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기오염측정망 월간보고(요약) (2021년 2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대기오염측정망 월간보고(요약) (2021년 2월)"

Copied!
3
0
0

Teks penuh

(1)

대기오염측정망 월간보고(요약) (2021년 2월)

□ 도시대기측정망(24개소)

○ 평균 농도 분석결과

- 전월 대비 미세먼지 9 ㎍/㎥, 초미세먼지 8 ㎍/㎥, 오존 7 ppb 증가, 이산화질소 3 ㎍/㎥

감소,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는 동일한 수준

- 남서풍을 통한 외부유입과 이동성 고기압으로 인한 내부정체로 전월 대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등 오염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 최근 3년 동월 대비 초미세먼지, 오존이 각각 1 ㎍/㎥, 4 ppb 증가,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각각 1 ppb, 4 ppb 감소, 미세먼지, 일산화탄소는 동일

측정항목 미세먼지

(PM-10) (㎍/㎥)

초미세먼지 (PM-2.5)

(㎍/㎥)

아황산가스 (SO2)

(ppb)

이산화질소 (NO2)

(ppb)

오 존(O3) (ppb)

일산화탄소 (ppm)(CO)

환경기준 100/일

50/년 35/일

15/년 150/시간

50/일, 20/년 100/시간

60/일, 30/년 100/시간

60/8시간 25/시간 9/8시간

전월 (’21년 1월) 37(34) 20(19) 4 27 18 0.6

’21년2월

월평균 46 28 4 24 25 0.6

환경기준대비

단기 46 % 80 % 3 % 24 % 25 % 2 %

장기 92 % 187 % 20 % 80 % - -

누적평균 (’21년 2월) 42(40) 24 4 26 21 0.6

’18년~’20년 2월 평균 46 27 5 28 23 0.6

전년도 누적평균 (’20년 2월) 40(39) 25 4 27 21 0.7

[표 1] 2월 대기오염도 현황(도시 대기) ※ ( ) : 괄호 안의 수치는 황사 제외

○ 지역별 대기오염도 현황 - 미세먼지(PM-10)

· 농도범위 35~60 ㎍/㎥, 평균농도 46 ㎍/㎥로 연간환경기준(50 ㎍/㎥)의 92 % 수준

· 지역별 농도는 중구, 동구, 미추홀구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고 영종도, 강화도 지역이 낮은 편임

· 최근 3개월 오염도를 비교 시, 2월은 12월, 1월에 비해 오염도가 높음(39 → 37 → 46 ㎍/㎥)

140000 160000 180000

420000440000460000

2020 12 1020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40000 160000 180000

420000440000460000

2021 1 1020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40000 160000 180000

420000440000460000

2021 2 1020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그림 1] 최근 3개월 미세먼지(PM-10) 변동추이

(2)

- 초미세먼지(PM-2.5)

· 농도범위 18~38 ㎍/㎥, 평균농도 28 ㎍/㎥로 연간 환경기준(15 ㎍/㎥)의 187 % 수준

· 지역별 농도는 중구, 영흥도, 미추홀구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고 영종도, 연수구 지역이 낮은 편임

· 최근 3개월 오염도를 비교시, 오염도가 감소(24 → 20 → 28 ㎍/㎥)하다 2월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420000440000460000

2020 12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420000440000460000

2021 1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420000440000460000

2021 2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그림 2] 최근 3개월 초미세먼지(PM-2.5) 변동추이

□ 도로변측정망(6개소)

○ 평균 농도 분석결과

- 전월 대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오존이 각각 10 ㎍/㎥, 9 ㎍/㎥, 7 ppb 증가하였고,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는 각각 1 ppb, 2 ppb 감소, 일산화탄소는 동일한 수준

- 최근 3년 동월 대비로는 미세먼지,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가 각각 5 ㎍/㎥, 2 ppb, 5 ppb 감소, 오존은 4 ppb 증가하였고, 초미세먼지와 일산화탄소는 동일한 수준

측정항목 미세먼지

(PM-10) (㎍/㎥)

초미세먼지 (PM-2.5)

(㎍/㎥)

아황산가스 (SO2)

(ppb)

이산화질소 (NO2)

(ppb)

오 존(O3) (ppb)

일산화탄소 (ppm)(CO)

환경기준 100/일

50/년 35/일

15/년 150/시간

50/일, 20/년 100/시간

60/일, 30/년 100/시간

60/8시간 25/시간 9/8시간

전월 (’21년 1월) 42 21 5 35 14 0.7

’21년2월

월평균 52 30 4 33 21 0.7

환경기준대비

단기 52 % 85 % 3 % 33 % 21 % 3 %

장기 104 % 200 % 20 % 110 % - -

누적평균 (’21년 2월) 47 25 4 34 18 0.7

’18년~’20년 2월 평균 57 30 6 38 17 0.6

전년도 누적평균 (’20년 2월) 46 27 5 34 15 0.7

[표 2] 2월 대기오염도 현황(도로변 대기)

(3)

□ 초미세먼지 성분분석 시스템(1개소)

○ 성분분석 결과

- 신흥측정소의 성분분석 시스템 운영 결과, 2월은 질산, 암모늄, 황산 이온의 구성 비율이 높음 - 성분 총합에 대한 개별성분의 구성비는 NO3- 33.9 % > NH4+ 25.7 % > SO42- 16.7 % >

OC 14.4 % > Cl- 3.8 % > EC 3.1 % 등 순임

[그림 3] 일별 PM-2.5 구성성분 변화[㎍/㎥]

□ 중금속측정망(5개소)

○ 성분분석 결과

- 기준설정 항목인 Pb은 0.0232 ㎍/㎥으로 환경기준(0.5 ㎍/㎥) 이내, 유해중금속인 Cd 0.0008 ㎍/㎥

으로 WHO권고기준(0.005 ㎍/㎥) 이내

- 그 외 중금속은 Fe 0.4823 ㎍/㎥, Cu 0.0181 ㎍/㎥, Mn 0.0177 ㎍/㎥, Cr 0.0030 ㎍/㎥, As 0.0028 ㎍/㎥, Ni 0.0024 ㎍/㎥ 순임

- 토양기원 항목인 Ca 0.3953 ㎍/㎥, Al 0.1918 ㎍/㎥, Mg 0.1382 ㎍/㎥ 순으로 나타남

PM10 Pb Cd Cr Cu Fe Mn Ni As Al Ca Mg Be

2021 2월 55 0.0232 0.0008 0.0030 0.0181 0.4823 0.0177 0.0024 0.0028 0.1918 0.3953 0.1382 0.0000 1월 55 0.0287 0.0010 0.0058 0.0263 0.9490 0.0427 0.0044 0.0042 0.6198 0.9420 0.3828 0.0000 2020 2월 57 0.0353 0.0024 0.0045 0.0318 0.7188 0.0266 0.0034 0.0047 0.3268 0.5388 0.1583 0.0000 연평균 43 0.0240 0.0009 0.0035 0.0221 0.7228 0.0244 0.0032 0.0081 0.3901 0.5220 0.1612 0.0000 2019 2월 40 0.0220 0.0005 0.0030 0.0120 0.5118 0.0223 0.0029 0.0036 0.2835 0.4157 0.1409 0.0000 연평균 39 0.0192 0.0007 0.0026 0.0158 0.4742 0.0187 0.0032 0.0034 0.2192 0.3553 0.1138 0.0000 [표 3] 중금속 측정망 분석결과(2019 ~ 2021) [㎍/㎥]

□ 산성강하물측정망(5개소)

○ 2월 인천지역의 지점별 pH는 연희 6.3, 송해 6.5, 송도·송림 6.7, 원당 6.8로 조사되었고.

강우가중 평균 pH는 6.6으로 전월 pH 6.1보다 낮은 산도를 나타냄

Referensi

Dokumen terkait

[r]

[r]

이를 위해서는 교수자 확보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인문 교양 교육을 위한 기반 이 열악한 중소대학을 위한 AI 시대의 인문 교양 교육 강화를 위한 고전교육 모델 이 필요하며 관련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이 활 성화되어 관련 DB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 교양기초 교육원이 온라인 플랫폼을

○ 고용상의 비차별 공단은 비정규직임을 이유로 공단 내에서의 업무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편의에 있어서 차별을 하지 않는다 ○ 강제노동 금지 공단은 근로자가 원하지 않는 의무적 초과노동을 실시하지 않는다 ○ 소비자 인권보호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제공하며, 지역에 따라 현지어로 된 정보를 제

2 차량중심 도로시설을 보행중심 공간으로 재구조화 추진 ◦해외 시찰 도시에서는 도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주요 간선도로들이 교차하는 교통 결절점들을 보행을 우선 고려하는 보행중심 광장으로 바꾸는 대형 프로 젝트들이 시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음.. ◦자동차로 점유되었던 공간을 시민들이 모이는 주요 시설들을 연결하고 보행자 들을 위한

- 건축물의 수직 녹화, 옥상 녹화 등 건물 내 녹지 조성하여 도심 녹지 확보, 열섬 현 상 완화, 에너지 효율성 향상, 빗물 유출 감소 등 다양한 효과를 얻고, 사람들이 생활 하고live 일하고work 놀기play에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하도록 유도하는 사업 [그림 11] PARKROYAL COLLECTION

출장 내용 1 일본 도쿄도 도로입체화 제도 ① 일본 입체도로제도의 개요 - 일본의 입체도로제도는 도로법, 도시계획법, 건축기준법의 3개 법률에 의해 작동 - 제도 창설 이전까지는 하늘 끝에서 땅 끝까지 전부가 도로 구역으로 취급되었으나, 도로법 에 의해 도로의 구역을 상하방향으로 한정하여 입체적으로 정하고도로의 입체적 구역,

시사점 1 민간도시개발 사업 지원을 위한 관련 법·제도를 제정하여 독려 - 일본은 긴급으로 정비할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특별조치법 상 ‘특정도시재 생긴급정비지역’을 지정하여, 기존의 지역 재생 및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목표 아래, 민간이 적극적으로 도시재생 및 거점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제도화 - 민간의 적극적인 개발 참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