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러시아・중앙아시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러시아・중앙아시아"

Copied!
5
0
0

Teks penuh

(1)

러시아 ・ 중앙아시아

러시아, ’17년 석유・가스 생산량 및 수출량 실적 발표

 러시아의 2017년 원유(가스콘덴세이트 포함) 생산량은 전년 대비 0.1% 감소한 5억4,680만 톤 을 기록하였고, 원유 수출량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약 2억5,679만 톤을 기록하여 2005년 이 후 최고치를 달성하였음(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2018.1.9).

‒ 2017년 한 해 동안 러시아는, OPEC 및 비OPEC 일부 산유국 간에 체결된 감산 합의(2016년 12월)에 따라 감산 의무(2016년 10월 대비 30만b/d 감산)를 충실히 이행해왔음.

・ 러시아는 지난 2016년에 일일 산유량이 몇 차례에 걸쳐 소비에트 해체 이후 최고치를 경신 한 바 있으며, 2016년 10월에는 1,120.4만b/d로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바 있음.

‒ 한편, 2017년 평균 산유량은 지난 30년래 최고치인 1,098만b/d를 기록하여, 2016년의 평균 산 유량인 1,096만b/d보다 미미하게 증가하였음.

‒ 2017년 석유기업별 원유 생산실적은 Rosneft 1억8,865만 톤(▽0.6%), Bashneft 2,061만 톤(▽

3.6%), Surgutneftegaz 6,054만 톤(▽2.1%), Gazprom Neft 3,949만 톤(▲4.6%), Tatneft 2,894만 톤(▲0.9%), Lukoil 8,172.6만 톤(▽1.5%), Novatek 758.7만 톤(▽5.6%) 등임.

‒ 러시아의 2017년 원유 수출량에서 非CIS 국가(유럽 및 아・태지역 등)로의 수출량은 전년 대 비 1.1% 증가한 2억3,872만 톤을, CIS 국가로는 0.4% 감소한 약 1,800만 톤을 기록함.

‒ 2017년 1~12월 중 러시아의 대표 수출원유인 Urals유의 평균 가격은 2016년의 배럴당 41.9달 러보다 26.6% 상승한 53.03달러를 기록하였음(러시아 재무부 발표, 2017.1.9). 이는 경제개발 부가 전망한 2017년 Urals유 평균 가격인 배럴당 49.9달러를 상회한 것임.

‒ 2017년에 유가가 상승하면서, 2017년 세입(歲入) 증가분이 2,400억~2,700억 루블(약 42.8억~47.3억 달러)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되며, 2017년 재정적자 규모도 당초 예산안(GDP의 3.2%)보다 낮아져 GDP의 1.8~1.9%를 기록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러시아연방 감사원 Accounts Chamber, 2018.1.8).

・ 2016년의 재정적자 규모는 당초 예산안(GDP의 3%)보다 증가한 GDP의 3.56%를 기록하여, 2015년 재정적자 규모(GDP의 2.4%)에 비해 크게 악화된 바 있음. 재정적자 확대의 요인은 Urals유 평균 가격이 2015년 배럴당 51.2달러에서 2016년 41.9달러로 하락했기 때문이었음.

 러시아의 2017년 가스 생산량은 전년 대비 7.9% 증가한 690.5Bcm을 기록하면서 1991년 이 후 사상 최고치를 달성하였고, 가스 수출량 역시 2년 연속 신기록을 경신하면서 최고치를 달성 하였음(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2018.1.9).

‒ 특히 국영가스기업 Gazprom의 2017년 가스 생산량은 전년 대비 12.4%(▲51.9Bcm) 증가한

(2)

471Bcm을 기록하였고, 對유럽 가스 수출량도 전년 대비 8.1%(▲14.6Bcm) 증가한 193.9Bcm 을 기록하였음(2018.1.4).

・ Gazprom의 Aleksei Miller 회장은 북서 유럽 및 중부 유럽 국가로의 가스 수출이 현저하게 증가했다고 밝힘. 국가별 가스 수출량은, 전년 대비 독일 7.1%, 오스트리아 40%, 네덜란드 9.7%, 프랑스 6.8%, 체코 28%, 슬로바키아 24.5%, 덴마크 1.9% 증가하였음.

자료 : Vedomosti

< 러시아 가스의 對유럽 수출량 추이(2014~2017년)(좌) 및 국별 수출량(2017년)(우) >

‒ Financial Times는, 유럽 가스시장에서 러시아의 높은 점유율에 대한 유럽 국가들의 우려와 다른 공급선과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가스의 對유럽 수출량이 사상 최고치 를 기록하였고 유럽 가스 소비량의 40%를 러시아가 차지했다고 보도함(2018.1.3).

‒ 러시아産 LNG의 對아・태지역 수출량은 전년 대비 5.3% 증가한 15.48Bcm을 기록하였음 (CDU TEK 자료, 2018.1.2).

(1Prime; FT, 2018.1.3; Tass, 2018.1.2,8; Neftegaz; Lenta; RNS.online; Izvestia; Vedomosti, 2018.1.9)

▣러시아, 對아시아(주로 중국) 원유 수출 증대를 위한 송유관 건설사업 진행 가속화

 러시아産 원유를 아・태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ESPO 송유관의 수송능력 확충사업이 현재 활 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5,800만 톤/년이었던 ESPO-1의 수송능력이 2017년 12월 말 기준 7,000만 톤/년으로, 2,000만 톤/년이었던 ESPO-2의 수송능력이 4,400만 톤/년으로 증가함.

ESPO(East Siberian-Pacific Ocean) 송유관은 Taishet市(이르쿠츠크州)에서 Skovorodino市 (아무르州)까지 연결되는 ESPO-1 송유관(중국 지선, 러시아 극동지역 내 정유설비, ESPO-2 송유관과 연결)과 Skovorodino市에서 극동지역 태평양 연안의 Kozmino 원유 수출터미널을 연결하는 ESPO-2 송유관(아・태지역 시장으로 공급)으로 이루어져 있음.

‒ 러시아 국영 송유관운영기업 Transneft는 ‘2020년 장기 발전프로그램’에 따라 2020년경

(3)

ESPO-1 송유관의 수송용량을 연간 8,000만 톤까지, ESPO-2 송유관의 수송용량을 연간 5,000 만 톤까지 확충시킬 계획임.

・ 당초 Transneft는 ESPO 송유관 확충사업을 203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러시아産 원 유 수입에 대한 아・태지역 국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동시베리아 지역에서의 적극적인 자 원 개발로 인해 송유관 수송능력 확충 프로젝트의 실행을 앞당긴 것임.

‒ ① ESPO-1 송유관의 3개 승압설비(3, 6, 9호기)가 2017년 12월에 완공・가동됨으로써 수송용 량이 연간 7,000만 톤에 이르게 되었으며, 나머지 3개의 승압설비(2, 5, 7호기)도 2019년 말 가동을 목표로 착공되었음.

‒ ② ESPO-2 송유관의 3개 승압설비(23, 26, 32호기)도 2019년 말 완공을 목표로 2017년 12월 에 착공되었음.

‒ ③ ESPO-1 송유관의 중국 지선(Mohe-Daqing 구간, 수송용량 연간 1,500만 톤, 길이 941.8km) 의 수송능력을 연간 3,000만 톤까지 확충하기 위해 2번째 라인 부설 작업을 2016년 8월에 시작 하여 2017년 11월 중순에 완료하였고, 2018년 1월 1일부터 상업 가동을 개시하였음.

러시아-중국 정부 간 체결된 원유 거래부문 협력 확대에 대한 협정(2013.3.22)에 따라, 2018 년부터 Mohe-Daqing 구간의 연간 수송용량을 3,000만 톤까지 늘려야만 했음.

 이처럼 ESPO 송유관 및 중국 지선(Mohe-Daqing) 송유관의 수송능력이 확충됨에 따라 2018 년 러시아 원유의 對중국 수출량은 2017년 대비 2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도 러시 아가 對중국 최대 원유 공급국의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Rosneft의 Igor Sechin 회장은, 2017년에 자사가 송유관을 통해 약 4,000만 톤의 원유를 중국 에 공급했는데, 2018년에는 5,000만 톤까지 증대시켜야 할 것이라고 언급함.

Rosneft는 ESPO 송유관 이외에도 카자흐스탄 노선(Atasu-Alashankou 송유관)을 통해 연간 1,000만 톤의 원유를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음.

자료: Bloomberg

< 러시아와 사우디의 對중국 원유 수출량 비교(2012~2017.11월) >

(4)

‒ 한편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업체 FGE는, 러시아가 동방(주로 對중국) 원유 수출에 주력함에 따 라, 유럽 내 유가가 상승하는 등 EU 원유시장에 타격을 입혔다고 분석함(Bloomberg, 2018.1.3).

・ FGE는 2018년에 러시아가 對중국 수출량을 전년 대비 20만b/d 정도 늘릴 것으로 전망하며, 실제로도 러시아가 원유 수출선을 유럽에서 중국으로 옮기기 시작했다고 지적함.

・ 이로 인해 2018년 1월과 2월 발트해 연안 Primorsk항의 원유 선적량이 감소할 것이며, 3월 에는 동유럽으로 연결되는 송유관으로의 공급량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특히 2018년 1월 Primorsk항에서의 Urals유 선적량은 전년동월 대비 16만b/d나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1Prime, 2017.12.28; RG.ru, 2017.12.10,29,2018.1.1; Tass, 2018.1.1; Bloomberg; Vestifinance, 2018.1.3)

▣러 에너지부, ’35년 러시아의 세계 LNG 시장 점유율 최대 20%로 확대 전망

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 장관은, 2035년경 러시아의 세계 LNG 시장 점유율이 현재 4%에서 15~2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를 위해 현재 1,050만 톤인 LNG 생산량을 최대 1억 톤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발표함(2017.12.22).

2018년 1월 기준, 러시아에서 상업생산 중인 LNG 사업은 2009년에 운영을 개시한 국영가스 기업 Gazprom의 사할린-2 LNG 사업(500만 톤/년, 2개 트레인 가동)과 2017년 12월 트레인 1이 가동을 개시한 민간가스기업 Novatek의 야말 LNG 사업이 있음.

‒ Novak 에너지부 장관은, 2024~2035년경 세계 LNG 시장에서 연간 약 2억 톤 규모의 LNG 틈 새시장이 생길 것으로 예상한다며, 러시아의 LNG 프로젝트들이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틈새시 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 또한, 향후 러시아 LNG 자원의 주요 기반이 야말 반도, 기단 반도 등을 포함한 북부 지역(가 스 매장량 38Tcm 이상)에 위치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함.

‒ 푸틴 대통령은, 최근 세계 여러 국가의 LNG 생산부문의 급속한 발전과 관련하여 자국의 에너 지 안보에 미치는 리스크를 완화하고 자국의 LNG 프로젝트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 의 지원・조치 등이 포함된 정부의 전략적 계획 수립을 완료하라고 지시함(2017.12.25).

・ 2018년 6월 1일을 기한으로, 관련 부처는 ‘러시아연방 에너지 안보 독트린’, ‘러시아 에너지 전략-2035’, ‘2035년 러시아연방 가스산업 발전 종합계획’ 등을 마무리하여야 함.

・ 정부는 러시아 기업의 LNG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및 조치를 개발・승인해야 하며, 특히 에너지부는 외국 기업과 LNG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려는 러시아 기업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경제개발부 및 외무부와 공동으로 마련해야 함.

・ 2018년 3월 1일까지 극동지역 內 LNG 환적 및 저장 센터 구축의 사업타당성을 검토해야 함.

 현재 여러 러시아 에너지기업들이 LNG 플랜트 건설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이 중 민간가스기업 Novatek은 2030년경 5,500만~5,700만 톤의 LNG를 생산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LNG 생산기업이 될 것이라고 발표함(‘2030 장기 전략’, 2017.12.12).

(5)

‒ Novatek의 Leonid Mikhelson 회장은, 러시아 에너지부가 2030년경 러시아의 LNG 총 생산량 이 8,000만 톤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 중 자사 비중이 2/3를 차지할 것이라고 밝힘.

자료 : Vedomosti

< 세계 주요 LNG 수출국(좌) 및 주요 LNG 생산국의 목표 생산량(2017, 2030년)(우) >

(단위 : 백만 톤/년)

‒ Novatek의 ‘2030 장기 전략’에 따르면, LNG 프로젝트에 대한 총 자본지출 규모를 2.5조~2.8 조 루블(약 438.5억~499.1억 달러)로 추산하였고, 2030년경 가스 생산량을 현 수준보다 2배 증가한 126Bcm으로 계획하고 있음.

‒ 현재 Novatek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LNG 프로젝트는 ‘야말 LNG’ 사업(생산용량 총 1,740만 톤/년)과 ‘북극 LNG 2’ 사업(생산용량 총 1,830만 톤/년)이 있으며, 이외에도 극동지 역 캄차카 지방에 LNG 환적 터미널(처리용량 2,000만 톤) 건설을 추진하고 있음.

・ 야말 LNG의 트레인 1은 지난 2017년 12월 상업 가동을 개시하였고, 트레인 2는 2018년 내 에, 트레인 3은 2018년 말 또는 2019년 초에 가동을 개시할 계획임.

・ 북극 LNG 2 사업의 경우, 2018년 말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2019년 말에 최종투자결정을 하 여 2023년에 가동을 개시할 계획임.

・ 캄차카 LNG 환적 터미널의 경우, 2022~2023년 가동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터미널 건 설에 대한 FEED를 2018년에 완료할 계획임. Novatek은 일본 Marubeni Corporation 및 Mitsui O.S.K. Lines, Ltd와 캄차카 LNG 환적 및 저장단지 구축 가능성 연구 및 실현을 위한 3자 간 MOU를 체결하였음(2017.11.28).

(RBC; 2017.12.12; Kommersant; Vedomosti, 2017.12.13; Tass, 2017.12.12,22,26)

Referensi

Dokumen terkait