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학의 사명과 목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대학의 사명과 목적"

Copied!
10
0
0

Teks penuh

(1)

영역 내용

목적적 측면

1. 대학의 사명 및 교육목적

○ Williams 는 학생들의 학문적, 시민적 덕목 및 이와 관련된 특성을 키움 으로써 최고의 자유교양교육을 추구 함.

- 학문적 덕목은 넓고 깊게 탐색하기, 비판적 사고, 계량적 사고, 명확하게 표현하기, 아이디어를 창조적으로 연결하기 등을 포함함.

- 시민적 덕목은 광범위한 공적 영역과 공동체 생활에 대한 참여와 헌신과 이 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함.

- 이러한 덕목은 앞서 언급한 특성과 연관되어 있음. 예를 들어 자유탐구는 열린 마음을 요구하며, 공동체에 대한 헌신은 타인에 대한 배려로 귀결됨.

○ 대학교육은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직업, 자신이 속한 공동체 그리고 개 인의 삶을 풍요롭고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음.

○ 대학교육의 목적 자체가 자유교양에 있으며, 이를 위해 커리큘럼에서 아래 의 사항을 강조

-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열린 마음, 창조성, 유연성 그리고 자유교 양교육의 힘을 강조

- 평생 지녀야 하는 습관과 책무로서 배우는 즐거움 강조 - 기숙사, 토론, 운동경기, 예술행위 등 공동체 활동 강조 - 지속가능한 환경을 강조하는 대학운영과 교육활동

구조적 측면

Academic Requirement

(졸업요건)

○ 문학사는 32 과목 이수, 최소한 19개 과목에서 C- 이상의 학점

- 4개 겨울 연구프로젝트 패스 - 4개 영역의 이수요건 만족

- 전공 이수요건 만족 + 평균 C- 이상 - 체육교육 이수요건 만족

- 이미 학점을 받은 과목을 재수강하지 말 것

Williams College 교양교육

이 보 경(연세대학교)

(2)

I. 필수 교양 이수 조건(

Distribution Requirement

)

○ 필수교양이수 요건은 4개 부문으로 구성됨. 일반적으로 학점(latter grad)을 주는 과목을 이수해야 함.

1) 학문영역별 이수요건 (DIVISIONAL REQUIREMENT)

○ 커리큘럼 전체 영역에 걸쳐 다양한 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계획됨, 3 영역으로 구성

○ 영역 I, 언어와 예술; 영역 II, 사회과학; 영역 III, 과학과 수학.

- 과목리스트는 아래 참조

○ 각 영역에서 최소 세 학기 이수. 2학년 마칠 때까지 각 영역에서 두 과목 이상 이수.

○ 영역 I은 언어(예술적으로 표현된 말, 시각적 언어 혹은 음악적 언어 등)를 익힘으로써 학생들의 예술에 대한 감수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과목.

학생들은

비판적 논평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 예술행위에서 제기되는 윤리와 도덕적 이슈들에 대한 인지능력 향상 하며, 자의식과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을 익힘

○ 영역 II는 인류 탄생 이후 인류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제도와 사회적 구조에 대한 고찰을 위한 과목. 이 과목들은 학생들이 인간에 대한 이해와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인간사회 구조를 인지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돕기 위한 과목.

○ 영역 III는 과학적 사고와 기술적 성취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고 있는 세상을 살아갈 준비된 시민으로서 가져야 하는 실질적이고 방법론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정확하고 계량적인 추론 능력을 키우기 위한 과목.

○ 과목 리스트 영역 I. 언어와 예술

아랍어, 예술사, 아틀리에, 중국어, 고전, 비교문학, 비판적 언어, 댄스, 영어, 1학년 기숙사 미나 101, 불어, 독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일어, 라틴어, 문학연구, 해양연구, 음악, 러시아어, 스페인어, 영화

영역 II. 사회과학

아프리카 학, 미국학, 인류학, 아랍학, 아시아학, 중국학, 인지과학, 경제학, 환경학, 실험연구, 역사, 과학사, 간학문적 연구, 일본학, 유대학, 정의와 법, 라딘연구, 리더십 연구, 해양학, 철학, 정체경제, 정치학, 심리학, 공중보건, 종교, 과학기술사회, 사회학, 여성-젠더-성

(3)

영역 III. 과학과 수학

천문학, 천체물리, 생화학과 분자생물학, 생물학, 화학, 컴퓨터과학, 환경학, 유전학, 과학사, 해양학, 수학, 신경학, 물리학, 통계학, 심리학

2) 다양성탐색이니셔티브 이수요건 (EDI: THE EXPLORING DIVERSITY INITIATIVE REQUIREMENT

○ Williams College는 다양성, 세계화된 세상 그리고 미국의 다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커리큘럼, 교수 및 학생들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음. ○ 대학요람에 "(D)" 로 표시된 과목은 EDI 이수요건에 해당함

○ 이 과목들은 서로 상호작용하고 도전하는 집단, 문화, 공동체 연구에 우리가 전념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이 과목을 통해 학생과 교수들은 이러한 이슈들에 개입하는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민해볼 수 있음. 단순히 과거 혹은 현재의 특정 사람, 문화 및 종교에 집중하기 보다는 자의식과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인 개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기 위한 과목들임. 이 영역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생들이 향후 지속적으로 다양한 문화, 사회, 미국과 세계의 다른 지역의 역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도록 한다는 것임.

○ EDI는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있음:

1. 문화와 사회 비교연구. 이 과목들은 문화와 사회의 차이와 유사점 그리고/혹은 문화, 사람 그리고 사회가 과거에 서로 상호작용하고 반응하는 방법에 초점을 둠.

2. 공감적 이해. 이 과목은 어떤 믿음, 경험, 집단활동이 왜 그러한 맥락속에서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집단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그리고 역사적 맥락을 재구성 해 봄으로써 다양한 인간의 감정, 생각 그리고 행동에 대한 탐색함.

3. 권력과 특혜. 이 과목들은 경제적 정치적 권력의 다양한 이슈와 연계하여 문화적 상호작용이 서로 다른 집단 사이의 불평등을 유발, 유지 혹은 완화하는 다양한 구조, 제도 혹은 실천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살펴 봄.

4. 비판적 이론화: 이 과목들은 문화간 이해와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학자들이 어떻게 이론화하는지에 초점이 있음; 지식체계와

패러다임이“차이”로 구성되고 다양성과 연관된 질문들을 연구함으로써 재설정되는 방법을 탐구함.

(4)

5. 문화적 몰입: 이 과목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을 다른 문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고, 내면으로부터 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들을 제공함. 문화와 사회적 차이, 전통, 그리고 관습을 스스로 자각하고 의식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언어학습으로서의 외국어 과목들을 포함.

○ 모든 학생은 EDI 각 영역 중 적어도 한 과목을 이수해야 함. 졸업 전에 반드시 이수해야 하나 가능하면 2학년까지 이수 할 것을 권장

○ 해외유학 프로그램(study abroad programs)은 학생들이 외국문화에 몰입하게 하고, 추가적인 언어를 습득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공부하는 좋은 방법임. 해외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EDI 이수요건을 마치고자 하는 학생은 학과에서 특정과목, 자율연구나 홈스테이와 같은 특별한 경험, 해외에 있는 동안 이수해야 하는 특정 언어교육프로그램을 EDI 학점으로 부과하기 전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함. 신청서에 학생들이 제안한 해외유학경험이 EDI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지를 설명하는 내용이 있어야 함.

3) 계량적/형식적 추론 이수요건 (QUANTITATIVE/FORMAL REASONING REQUIREMENT)

학생들이 수학적, 추상적 추론에 능숙하도록 돕기 위한 과정: 결론에

도달하기 위한 형식적 방법을 적용하는 능력, 수를 편안하게 활용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를 채택하고, 직업적이고 경제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장벽을 낮추는 능력. 4학년이 되기 전에 모든 학생은 계량적/형식적 추론 (QER) 이수요건의 과목–"(Q)" 로 표시된 과목-을 한 과목이상 반드시 이수해야 함.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한 학생은 QER 이수 전에 수학 100/101/102 과목을 이수하도록 함.

이 과목의 평가는 서술적인 답이 아니라 다단계 수학적, 통계적 혹은 논리적 추론에 기반함.

4) 글쓰기 이수요건 (WRITING REQUIREMENT)

○ 모든 학생은 글쓰기강화 과목을 두 과목 이상 이수해야 함 - 한 과목은 2학년 말까지, 나머지 한 과목은 3학년 말까지.

- 글쓰기 강화과목을 가능한 대학 초기에 이수할 것을 권장.

○ 글쓰기 강화 과목 이수요건의 목적은 다양한 학문체계를 넘나들면서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함.

- 학생들은 이 과목에서 형식, 논증, 그리고 글쓰기의 다른 중요한 측면에 대한 지도와 학기 내내 자신이 쓴 글에 대한 평가와 비평을 받을 수 있음.

(5)

- 한 학기 내내 주어지는 간략한 과제, 기말 긴 글쓰기 전에 주어지는 연속과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과목 목표 달성.

- 글쓰기 강화 과목은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초고 작성, 컨퍼런스, 동료평가 혹은 강의실 내 토론 등을 진행.

○ 글쓰기 강화 과목은 글쓰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소 20쪽의 글쓰기, 분반당 19명 이하로 진행.

II. 전공 과목 이수 조건

○ 일부는 3학년 혹은 4학년 봄학기 등록 전에 전공신청을 해야 하나, 거의 모든 전공은 졸업 전에 졸업이수요건을 만족하면 됨.

- Major Declaration Form 제출

○ 전공 분야

미국학, 인류학, 아랍어, 예술, 아시아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생물학, 화학, 중국어, 클래식(그리스어, 라틴), 비교문학, 컴퓨터과학, 경제학, 영어, 환경정책, 환경학, 불어, 지구과학, 독일어, 역사, 일본어, 수학, 음악, 철학, 물리학, 정치경제, 정치학, 심리학, 종교학, 러시아어, 사회학, 스페인어, 통계학, 영화, 여성-젠더-성,

○ 전공의 일반구조 GENERAL STRUCTURE OF MAJORS

1) 전공영역에서 적어도 9개 학기 동안 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해야 함.

추가적인 과목이나 3-4학년에 겨울학기 연구프로젝트를 요구하는 전공도 있음.

- 전공영역에서 8개 학기 동안 과목을 이수하고, 관련 전공에서 어드바이저가 승인한 과목을 2개 학기 이수해도 됨. 정치경제와 같은 학제적 전공은 더 많은 과목을 이수해야 함.

2) 규정된 과목, 두 개 이상의 과목으로 구성된 보충과목, 그리고

전공세미나 등을 요구하는 전공도 있음. 모든 전공은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개인의 관심에 따라 전공의 이수요건을 만족하면서 학업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학사지도시스템을 제공함.

- 많은 전공프로그램의 과목들은 선수과목을 지정하고 있음.

○ 계약 전공 CONTRACT MAJOR

일반적인 전공에서 다룰 수 없는 학제적 과목을 듣고자 하는 학생은 계약전공을 제안할 수 있음. 계약전공을 하고자 하는 학생은 학과 지도교수나 어드바이져와 상담하는 것이 좋음.

(6)

○ 이중 전공 TWO MAJORS

두 개 전공을 이수하기를 원하는 학생은 양쪽 전공에서 모두 인정하는 과목을 들었다고 두 전공에서 이중으로 카운트하지 않음. 각 전공에서 최소한의 이수요건을 만족해야 함.

III. 체육교육 이수요건 (

Physical Education Requirement

)

○ 체육교육이수요건은 학생들이 일반적인 수준의 체력 단력과 웰빙을 위한 기회를 제공함.

- 육체적인 능력향상, 체육활동, 그리고 수영과 같은 생존을 위한 기술 등

○ 1학년 초 수영 테스트 통과하기 못한 학생은 기초수영을 반드시 이수해야 함.

○ 학생들은 2학년가지 4 학기(quarter) 체육교육이수요건을 만족하되,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을 해야 함.

운영적 측면

○ 교양강좌 생 수 : 평균 10~20명 (참고 웹사이트 :

http://web.williams.edu/admin/registrar//catalog/classsizeinfo/index.h tml)

○ 학사지도 (academic Advising)

- 교수, 각 학과의 직원 등을 통한 다양한 학사지도와 상담 제공 - 모든 전공에 학업계획 수립과 진로탐색을 위한 학사지도 (전공 혹은 프로그램 소속 교수)

- 모든 1학년 학생에게 담당 어드바이저(교수 혹은 직원) 배당

- 2 학년이 되면 1학년의 담당 어드바이저 뿐 아니라 관심분야와 진로에 따라 해당 학과장이나 교수 어드바이저 배당, 전공선택이나 전공 이수를 위한 학업계획 등 상담

- 3-4 학년은 각 전공 혹은 프로그램 교수로 구성된 어드바이저의 상담 받음.

○ 해외 유학 장려 - Dean’s Office에서 주관

- 주로 2학년때 해외유학 프로그램 집중 소개 - 오리엔테이션, 어드바이징, 상담 등

○ 학업지도 (academic Assistance) - Academic Resources Office 에서 주관

- 학업지도가 필요한 학생은 튜터를 요청할 수 있음.

(7)

- 주로 수학, 생물학, 화학, 물리학 등 기초과학 과목에 튜터 집중 배치 (수학-과학 학습지원센터 별도 운영)

- 옥스포드 대학의 Williams-Exeter 프로그램은 스튜디오 예술, 수학 그리고 과학을 제외한 모든 과목에 튜터링 제공

○ 일종의 자기설계 전공인 계약전공 운영 (CONTRACT MAJOR)

- 개설된 전공 이외의 전공을 원하는 학생은 지도교수의 사전 지도와 승인 후 자신이 스스로 전공을 설계하여 이수 할 수 있음

○ 학생윤리서약 (Honor Code)

- 1971년 이후 학생윤리서약에 서명하도록 함.

- 타인의 연구나 아이디어를 인용할 경우 학교 규정에 따라야 함. 모든 학생 과 교수는 이를 어기는 학생을 보고해야 하며, 학생윤리위원회에서 징계여 부/수위

- 학생윤리위원회는 학생 8명과 교수 *명으로 구성

○ 예술교육 강조

- Williams의 예술은 교내 예술계의 수준 높고 풍부함과, 학생들이 강의실 안팍에서 개방적이고, 창조적이며, 유연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함.

- 대학의 사명(mission)을 완수하기 위한 예술의 역할을 강조

- 학생들은 전공과 상관없이 예술에 참여할 것을 적극 권장함. 음악합주단, 무용단, 영화제작, 예술 수업에 비전공 학생을 참여 권장. 강의, 퍼포먼스, 콘 서트, 영화제, 예술제 등도 모든 전공 학생들이 자유롭게 참여 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음.

- 예술과 관련 있는 두 가지 대학원프로그램 운영

○ 정치경제의 예술 석사과정 (

Master of Arts in Policy Economics)

- 1960년 문을 연 ‘경제개발센터’에서 운영 - 1년의 경제 분석과정

- 공공영역에서 경력이 있는 개발도상국의 경제학자를 위한 프로그램

○ 예술사 석사과정 (

Master of Arts in the History of Art)

- Sterling and Francine Clark Art Institute와 공동 운영

- 시각 예술분양의 직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소규모 프로그램, 2년 과정

○ 교수법 및 평가기준 (강의 실라버스 웹사이트 :

http://web.williams.edu/admin/registrar//catalog/archive.html)

(8)

대학의 사명과 목적 (MISSION AND PURPOSES)

Williams 는 학생들의 학문적, 시민적 덕목 및 이와 관련된 특성을 육성함으로써 최고의 자유 교양교육을 추구 합니다. 학문적 덕목은 고도의 탐색 능력, 비판적 사고력, 계량적 사고력, 명 확한 표현능력, 아이디어를 창조적으로 연결하는 능력 등을 포함합니다. 시민적 덕목은 광범 위한 공적 영역과 공동체 생활에 대한 참여와 헌신,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덕목은 앞서 언급한 특성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유탐 구는 열린 마음을 요구하며, 공동체에 대한 헌신은 타인에 대한 배려로 귀결됩니다.

우리대학은 우리 학생, 교수 및 직원들로 구성된 학습공동체의 학문적 수월성 달성과 동문과 학부모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학생들이 강의실 안팎에서 교육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학업 태도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국내외에서 가 장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 있습니다. 우리 교수진은 교수로서, 학자로서 그리고 예술가로서 가장 우수한 집단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데 헌신하고, 연구, 사고 및 예술행위를 통해 인간의 지식과 이해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헌신적인 교직원들은 학교를 대단히 사랑하는 학부모와 동문들의 동참을 지원함으로써 교수-학습 활동이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대학에 들어오는 학생들이 십년 후 무엇을 이해해야 하는지 그저 짐작만 할 수 있을 따름입니다. 우리가 아직까지도 정의 내리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특정 지식 그리고 정해진 공식도 없습니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오래가 고, 가장 다목적이고, 가장 현실적인 지식과 지적 자원은 열린 마음, 창조성, 유연성 그리고 자유교양교육의 힘 입니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폭넓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되 학생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세상을 반영하여 커리큘럼을 확대하였습니다. 우리는 평생 갈 수 있는 습관과 책무로서 배우는 단순한 즐거움 을 키우는 환경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우리는 기숙사 생활, 예술을 통한 표현, 정치적 이슈에 대한 토론, 캠퍼스 거버넌스에서의 리 더십, 개인 정체성의 탐색, 정신적, 종교적 자극, 운동경기에서의 도전, 가까이서 혹은 멀리서 제기되는 인간의 욕구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 등과 같은 공동체의 기능을 창출함으로써 발생하 는 배움을 무척 강조합니다.

우리 학생들과 세상에 잘 봉사하기 위해, Williams는 점점 다양해지는 대학사회 각 영역의 공 동체 구성원을 환영하고 지원하며, 대학의 운영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 하도록 하는 등의 핵 심가치를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은 지금까지 알았던 것보다 더 많이 배 울 수 있습니다. Williams 에서의 경험이 보다 충만하고 실질적인 삶을 꾸릴 수 있도록 준비 시켜주었다고 말하는 셀 수 없이 많은 졸업생들이 그 증거입니다. 궁극적으로 대학이 세상에 남긴 가장 큰 흔적은 우리 동문들의 직업, 공동체 그리고 개인의 삶에 대한 기여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학생들이 Williams의 교육이 미래의 특혜가 될 특혜로 간주하지 말고, 사회에 기여할 기회를 만들 수 있는 특혜이며 그렇게 해야 할 책임을 지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요청합니다. Williams는 고등교육을 통해 고등교육 세계의 선례를 만들어야 하는

(9)

우리의 책임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Williams seeks to provide the finest possible liberal arts education by nurturing in students the academic and civic virtues, and their related traits of character.

Academic virtues include the capacities to explore widely and deeply, think critically, reason empirically, express clearly, and connect ideas creatively. Civic virtues include commitment to engage both the broad public realm and community life, and the skills to do so effectively. These virtues, in turn, have associated traits of character. For example, free inquiry requires open-mindedness, and commitment to community draws on concern for others.

Civic virtues include commitment to engage both the broad public realm and community life, and the skills to do so effectively. These virtues, in turn, have associated traits of character. For example, free inquiry requires open-mindedness, and commitment to community draws on concern for others.

We are committed to our central endeavor of academic excellence in a community of learning that comprises students, faculty, and staff, and draws on the engagement of alumni and parents. We recruit students from among the most able in the country and abroad and select them for the academic and personal attributes they can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enterprise,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Our faculty is a highly talented group of teachers, scholars, and artists committed deeply to the education of our students and to involving them in their efforts to expand huma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rough original research, thought, and artistic expression. Dedicated staff enable this teaching and learning to take place at the highest possible level, as do the involvement and support of our extraordinarily loyal parents and alumni.

No one can pretend to more than guess at what students now entering college will be called upon to comprehend in the decades ahead. No training in fixed techniques, no finite knowledge now at hand, no rigid formula can solve problems whose shape we cannot yet define. The most versatile, the most durable, in an ultimate sense, the most practical knowledge and intellectual resources that we can offer students are the openness, creativity, flexibility, and power of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Toward that end we extend a curriculum that offers wide opportunities for learning, ensures close attention of faculty to students but also encourages students to learn independently, and reflects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world. We seek to do this in an atmosphere that nurtures the simple joy of learning as a lifelong habit and commitment.

We place great emphasis on the learning that takes place in the creation of a functioning community: life in the residence halls, expression through the arts,

(10)

debates on political issues, leadership in campus governance, exploration of personal identity, pursuit of spiritual and religious impulses, the challenge of athletics, and direct engagement with human needs, nearby and far away.

To serve well our students and the world, Williams embraces core values such as welcoming and supporting in the College community people from all segments of our increasingly diverse society and ensuring that College operations a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From this holistic immersion students learn more than they will ever know. Such is the testimony of countless graduates—that their Williams experience has equipped them to live fuller, more effective lives.

Ultimately, the College’s greatest mark on the world consists of this: the contributions our alumni make in their professions, their communities, and their personal lives.

Therefore, we ask all our students to understand that an education at Williams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rivilege destined to create further privilege, but as a privilege that creates opportunities to serve society at large, and imposes the responsibility to do so.

At the same time, being itself privileged by its history and circumstances, Williams understands its own responsibility to contribute by thought and example to the world of higher education.

The above description arises on its surface from public statements made by Williams presidents and others associated with the College, from which it borrows, and at a deeper level from the felt experience of students, faculty, staff, alumni, and parents over many decades. It was approved by vote of the Board of Trustees on April 14, 2007.

Referensi

Dokumen terkait

지역사회�감염단계에서�코로나�바이러스의 을�막기�위한,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김현수, 명지병원�정신건강의학과 소식 3번째 : 위 내용은 SARS 캐나다 감염위기 시 토론토 병원의 로버트 마운더 박사의 감염 스트레스 백신 중 일부를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단장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현수 쉽게 변형하여 새로

연구목적 및 방법 ▮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일·생활균형이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으로 인식되면서, 그간 중앙정부, 대기업 중심으로 추진되어 온 일· 생활균형 정책을 지방정부, 중소기업으로 확산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됨 ○ 이와 같은 상황을 인식하고 있는 민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