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산란광이 국립공원 내부 빛공해에 미치는 정도
안미연1*·홍석환2
1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2부산대학교 조경학과
The Extent of City Skyglow Affecting Light Pollution in the National Park
Mi-Yeon An
1* and Suk-Hwan Hong
21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Korea
2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Korea
요 약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내 빛공해 동향을살펴보기 위해 국립공원 내 빛공해의 시계열변화와 인접 도 시의인구밀도에 따른산란광이 국립공원 내에 미치는정도를분석하였다. 계룡산, 가야산, 내장산의 3개 국립공원 내 시기별 빛공해 변화에대해 살펴보기 위해 20년의 간격을두고 국립공원 내 빛공해동향을 살펴본 결과 가야 산국립공원의경우홍류동계곡주변으로빛공해영향이점차증가했으며, 내장산국립공원의경우공원가장자리의 빛공해증가를확인할 수 있었다.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2012년 기준약 78%의 면적이빛공해상위 75%에 해당 하였으며 갑사지역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지역이 높은 빛공해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인접 지역에의한 빛공해 영향은 국립공원 생태계심각한교란요인으로작용하는 만큼, 도시에인접한국립공원 내 빛공해를 저감하기 위한 관리방안을마련해야할것이다.
주요어 :계룡산국립공원, 가야산국립공원, 내장산국립공원, 시계열변화, 산란광
Abstract :To know the tendency of light pollution in the national park, the study makes an attempt to analyze light pollution level about the change of time series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near cities. After analyzing the change of light pollution in three national parks during twenty years, the effects of light pollution around Hongyu-dong Valley gradually increased in Gayasan National Park. In the case of Naejangsan National Park, Light pollution increased along the edge line. In 2012, about 78%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were in the top 75% light pollution level. Most areas had a serious level of light pollution except for Gaps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light pollution continued to increase to the inside despite the active protection in the national park. The management plan should be taken to reduce light pollution in the national parks near the city because the effects of light pollution by near development areas are a serious disturbance factor to the ecosystem in the national parks.
Keywords :Gyeryongsan National Park, Gayasan National Park, Naejangsan National Park, Time-series Change, Skyglow
서 론
최근 빛공해로 인해 발생하는 사람 및 동식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사회적 문 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체 인류의 80%가 인공조명으 로 인해 빛공해를 겪고 있으며, 전체 30%는 밤하늘의 은하
수를보지못한다고 한다(Falchi et al. 2016). 「인공조명에
의한빛공해 방지법」에따르면 인공조명의부적절한 사용 으로 인한과도한 빛 또는비추고자 하는 조명영역 밖으로 누출되는 빛이 국민의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방해하거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빛공해로 정의한다(법제처 국가 법령정보센터, 법률 제11261호). 빛공해의 유형은 크게 2가 지로 야간조명으로 인한 직접적인 눈부심(glare)과 산란광 (skyglow)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란광(skyglow)의 경우 인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접 도시에서 발생하는 직접광이 대기 중의 수증기, 미세먼 지등에 의해 산란되면서전체적으로하늘이밝아지는현상 을 말한다. 2016년 G20 국가에 대해 빛공해 영향을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 국토에서 빛공해 영향을 받는 지역이
91%로 2위를 차지하였으며, 일정 강도 이상의 빛공해를 겪
는 인구의 비율은 19.1%로 전세계 평균 4.8%와 비교하면 4
배에달하는수치를보였다(Falchi et al. 2016). 이상과같이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에 비해 많은 인구가 밀집하여 살기 때문에 고밀도의 개발로 인한 빛공해의 영향이 국토 전체적 으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빛공해 문제는 천문 관측의 어려움에서 처음 인식되기 시 작했다(Berry 1976). 이후 빛공해로 인해 도시 거주민의 삶 의 질이 저하되면서, 인간활동과 빛공해 관계에 관한 연구 가 수행되었는데, 인공조명의 직접광에 노출될 경우 눈의 순응장애, 색상 인식저하, 대비인식 능력이 감소되며, 장기 간 빛공해에 노출될 경우 수면장애를 일으키고 생체리듬이 교란되며 암 발생 확률이 증가하는 등 건강에 위협을 가하 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Leslie 2012; Chepesiuk 2009; Xu and Gao 2017).
최근에는인간의건강뿐 아니라생태계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도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포유류의 경우 야간 의 빛이 환경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역할을 하여 번식능력 저 하, 개체수 감소 등의 영향을 받으며(Russart and Nelson
2018), 특히 박쥐의 경우, 야행성이기 때문에 빛공해의 영향
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분류군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의약 25%에 해당하는 박쥐의 종이빛공해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Stone et al. 2015). 곤 충 중 나방류와 같은주행성 종은 인공조명에이끌려 교배 와 이동을 방해받으며, 곤충에 의존하는 종들에게까지 영향 을 미친다(Wang et al. 2018). 특히 빛공해와 생태계먹이그 물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인공조명이 강할수록 영향도 커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인공조명보다 약한 빛이 먹이그물에 훨씬더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직접광이 아니더라도가 장 흔히겪는 약한빛공해도 생태계에 복잡한 방식으로 작 용한다고 밝혔다(Sanders et al. 2018).
이렇듯 빛공해는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중요한 새로운 문제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좁은 국토에 도시와 보호지역이 연접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지역에까지 산란광에 의한 빛공 해 정도는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국가의 최대 생물서식처이면서멸종위기생물종이살아갈수있는 마지막 공간으로 인식되는 국립공원지역의 빛공해 관리가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빛공해가 어 떻게 변화되고 있는지의 동향을 살펴보는 기초연구로서 국
립공원용도지구변화가크게일어난시기를기점으로빛공 해 변화가 어떻게일어나고 있는지와 인접지역 인구밀도에 따른 국립공원별 빛공해 차이를 시계열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국립공원의 경우보전적 공간으로서최소한의 시설로 인 해 직접적인야간조명보다는인접 도시로인한산란광의영 향이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도심과 인접한 공원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산악형국립공원 중 유사한 면적규모인 계룡산국립공원, 가야산국립공원, 내장산 국립공원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해안에 인접한 국립 공원의 경우해수면에 의한빛의반사, 어업행위등의영향 이 시시각각변화될 것으로판단되어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1968년 우리나라 2번째 국립공원 으로 지정된 공원으로 충청남도 논산시, 공주시,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걸쳐있어 인접지역이 대도시로 발달한 특징을 가 지고 있다. 면적은 65.3 km2으로 월출산(56.2 km2) 다음으로 가장작은면적이다. 남부내륙산간지역에위치한가야산국
립공원은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와경
상북도가 서로 맞닿아 있는 곳에 위치하며, 면적은 76.3 km2이다. 인접하여 도심지가 발달하지 않으며 산악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내장산국립공원은 1971 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과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하여 대규모도시가 인접하지는않
으나 소규모마을들이인접하여있는공원이다. 면적은 80.7
km2이다.
2. 분석방법
1) 야간위성영상의 선정
인공조명으로 인한 빛공해는 야간에 일어나는 현상이며, 영향범위가넓어계량적으로산정하기어려운분야 중하나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간 인공위성영상의 밝기값을 기준으로 빛공해의 분포범위 및 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분 석하고자 하였다. 인공위성양상의 밝기값은 빛공해를 측정 하는 절대적 단위는 아니나 해당 지역의 밝기에 따라 값의 차이가있어이를기준으로 할경우 각지역의상대적빛공 해 정도를측정할수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산하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에서는 1992년부터 2013년까지의 Defense Meteo-
Table 1. The status of study areas.
Designated year Name Location Area (km2)
1968 Gyeryongsan Chungcheongnamdo Nonsan city, Gongju city, Daejeon Metropolitan city Youseong-gu 65.3 1972 Gayasan Gyeongsangnam-do Hapcheon-gun, Geochang-gun, Gyeongsangbuk-do Seongju-gun 76.3 1971 Naejangsan Jeollabuk-do Jeongeup city, Sunchang-gun, Jeollanam-do Jangseong-gun 80.7
rological Satellite Program(DMSP) Operational Linescan System(OLS) 센서로부터 Version 4 DMSP OLS Nighttime
Lights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DMSP-OLS는 연평균 도시,
마을 및 기타 장소의 인공조명의 영향을 판단하기에 용이하 며, 일출, 섬광, 오로라 등은 고도 및 조도를 통해 제외하여 제공한다. 데이터는 30 arc second(약 1 km)의 해상도이며, 데이터값(DN)의 범위는 1부터 63으로빛공해의 정도에따 라나타난다. 값이 커질수록해당지역의 밝기가밝다는것 을 의미한다. 즉, 1값은 빛공해가 없는 지역을 의미하며 63 값은 최대 빛공해 지역을 의미한다. 다만 이 값이 절대적 빛공해 값은 아니며 지역별 상대적 비교만 가능한 디지털 값이다. 배경 잡음의 경우에는 0값, 구름에 의해 영향을 받 는 지역은 255값으로 표시된다(https://www.ngdc.noaa.gov/
eog/dmsp/downloadV4composites.html).
빛공해분석을위한 야간영상자료는현재까지는 다양하게 제공되지 않고 있는데 최근 DMSP-OLS를 보완하여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도 감지할 수 있는 VIIRS센서 DNB 밴드 가 향후 연구에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2012년부터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어 시계열분석을 목적으로
하는본연구에서는 DMSP-OLS를사용하였다.
국립공원 관리의 핵심인 용도지구 변화시기에맞춰 각각
1993년, 2001년, 2012년의 20년 간 총 3개의 야간위성영상
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지인 3개 국립공원의 경계는 2018년 World Database Protected Area(WDPA)에서 제공하 는 국립공원 경계를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ESRI
ArcGIS 10.3을활용하여 인공조명의공간적 범위와 분포를
살펴보았다.
2) 시기별 빛공해 변화 및 공원별 빛공해 정도 비교
국립공원은 적극적인 보전과 복원을 위한 관리를 지향하 고 있는데, 공원관리의 핵심인 용도지구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큰 폭의 관리체계 변화를 보여왔다. 이에 국립공원 관리의 핵심인용도지구의 변화시기에맞춰 빛공해의 동향 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연공원은 1980년 ‘자연공원법’을 제정하면서 용도지구제를 채택하여 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 지구, 취락지구, 집단시설지구로 공원을 관리했다. 용도지구 체계는 기본적인 골격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으나 관리정 책의 변화 및 시대적 특성에 맞게 다소 변경되어 왔다. 자 연환경의엄정한 보전을위한 자연보존지구와자연환경지구 의변화는 크게없었으나, 취락지구와집단시설지구는시대 적 상황을 반영하면서 변화되었다. 공원 내에서 빛공해에 영향을 주는 시설은 주로 집단시설지구와 취락지구에 분포 할 것으로 판단되며 공원 밖의 산란광에 의한 공해정도는 공원경계와 연접한 도심의 발달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 된다. 집단시설지구의 경우 과거 국립공원 경계 내부에서 제척이 이루어지면서 개발이 추가적으로 진행되며, 야간까 지 영업하는 상가가 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공원제 척으로 인한 빛공해 정도가 크게 증가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3년, 2001년, 2012의
연평균 값을비교분석하였다.
인접 도시의인공조명에의한산란광이국립공원내에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고기 위한 분석은 2012년 영상값을 기준 으로 3개 국립공원의 빛공해 현황을 비교하였다. 2015년 인 구총조사에 따른 시군구 인구밀도를 비교하면, 계룡산국립 공원은 대전광역시 2,852명/km2, 충청남도 257명/km2으로 가장높은인구밀도를보였으며, 가야산국립공원의경우경 상남도 316명/km2, 경상북도 141명/km2이었고, 내장산국립 공원의 경우 전라북도 227명/km2, 전라남도 146명/km2이었 다(KOSIS 2015).
연구대상지인 국립공원 내 빛공해 값(DN)은 직접광 또는 직접광에 가까운 밝은 빛은 상대적으로 거의 없고 대부분이 약한 산란광이 유입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약한 산 란광의정도를중점적으로살펴보기위해 빛공해강도하위
25% 범위인 15까지를 5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강도를 설정
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강도를 보이는 16이상 63까지의 값 은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없어 모두 동일 영역으로 설정하 여 분석하였다. 요약하면 국립공원 내 빛공해 정도를 총 6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DMSP-OLS 데이터 값을 기준 으로 1-3, 4-6, 7-9, 10-12, 13-15, 16이상으로 구분하였다. 16의 경우영상데이터가제시하는밝기값의 하위 25%에해 당하는 수치이다.
국립공원별 면적의 차이로 국립공원 간의 객관적 비교를 위해 각 공원별 인공조명 값(DN)의 셀 개수를 비율로 변환 하여, 전체 면적 중 빛공해 정도별로 차지하는 면적비율의 값을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공원별빛공해 정도의통계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시기별 빛공해 변화
국립공원 내 시기별 빛공해 변화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계 룡산국립공원, 가야산국립공원, 내장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각각 1993년, 2001년, 2012년 야간위성영상의 연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20년 동안 3개 국립공원 모두에서야간조명의 범위와 강도 모두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3).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산란광의 영 향이 가장 적은 1-3 유형과 4-6 유형이 분석시작 시기인 1993년부터 최근까지 전혀존재하지 않아 이미오래전부터 모든 공원구역이미세하게나마빛공해에노출되어있어왔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1992에는 약 92%의 면적이 빛공 해 하위 25% 값으로 모든 지역에서 빛공해의 영향을 받긴 하나 그 강도가 비교적 약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불과 10년이 지난 2001년 분석결과는 공원 전체의 약 61%
의 면적이상위 75% 이상의빛공해지역으로변화하여공원
전체적으로빛공해가 급격히증가한것을 확인할수있었으 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2012년의경우 상위
75%의 빛공해 지역이 전체 공원의 78%를 차지하였다. 상대
적으로 인접하여 개발지가 없는 가야산국립공원의 경우
1993년을기준으로모든 면적이 4-6, 7-9유형으로양호한경 향을 보였으나, 점차적으로 빛공해가 증가하여 2012년에는 이전까지 나타나지 않던 상위75% 빛공해 지역이 전체면적 이 좁게나마 관찰되어 약 3.7%를 차지하였다. 내장산국립공 원의 경우 빛공해 증가추이가 가야산국립공원과 유사한 경 향을 보였으나, 2001년과 비교하면 2012년에 상위 75% 빛
공해 지역이 6.1%에서 3.5%로 소폭 감소한 것이 특기할만
하였다. 공원 북동쪽의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를 둘러싼 마 을의 경우 2011년 용도지구 변경 시기에 집단시설지구가 제 척되지 않은 곳으로 빛오염 강도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면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1993년부 터 대전광역시 접경지역에서 유독 인공조명의 값이 높게 나 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범위가점차 시간이 지 날수록 늘어나북서쪽갑사지역일부를제외하고는모두높 게 나타났다. 이는 도시의 강한 불빛이 비록 공원경계 밖에 서 발생하지만 계룡산국립공원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야산국립공원의 경우 1993년을 기준 으로 능선부에는 4-6유형, 계곡부에는 7-9유형으로 나타났으
며, 2001년 점차홍류동계곡 주변으로 빛공해의 영향이 커
지더니, 2012년 홍류동계곡부 초입에서 상위 75% 빛공해
지역이 출현하였다. 내장산국립공원은 1993년 기준으로 공 원 중심부에 주로 4-6유형이, 가장자리에 7-9유형이 차지하 였으나 점차 가장자리부터 빛공해의 영향을 받아 2012년 까 치봉 등 해발고가 높은 일부 지역에서만 빛공해가 거의 없 는 유형인 4-6유형이 출현하였다.
20년간 국립공원내빛공해동향을살펴본결과 인접하여
도시가 발달하지 않은 가야산국립공원과내장산국립공원의 경우 연평균 야간조명의 값이 조금씩 높아지고는 있으나 비 교적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1993년부터 여타 대상지에 비해 야 간조명의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2년 급격히 증가된것을확인할 수있었다. 이러한급격한 증가는계룡 산국립공원생태계에심각한교란요인으로작용하였을것으 로 예상할 수 있으며, 도시에 인접한 국립공원 내 빛공해 저감을 위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실증적으로 보여 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특히 2011년의 경우 국립공원 관리의 핵심인 용도지역이 변경된 해로 집단시설지구와 마을지구 중 밀집마을지구를
공원구역에서 대부분 제척한 시기이기 때문에 이 지역의 집중개발이 2012년 공원 내 빛공해 증가의 원인으로 추정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공원 내 생물다양성의 유지와 멸종
Table 2. Change rate of light value by site.
Type Gyeryongsan Gayasan Naejangsan
1993 2001 2012 1993 2001 2012 1993 2001 2012
1-3 - - - -
4-6 - - - 52.3 44.0 40.4 39.1 22.6 7.0
7-9 43.3 - - 47.7 42.2 40.4 51.3 36.5 40.0
10-12 32.2 21.1 10.0 - 11.9 11.9 9.6 23.5 33.0
13-15 16.7 17.8 12.2 - 1.8 3.7 - 11.3 16.5
16≤ 7.8 61.1 77.8 - - 3.7 - 6.1 3.5
Total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Figure 1. The change of light valu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Figure 2. The change of light value in Gayasan national park.
Figure 3. The change of light valu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위기야생동식물의 안정적서식처 기능을유지하기 위해서 는공원관리가 공원내부뿐만아니라공원과인접한개발지
역에까지 적극적인관리가이루어져야함을의미한다. 향후 빛공해 저감을 위해공원관리 관련 제도개선을 적극적으로 Figure 4. The time-series change of light valu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Figure 5. The time-series change of light value in Gayasan national park.
고려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빛공해 저감을 위한 지자체 및 인접마을주민과의 협력 또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2. 국립공원간 빛공해 차이 분석
국립공원 인접지역의 인구밀도에따른 빛공해 영향을살
펴보고자 2012년을기준으로공원별 인공조명 값을 비교한
결과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27.1로 다른 국립공원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인공조명 값을 보였다. 계룡산국립공원은 대
전광역시에 인접하여 도시에 의한 인공조명의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지역이다. 가야산국립공원과 내장산국립공원 은 각각 7.93, 9.96으로나타났다.
빛공해에 의한 영향을 지도화한 결과 계룡산국립공원은 북서쪽일부를제외하고 공원전체가빛공해의영향을받고 있었으며, 가야산국립공원의 경우 홍류동 계곡부, 내장산국 립공원은 공원경계를 따라 빛공해의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야간위성영상의 해상도는 약 1 km로 세부 적인 공원시설이나좁은 공간에나타나는빛공해수준차이 를 정밀하게분석하지 못하는한계가있지만공원 전체적으 로 빛공해의 공간적 분포를 확인하는데에는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정밀 야간 항공사진 또는 인공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빛공해 확산과 강도의 분석이 진행되어 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현실적인 빛공해 개선방안의 도출 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종합
국립공원 내 빛공해 동향을 살펴보고자 용도지구 변화에 따른 시기별 빛공해 변화와 인접지역 인구밀도에 따른 국립 Figure 6. The time-series change of light valu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Table 3. The descriptive statistic of light value in 2012.
Count Ave. Standard Dev. Standard Err. Min. Max.
Gyeryongsan 90 27.08 11.605 1.223 12 59
Gayasan 109 7.93 2.886 .276 5 19
Naejangsan 115 9.96 2.660 .248 6 17
Total 314 14.16 10.571 .597 5 59
Figure 7. The boxplot of light value in 2012.
공원별 빛공해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 내 빛공해의 경우 인근 지역의 인공조명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용도지구가 변경된 2011년을 기준으로 2012년빛공해의영향이크게 늘어났으며 공간적분포를살 펴보면 주거지및 시설이 확장되는 지역으로부터 빛공해가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국립공원의 경우한정된 공간안 에서생물다양성을보전하기 위한노력을수행하며, 국립공 원 내부의 빛공해가 외부에 의한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 에 공원 인접 지역 대한 야간 인공조명 밝기 규제 등의 빛 공해 관리를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위성영상을 통한 분석방법은 광 의의지역에대한변화를모니터링하기에용이하지만, 빛공 해의 경우지표면에있는 인간과야생생물이감지하는야간 조명을 의미하기 때문에 동향을 파악할 뿐 객관적인 비교는 어렵다. 실질적 관리계획을 위해서는 빛공해에 대한 현장조 사 또는 정밀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영상의 분석이 수반되 어야 하겠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립공원 내 빛공해를 줄이기 위한 관리방향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실천할 필요성이 있었 다. 향후 공원 인접지역의 개발강도는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지역과의협력을 통한 빛공해저감 노력또한 공원관리의 중요 분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Di xu and Jun Gao. 2017. The night light development and public health in Chin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35: 57-68.
Dirk Sanders, Rachel Kehoe, Dave Cruse, F.J. Frank van Veen and Kevin J. Gaston. 2018. Low Levels of Artificial Light at Night Strengthen Top-Down Control in Insect Food Web, Current Biology. 28(15): 2474-2478.
Emma Louise Stone, Stephen Harris and Gareth Jones. 2015.
Impacts of artificial lighting on bats: a review of challenges and solutions. Mammalian Biology. 80: 213-219.
Fabio Falchi, Pierantonio Cinzano, Dan Duriscoe, Christopher C.
M. Kyba, Christopher D. Elvidge, Kimberly Baug, Boris A.
Portnov, Nataliya A. Rybnikova and Riccardo Furgoni. 2016.
The new world atlas of artificial night sky brightness. Science Advances. 2(6).
Kathryn LG, Russar and Randy J. Nelson. 2018. Light at night as an environmental endocrine disruptor. Physiology & Behavior.
190: 82-89.
KOSIS. 2015.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cu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Lijun Wang, Xinhui Liu, Zhengxing Liu, Xiaoping Wang, Chaoliang Lei and Fen Zhu. 2018. Members of the neuropeptide transcriptional network in Helicoverpa armigera and their expression in response to light stress. Gene. 671: 67-77.
Mitch Leslie. 2012. Sleep Study Suggests Triggers for Diabetes and Obesity. Science. 336:143.
Richard L. Berry. 1976. Light pollution in southern Ontario.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70(3): 97-115.
Ron Chepesiuk. 2009 Missing the Dark: Health Effects of Light Pollution. Environ Health Perspect. 117(1): A20-A27.
(2018년 10월 10일접수; 2018년 11월 2일수정; 2018년 11월 28일채택) Figure 8. Difference of light value in 2012
(Top: Gyeryongsan, Mid: Gayasan, Down: Naejang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