 일본 응원석에 감초처럼 등장해 반일 감정을 자극하다 보니 외교부에 적절한 대응을 주문하는 여론이 높다. 하지만 외교부는 욱일기 사용과 관련해 일본 정부에 공식적으로 항의 한 번 하지 않았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한 예산도 마련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욱일기를 형상화하는 문양을 주일 미군부대에서 공식 엠블럼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외교부는 어떤 외교적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며 "유사시 욱일기 마크를 단 주일 미군이 한반도로 전개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이는 역사적 수치가 될 것"이라고
2014년 9월 23일 [단독] '욱일기'가 주일 미군 공식 엠블럼? | Daum 미디어다음
http://media.daum.net/news/view/print?newsId=20140923045904162 3/3
비판했다. 일본 정부의 자위권 확대 결정 이후 지난 7월 일본에 주둔하는 미해군 7함대 조지워싱턴호가 한·미·일 합동해상훈련에 참여한 바 있다.
김동우 기자 [email protected]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 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email protected])/전화:02- 781-9711
이 기사 주소 http://media.daum.net/v/20140923045904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